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Can 전산회계 1급(2024) 또는 조선의 승과 연구
땅끝
2024-12-19 07:52
105
0
본문
I Can 전산회계 1급(2024)

도서명 : I Can 전산회계 1급(2024)
저자/출판사 : 이원주 , 김진우, 삼일인포마인
쪽수 : 712쪽
출판일 : 2024-02-23
ISBN : 9791167842190
정가 : 26000
1부 기본이론 정리
1장 재무회계 이론
1. 재무회계 기본
01 회계의 기본개념
02 재무제표의 이해
03 회계의 순환과정
2. 유동자산
01 유동자산의 이해
02 당좌자산
03 단기금융상품
04 매출채권과 대손
05 재고자산
3. 투자자산
01 투자자산의 이해
02 유가증권
4. 유형자산
01 유형자산의 이해
02 유형자산의 취득원가
03 유형자산 취득 후의 지출
04 유형자산의 감가상각
05 유형자산의 처분
5.무형자산 및 기타비유동자산
01 무형자산의 이해
02 무형자산의 종류
03 무형자산의 감가상각
04 기타비유동자산
6. 부채
01 유동부채
02 비유동부채
7. 자본
01 자본의 이해
02 자본금
03 자본잉여금
04 자본조정
0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06 이익잉여금(잉여금의 처분)
07 임의적립금
8. 수익과 비용
01 수익
02 비용
2장 원가회계 이론
1. 원가회계의 개념
01 원가의 개념
02 원가의 분류
2. 원가의 흐름과 기장
01 원가요소와 원가흐름
3. 원가의 배부
01 원가의 배부
02 제조간접비의 실제배부와 예정배부
4. 부문별 원가계산
01 부문별 원가계산
5. 제품별 원가계산
01 원가시스템의 종류
02 개별원가계산
03 종합원가계산
04 종합원가계산의 기말재공품 평가
3장 부가가치세 이론
1. 부가가치세 총론
01 부가가치세 개요
02 부가가치세 신고와 납부
03 사업자등록
2. 부가가치세 과세거래
01 부가가치세 과세대상
02 공급시기(거래시기)
3. 영세율과 면세
01 영세율
02 면세
4. 세금계산서
01 세금계산서의 의의
02 전자세금계산서
03 세금계산서 등 발급의무 면제
5. 과세표준과 매출세액
01 과세표준
6. 매입세액
2부 KcLep 실무 따라하기
I CAN 케이렙[KcLep] 프로그램 설치
I CAN 전산회계 1급 실무 운용 흐름
1. 기초정보관리
01 기초정보관리
02 전기분재무제표
2. 일반전표입력
01 일반전표입력
02 출금전표, 입금전표, 대체전표
03 계정별 일반전표입력
3. 매입매출전표입력
01 매입매출전표입력
02 유형별 매입매출전표입력
03 부가가치세 신고
4. 결산과 재무제표
01 고정자산과 감가상각
02 수동결산과 자동결산
03 재무제표등 작성
5. 장부조회
01 거래처원장
02 계정별원장
03 현금출납장
04 일계표(월계표)
05 분개장
06 총계정원장
07 매입매출장
08 결산/재무제표
3부 실무문제 유형별 연습
1. 기초정보관리
01 기초정보관리
02 전기분재무제표
2. 일반전표 입력
3. 매입매출전표 입력
4. 오류수정
5. 결산정리사항
6. 장부조회
4부 최신 기출문제(100~111회)
제100회 기출문제
제101회 기출문제
제102회 기출문제
제103회 기출문제
제104회 기출문제
제105회 기출문제
제106회 기출문제
제107회 기출문제
제108회 기출문제
제109회 기출문제
제110회 기출문제
제111회 기출문제
5부 정답 및 해설
실전문제 풀이
기출문제 풀이
조선의 승과 연구

도서명 : 조선의 승과 연구
저자/출판사 : 정각, 불광출판사
쪽수 : 432쪽
출판일 : 2024-05-31
ISBN : 9791193454954
정가 : 27000
추천사
저자의 말
I. 서언
II. 승록사(僧錄司)와 양종도회소(兩宗都會所)
1. 승관제(僧官制)와 승록사(僧錄司)
1) 삼국(三國)과 통일신라 대의 승관제(僧官制)
2) 고려시대의 승관제와 승록사(僧錄司)
2. 조선시대 승록사와 승록사 혁파
1) 조선시대 승록사와 그 역할
2) 종파(宗派) 통폐합과 승록사 혁파
3. 양종도회소(兩宗都會所)의 구성과 역할
1) 양종도회소의 구성
2) 양종도회소의 역할
Ⅲ. 조선 승과(僧科)의 양상과 전개
1. 조선의 승과(僧科), 선시(選試)
1) 선시(選試)의 형식
2) 선시와 등계(登階)
3) 승인호패법(僧人號牌法)과 선시의 폐지
2. 조선의 승과, 선시(選試) 혁파에 대한 고찰
1) 선시 혁파와 『대전속록』 「도승(度僧)」 조 폐기
2) 양종도회소 혁파와 『경국대전』 「도승」 조 삭제
3) 승인호패법, 또 다른 형태의 도첩제 실시
3. 명종(明宗) 대 선과(禪科) 복원에 대한 고찰
1) 양종(兩宗) 복립과 선과(禪科) 복원
2) 명종 대 선과(禪科)의 양상
4. 또다시 회복된 선과(禪科), 기형화된 모습
1) 기형화된 선과의 양상
2) 승군(僧軍)과 매골승 등 다수의 승직자 양산
3) 승단 등계(登階)의 변화
Ⅳ. 승과(僧科)의 주관자와 입격자
1. 선시(選試)와 선과(禪科)의 주관자
1) 선시(選試) 주관자
2) 복원된 선과(禪科)와 주관자
2. 선시(選試) 입격자
1) 선시(選試) 입격자의 한정
2) 태조~태종 대의 입격자
3) 세종~단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4) 세조~성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5) 연산군~인종 대에 활동한 선시 입격자
3. 선과(禪科) 입격자
1) 명종 대에 활동한 선시, 선과 입격자
2) 선조 대 선과 입격자의 활동
Ⅴ. 맺음말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