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어원과 그 문화(하) 또는 학부모와 교사가 함께 읽는 학교생활 실전 대처법
땅끝
2024-12-19 07:52
104
0
본문
우리말의 어원과 그 문화(하)

도서명 : 우리말의 어원과 그 문화(하)
저자/출판사 : 박갑수, 역락
쪽수 : 620쪽
출판일 : 2024-06-28
ISBN : 9791167424075
정가 : 52000
Ⅰ. 고유어(固有語)의 장(章)
“가말다”의 의미와 어원
“가쁘다”의 어원
“가시버시”의 어원
“가을”과 “겨울”의 어원
가축과 그 새끼들의 이름
“감(資)”의 실체
“감추다(藏)”의 어원과 의미
“같잖은” 녀석의 문화
“걸음걸이”의 문화
“고맙다”와 “감사하다”의 온도
“고무래”의 의미와 어원
“곱다”와 “예쁘다”의 의미 세계
“곱돌”과 돌비늘의 어원
귀고리의 어원문화
“귀먹다”와 “코먹다”의 어원 주변
“귀이개”와 “귀지”의 어원
“그위”와 “마”의 의미와 활용
“기다리다(待)”의 어원
“기르다(育)”와 “치다”의 어원
“길쌈”의 어원문화
“깃”과 “집”의 상관관계
“꺼풀”과 “거푸집”의 어원
“꽃달임(花煎)”의 문화
“꽃답다”의 어원과 의미
“꽃샘바람”과 “화신풍”의 문화
“꾸짖다”의 네 이형태(異形態)
“끄집어내다”와 “꺼당기다” 계통의 말
“나비”와 “나비질”의 어원
“나중”과 “내종”의 본적
“날(經)”과 “날다”의 어원
“냇내”와 맛맛의 어원
“냄새”와 “곳답다”의 향취
“노린내”의 어원과 의미
“눈살・콧살”의 정체와 어원
“달무리”와 “햇무리”의 어원
“덤”과 “에누리”의 어원
“데릴사위”의 어원과 문화
“동곳을 빼다”와 “뽐내다”의 어원
“돛대”와 “돛단배”의 어원
“두절개”와 “대보름”의 문화
“마을”은 촌(村)과 관서(官署)의 두 말
“맏이”와 “아우”의 어원과 형태적 변화
“말뚝”과 “말목”의 어원
“모자라다”의 의미와 어원
“뫼(飯)”와 “모이(飼)”의 상관관계
“무드렁 사려”와 “신기료” 장수의 어원
“무자위”와 “자새”의 어원
“물볼기”와 태형의 문화
“물부리”와 “설대”의 어원
“물장사”와 “술장사”의 상관관계
“바느질”과 그 주변 어휘
“박”과 “종구라기”의 어원
“바지”의 문화와 어원
벼슬아치와 구실아치의 구분
“보리바둑”과 “흘떼기장기”의 의미
“보릿고개”와 “칠궁”의 어원문화
“봄”과 “여름”의 어원
“부뚜질”과 풍석의 언어문화
“부시다(映)”, “비치다”의 어원과 정체
“부시다(湯)”의 의미와 어원
“부심”과 “가심”과 “헹굼”의 세계
“북돋우다”와 “붓도도다”의 어원
“비탈”의 어원과 지명 “-골・-실”
“사그릇”과 “사기(沙器)”의 관계
“사내”와 “가시내”의 어원
“사람”과 “짐승”의 어원
사립문과 살기문의 어원
“새끼”와 인간(人間)의 어원과 의미
“새벽”의 명명과 발상
속(內)・솝과 “소”의 상호관계
수저 문화와 젓가락 문화
“싀어지다”의 의미변화
“시골”과 “골목”의 의미와 어원
“시앗 샘”의 어원과 문화
“시치미”의 어원
“심부름”의 어원과 문화
“싹”과 “엄”과 “움”의 생멸
“쓰레기”와 “티끌”의 어원
“아니꼽다”와 “우세”의 어원
“아래(下)”와 “아래(先)”의 동음 충돌
아침・낮・저녁의 삼원체계 문화
“안주”의 말뜻과 어종(語種)
“어린이”와 “젊은이”의 구분
“어버이”의 어원문화
얼굴을 나타내는 어휘문화
업다(負)와 엎다(覆)의 어원
“업신여기다”의 어원
“없다”와 합성된 형용사의 실체
“영글다”와 특수한 활용의 말
“옆”과 “곁”의 어원과 의미
“오금”과 “오가리”의 어원
“오롯이”와 “오롯하다”의 어원
“이름(名)”의 어원
이바지와 바라지의 어원
이밥과 끼니의 어원
“익히다”의 어원과 의미 확장
“일어나다”의 문화와 “나그네”
“자물쇠”와 “열쇠”의 어원
“자반”과 “좌반”의 상호관계
“잠”의 어원과 몇 가지 잠
“쟁기”의 어형과 의미 변화
“조금”과 “경(更)”의 의미연합
“졸음”의 어원과 자블음
“주름”과 “줄다(縮)”의 상관관계
“주비(矣)”와 육주비전의 어원
“죽음”의 완곡한 표현
“쥐다(握)”의 어원
“지름길”의 어원
채와 채찍, 그리고 편(鞭)
“총채”와 “삿갓”의 재료
“춥다・추위”의 의외와 어원
“코뚜레”의 어원과 명명
“톱”과 “손톱”의 상호관계
“피다”와 “퍼지다”의 어원과 상호관계
“하루・이틀・사흘・나흘…”의 어원
해바라기와 바라보기의 어원
흰쌀밥과 이밥의 관계
Ⅱ. 한자어(漢字語)의 장(章)
“감자”와 “토란”의 표현 문화
개천(開川)과 신작로의 어원
“고려공사삼일”과 “조선공사삼일”의 어원문화
“곡학아세(曲學阿世)”의 문화적 배경
과하지욕(胯下之辱)의 교훈
교사・스승・선생의 어원과 의미
내(內)・외명부(外命婦)의 문화
“누비”와 “납의(衲衣)”의 상관관계
“단기지계(斷機之戒)”의 교훈
단란(團欒)의 의미와 문화
“담요”의 어종과 음운변화
동냥과 구걸아치의 상관관계
“동산”과 “원두”의 실체
“동상복탄”의 어원과 “동상전”
“동생”과 “아우”의 실체
“맥고모자”와 “대팻밥모자”의 문화
무당과 단골의 어원문화
“물고(物故)”의 의미
물시어인(勿施於人)의 교훈
“박수(拍手)”의 어원문화
“방물(方物)”과 “토산(土産)”의 문화
“방석”의 정체와 문화
“배강(背講)”과 책상퇴물의 문화
백정(白丁)과 포정의 어원문화
“보부상”과 “도붓장사”의 문화
부마(駙馬), 임금의 사위의 어원
북망산(北邙山)과 미망인의 문화
“비위(脾胃)”의 실체와 의미
“사냥”과 “천렵”의 어원문화
“삼물(三物)”과 “오맞이꾼”의 의미
“삼질”과 “명질(名日)”의 어원
“선반(懸盤)”의 어원
“성공(成功)”이란 말의 의미변화
“세수”와 “양치질”의 어원
“속수(束脩)”에 얽힌 문화
“시(寺)”와 사(寺)의 어휘 문화
“안경(眼鏡)”의 어원과 문화
“야심”과 “포식자”의 어원과 문화
“억장(億丈)”의 어원과 의미
“여관(女官)”과 “궁인(宮人)”의 문화
“역린(逆鱗)”의 문화와 의미
열강(列强)의 한자어 이름
“예”와 “예 황제 팔자”
오곡(五穀)과 쌀의 실체
오대양(五大洋)과 육대주의 한자어 이름
“오징어”의 어원 오적어(烏賊魚)
“옥편(玉篇)”이란 말의 언어문화
“왜”와 “예”, 일본의 다른 이름
“우편(郵便)”과 우편문화
“월경(月經)”과 “생리”의 문화적 차이
월급(月給)과 녹봉의 문화
“유세(遊說)”의 발음과 의미
인연(因緣)의 어원과 의미
“일부당관 만부막개(一夫當關 萬夫莫開)”의 의미
“일장공성(一將功成)”의 배후
전각(殿閣)과 경칭(敬稱)의 문화
전답(田畓)에 대한 인식
제상(祭床) 진설의 언어문화
“조장(助長)”의 의미와 실체
“주전자”와 약탕관의 문화
“지기(知己)”와 “열기(悅己)”의 문화
“차(次)”, 한국한자어의 의미
“철옹성”과 “금성탕지”의 어원문화
“추파(秋波)”의 문화
“타작”과 한자의 병기
“탄주지어(呑舟之魚)”의 현실과 문화
“태두(泰斗)”의 어원문화
“파과(破瓜)”와 파천황의 어원
판관사령과 파부(怕婦)의 문화
“해우차(解憂次)”와 화대(花代)
호색(好色)과 여색(女色)의 사회적 거리
“혼인”의 몇 가지 이름
“후보(候補)”의 어원과 의미
“훤화(喧譁)”와 “입씨름”의 문화
“휴서(休書)”와 “할금(割襟)”의 문화
Ⅲ. 혼종어(混種語)의 장(章)
“괜찮다”의 어원 신론
“권커니 잣거니”의 어원
“다홍치마” 주변 이야기
“대목”의 어원은 큰 목
“대수롭다”의 어원과 “일없다”의 의미
바람병과 중풍・뇌졸중의 어원
“반보기”와 보름보기의 어원문화
“반소매”와 “개구멍바지”의 어원
“사글세”와 “삭월세”의 정오
사발통문의 어원과 의미
살수청과 육병풍의 어원문화
“삿대”와 “상앗대질”의 어원문화
“설빔”과 “빗다(梳)”의 어원
“수박”과 “외”의 문화
“아우성”의 어원
“애꿎다”의 의미와 어원
“애당초”와 아시팔자의 어원
“옹기그릇”과 그 말의 문화
“을씨년스럽다”의 어원문화
“인두겁”과 “붓두껍”의 이동(異同)
“지키다”의 어원문화
“책상다리”와 “가부좌”의 상호관계
“책씻이”와 “씻이” 문화
척(隻)지다의 어원과 의미
“치마양반”과 치마 주변 문화
“팔찌”의 어휘 변화
“호랑이”와 범이란 말의 상호관계
“화투”와 “하나부타”의 문화
“흘떼기장기”와 윷진아비의 발상과 명명
Ⅳ. 외래어(外來語)의 장(章)
“각본(脚本)”, “각색”의 본적
“공처가(恐妻家)”의 생성 배경
“관록(貫祿)”의 문화적 배경
“꼭두각시”와 “꼭두각시놀음”의 어원
“넥타이”와 하돈(河豚)의 명명
“말(馬)・메(山)・뭇(衆)”의 형태와 의미
“무명(木棉)”과 “명주”의 어원
바바리코트와 포크레인−제품과 제조회사 이름의 전용
“사돈”의 어원과 의미
“선입견”과 선입지어의 문화
“순대”와 “푸줏간”의 어원문화
외래어의 수용과 어원
“원(圓)”과 돈의 단위, 그리고 “회사(會社)”
“원탁회의”의 시말과 어원
인(引)・도(渡)・수(手), 일본 훈독어의 정체
“장본인(張本人)”의 의미변화의 실체
절(切)・취(取)・하(荷)・합(合), 일본어 훈독어의 정체
“초승・보름・그믐”의 어원
“초야(初夜)”와 “첫날밤”의 문화
“출마(出馬)”라는 말의 본적
“타합(打合)”과 중절모(中折帽)의 어원
“팁”의 어원과 문화
“파마・알바, 앙코르” 등의 어원
“팬데믹”과 코로나19
“팬티”와 쓰봉의 정체
“플러스-알파”와 파이팅의 정용(正用)
“피리”와 노구의 어원
“하마평”의 어원과 문화
화(靴)・혜(鞋)・기(屐)의 의미 변별
“횡령”이란 일본어의 수용
“흑막(黑幕)”의 정체
학부모와 교사가 함께 읽는 학교생활 실전 대처법

도서명 : 학부모와 교사가 함께 읽는 학교생활 실전 대처법
저자/출판사 : 서은현,정하은,진푸른, 미다스북스
쪽수 : 400쪽
출판일 : 2024-02-27
ISBN : 9791169105163
정가 : 25000
서문
들어가기에 앞서 드리고 싶은 말씀
1장 학부모
문제 편 : 학교생활에서 일어날 수 있는 불안한 여러 가지 일
1. 새 학기를 맞이하며 불안한 학부모, 교사, 학생
2. 학교폭력 당한 내 아이, 법대로 해결합시다! 그런데?
3. 우리 애가 학교폭력 가해자?
4. 문제행동을 한 아이의 심기를 거스르면 아동학대죄?
궁금증 편 : 학교,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해결됩니다
1. 학교는 학생의 마음을 읽어주지 않는 것 같아요
2. 학생 지도는 교실에서 꼭 해야 할까요? 공개 망신을 주는 것 같습니다
3. 우리 아이가 말하는 것과 학교에서 말하는 것이 달라요
4. 학급에서 명확한 규칙을 정해서 지도하면 학급 질서가 생기지 않을까요?
5. 학교는 왜 “모든” 사건 사고를 가정에 전달하지 않는 걸까요?
6. 문제행동하는 학생을 학교가 미리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해결 편 : 지금 시스템에서 현실적인 해결 방법을 말씀드립니다
1. 우리 모두 충분히 알고 갑시다. 아는 게 힘!
2. 자녀가 겪는 상황에서 교사에게 문의하는 방법
3. 자녀가 학폭 가해자로 휘말리지 않는 방법
4. 좋은 변호사를 찾고 상담하는 방법
2장 교사
문제 편 : 지금 교실은 가불기 상황입니다
1. 지금 교실은 “가불기”로 인한 불안 상태입니다
2. 교직 인생을 걸고 생활지도 해야 하는 교실 상황
3. 한 권의 책만 읽어본 사람은 매우 위험한 사람입니다
4. 교사를 바라보는 양극단의 시선들
5. 학교에 전가되는 학부모의 불안감
6. 훈육 훈계를 어색해하는 학생과 학부모
7. 이제는 솔직해져야 할 시점 : 학교가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해결 편 : 현실 학교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의 기술
1. 학부모와의 관계 : 멀고도 가까운 사이
2. 학급 생활지도는 미리 3월에 정립해두세요
3. 디테일 그리고 또 디테일!
4. 군자는 나아갈 때와 물러날 때를 압니다
5. 공교육 교사는 개인 사업자가 아닙니다
6. “죄송하다는 말” 함부로 하는 거 아닙니다
7. 억지 부리며 분노한 학부모와 전화 상담을 어떻게 할까요?
8. 문제행동 지적했는데 학생이 말대꾸? 어떻게 해결할까요
9. 적자생존 : 기록하고 또 기록하자
10. 교사가 수사나 조사받는 법
3장 학부모와 교사
1. 정리 편 : 불안한 교육 상황에서 걱정되시는 학부모와 교사들께
2. 미래 교육 편 : 학생 생활지도 시스템 개선 방안
3. 질문과 저자 답변
글을 마치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