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또는 시가 내 인생에 들어왔다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또는 시가 내 인생에 들어왔다

땅끝
2024-12-19 07:52 122 0

본문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9791171610471.jpg


도서명 :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
저자/출판사 : 박찬승 , 이옥순 , 윤대영 , 최정수 , 김기순 ,, 동북아역사재단
쪽수 : 768쪽
출판일 : 2023-12-27
ISBN : 9791171610471
정가 : 30000

발간사
편찬사

제1장 총론: 일제 식민지 조선 지배의 성격-서구열강의 식민 지배와 비교하여
1. 머리말
2. 정치적 측면에서 식민 지배 비교
3. 사회적 측면에서 식민 지배 비교
4. 경제적 측면에서 식민 지배 비교
5. 문화적 측면에서 식민 지배 비교
6. 맺음말

제2장 영국의 인도 식민 통치
1. 머리말
2. 역사-영국의 인도 통치 200년
3. 정치-이간ㆍ분리의 통치
4. 경제-탈산업화와 식민지화
5. 사회-미개한 인도 사회 만들기
6. 문화-제2의 식민화와 정신의 지배
7. 맺음말

제3장 프랑스의 베트남 식민 통치 역사와 지배정책
1. 머리말
2. 정치-프랑스령 인도차이나의 형성과 통치체제
3. 경제-식민지 개발과 산업
4. 사회-도시의 변화와 농민 및 노동자의 삶
5. 문화-문명 연구와 교육
6. 맺음말

제4장 미국의 식민지 필리핀 정책, 1898~1946- 제국주의(Imperialism)와 탈식민주의(Decolonialism)의
접점에서 탄생한 필리핀인 국가 만들기(Making Nation State) 전략
1. 머리말
2. 필리핀 문제를 둘러싼 연구사
3. ‘필리핀 문제(Philippine Problems)’의 기원
4. 미국 의회의 ‘필리핀 통치법( Philippines Law)’ 제정
5. 미국 행정부의 ‘세계전략(world strategy)’과 ‘필리핀 통치정책’
6. 필리핀 독립운동가들의 민족 국가( nation state) 만들기
7. 필리핀 국가 만들기 전략과 태프트-가쓰라 협정- 미국의 필리핀 정책의 한국 확장
8. 맺음말

제5장 영국의 아일랜드 지배, 1801~1921
1. 머리말
2. 합방
3. 가톨릭 문제
4. 토지 문제
5. 민족 문제
6. 분단과 독립
7. 맺음말

제6장 식민지 조선에 비추어 보는 일제하 타이완 통치의 역사
1. 머리말-참조 대상으로서의 타이완 식민지사
2. 통치체제의 기본 구조
3. 경제-경제성장과 생활 수준
4. 재정-풍부한 세입과 경제 지향적 세출
5. 경찰-경찰국가(Polizeistaat) 지향과 실제
6. 보갑(保甲)-기층행정의 만능열쇠
7. 맺음말

제7장 일제의 식민지 조선 지배정책의 기조
1. 머리말
2. 일제의 한국병합 목적과 식민지 대우
3. 일본국민을 만들기 위한 동화정책
4. 일본인과 조선인 간의 분리와 차별정책
5. 일본 자본의 조선 경제 장악과 이용
6. 정치적 권리 박탈과 자유 억압
7. 맺음말

부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시가 내 인생에 들어왔다
9791187332978.jpg


도서명 : 시가 내 인생에 들어왔다
저자/출판사 : 이경재, 사우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4-03-23
ISBN : 9791187332978
정가 : 17000

프롤로그_ 시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

1장 처음 시작하기: 시와 함께하면 달라지는 것들
400만 원짜리 시조
두 배로 행복한 세상
덤벼드는 소가 일도 잘한다
헤어지지 아니한 이별
짬짜면
바람
헷갈리지 않으려면
꽃 중에 꽃
가야산
일분쉼표
물음표

2장 관찰하기: 자세히 보면 시가 된다
땡땡이 넝쿨장미
시계탑
풍경소리
하늘의 별을 따서
휴대전화
망해사 해우소
민달팽이
시와 신김치

3장 연결하기: 잠자는 창의성을 깨우는 가장 좋은 방법
상호성의 법칙
항복하면 행복해요
선풍기의 봄
사람 인
단체카톡방
청개구리 학생들
옷걸이
파도
고딩
한 평의 땅 없어도

서로를 위해
4장 잘 배우기: 세상 모든 것이 스승이다
송이버섯
넘어져도 괜찮아
술타령
새해 달력
10월 32일
화암사에 갔었지요
구슬
내숭
가고 오고
꽃잎이 눈 내리듯

5장 시와 함께: 치유와 행복의 인문학
새벽 열차
밀당
생일
내가 새우구나
찰밥 한입
깻잎 한 장
한양 간 마나님은
고드름
부부
부부싸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