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이상한 수학책 또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땅끝
2025-01-04 07:51
184
0
본문
더 이상한 수학책

도서명 : 더 이상한 수학책
저자/출판사 : 벤 올린, 북라이프
쪽수 : 396쪽
출판일 : 2021-03-02
ISBN : 9791191013122
정가 : 22000
머리말
제1부. 순간
제1장 손에 잡히지 않는 시간: 미적분학이 소원을 들어주다
제2장 영원히 떨어지는 달: 미적분학이 우주를 설명하다
제3장 버터 바른 토스트를 먹으며 느낀 찰나의 행복: 미적분학이 마음을 사로잡다
제4장 세계 공통어: 미적분학이 재미를 보다
제5장 미시시피강이 160만 킬로미터를 흐른다면: 미적분학이 장난을 치다
제6장 셜록 홈스와 엉뚱한 방향을 가리키는 자전거: 미적분학이 미스터리를 풀다
제7장 근거 없는 유행학 개론: 미적분학이 유행을 기록하다
제8장 바람이 남긴 것: 미적분학이 수수께끼를 내다
제9장 더스티 댄스: 미적분학이 식물학자를 당황하게 만들다
제10장 머리칼이 새파란 여성과 초월적인 소용돌이: 미적분학이 남편을 대신하다
제11장 도시의 경계에 선 공주: 미적분학이 해안가를 소유지로 주장하다
제12장 종이 클립이 일으킨 폐허: 미적분학이 재앙을 안내하다
제13장 곡선의 최후 승리: 미적분학이 조세 정책을 다시 쓰다
제14장 그 개는 알고 있다: 미적분학이 개를 스타로 만들다
제15장 칼큘무스!: 미적분학이 모든 문제를 영원히 해결하다
제2부. 영원
제16장 circle 그리고 원, 집단, 서클: 미적분학이 오이를 자르다
제17장 《전쟁과 평화》와 적분: 미적분학이 역사를 변혁하다
제18장 리만시(市) 스카이라인: 미적분학이 도시 설계자가 되다
제19장 통합이란 위대한 성취: 미적분학이 디너파티를 준비하다
제20장 적분 안에서 벌어지는 일은 적분 안에 머문다: 미적분학이 도구를 늘리다
제21장 딱 한 번 펜을 잘못 놀렸을 뿐인데 사라져 버린 존재: 미적분학이 우주의 68퍼센트를 지우다
제22장 1994년, 미적분학이 탄생하다: 미적분학이 혈당치를 측정하다
제23장 고통을 반드시 느껴야 한다면: 미적분학이 영혼을 측정하다
제24장 신들과 싸우다: 미적분학이 로마의 공격을 막아 내다
제25장 보이지 않는 구로부터 : 미적분학이 4차원을 방문하다
제26장 추상주의에 뛰어난 바클라바: 미적분학이 미주가 되다
제27장 가브리엘, 너의 나팔을 불라: 미적분학이 이단을 낳다
제28장 불가능의 장면: 미적분학이 짜증과 동시에 열광을 일으키다
감사의 말
강의 노트
참고 문헌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도서명 : 클라우드 네이티브를 위한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 구축
저자/출판사 : 디네시 G. 더트, 한빛미디어
쪽수 : 564쪽
출판일 : 2021-08-20
ISBN : 9791162244586
정가 : 36000
CHAPTER 1 새로운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동기
1.1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의 혼합
1.2 지난 세기의 네트워크 디자인
1.3 액세스-애그리게이션-코어 네트워크 디자인의 문제점
1.4 못다 한 이야기
1.5 마치며
CHAPTER 2 클로스: 새로운 세상을 위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2.1 클로스 토폴로지 소개
2.2 클로스 토폴로지 심층 분석
2.3 클로스 토폴로지 확장
2.4 두 가지 3계층 모델 비교
2.5 클로스 토폴로지의 의미
2.6 클로스 네트워크의 모범 사례
2.7 호스트 연결 모델
2.8 마치며
2.9 참고문헌
CHAPTER 3 네트워크 분리
3.1 네트워크 분리란
3.2 네트워크 분리의 중요성
3.3 오늘날 네트워크 분리가 가능해진 이유
3.4 분리된 환경의 네트워크 운영 차이점
3.5 오픈 네트워크 설치 환경
3.6 네트워크 분리에서 하드웨어를 담당하는 업체
3.7 네트워크 분리의 일반적인 미신
3.8 네트워크 분리를 위한 엔지니어링 모범 사례
3.9 마치며
3.10 참고문헌
CHAPTER 4 네트워크 운영체제 선택
4.1 네트워크 장비 요구 사항
4.2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과 오픈플로의 부상
4.3 NOS 설계 모델
4.4 사용자 인터페이스
4.5 클라우드 네이티브 NOS 요구 사항에 따른 NOS 모델 비교
4.6 NOS가 해야 할 일
4.7 마치며
4.8 참고문헌
CHAPTER 5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
5.1 라우팅 개요
5.2 라우팅 프로토콜 개요
5.3 거리 벡터 프로토콜과 링크 상태 프로토콜
5.4 거리 벡터와 링크 상태 프로토콜 비교
5.5 클로스 네트워크의 라우팅 프로토콜
5.6 양방향 포워딩 감지
5.7 데이터 센터의 라우팅 프로토콜 요구 사항
5.8 네트워크에 맞는 라우팅 프로토콜 선택
5.9 마치며
5.10 참고문헌
CHAPTER 6 네트워크 가상화
6.1 네트워크 가상화란
6.2 데이터 센터에서 네트워크 가상화 사용
6.3 데이터 트래픽에서 스위치 관리 네트워크 분리하기
6.4 네트워크 가상화 모델
6.5 네트워크 터널: 오버레이를 구축하는 기초
6.6 데이터 센터용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
6.7 현실적인 가상 네트워크 수 제한
6.8 네트워크 가상화의 제어 프로토콜
6.9 공급 업체의 네트워크 가상화 지원
6.10 VXLAN 브리징과 라우팅
6.11 마치며
CHAPTER 7 컨테이너 네트워킹
7.1 컨테이너 소개
7.2 네임스페이스
7.3 가상 이더넷 인터페이스
7.4 컨테이너 네트워킹: 깊이 알아보기
7.5 다른 컨테이너 네트워크 솔루션의 비교
7.6 쿠버네티스 네트워킹
7.7 마치며
CHAPTER 8 멀티캐스트 라우팅
8.1 멀티캐스트 라우팅: 개요
8.2 멀티캐스트 라우팅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8.3 PIM 산재 모드
8.4 데이터 센터에서의 PIM-SM
8.5 마치며
CHAPTER 9 데이터 센터 에지에서의 삶
9.1 문제점
9.2 연결성 모델
9.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연결성
9.4 마치며
CHAPTER 10 네트워크 자동화
10.1 네트워크 자동화란
10.2 네트워크 자동화가 필요한 대상
10.3 자동화를 위해 프로그래밍 학습이 필요한가
10.4 네트워크 자동화가 어려운 이유
10.5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해 네트워크 개발자가 할 수 있는 일
10.6 네트워크 자동화를 위한 도구
10.7 자동화 모범 사례
10.8 앤서블: 개요
10.9 일반적인 자동화 여정
10.10 설정 검증
10.11 마치며
10.12 참고문헌
CHAPTER 11 네트워크 관측성
11.1 관측성의 정의
11.2 네트워크 관측성 현황
11.3 네트워크에서 관측성이 어려운 이유
11.4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의 관측성: 특수한 성격
11.5 관측성 분해
11.6 텔레메트리 역학
11.7 다중 데이터 소스의 사용
11.8 경고 및 대시보드
11.9 마치며
11.10 참고문헌
CHAPTER 12 네트워크 디자인 재고
12.1 표준화된 단순한 구축 단위
12.2 장애: 나무를 보기 보단 숲을 봐라
12.3 보다 적은 것을 추구하자
12.4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디자인 원칙의 제약 사항
12.5 마치며
CHAPTER 13 OSPF 배치
13.1 왜 OSPF인가
13.2 해결해야 할 문제
13.3 OSPF 경로 유형
13.4 OSPF 타이머
13.5 OSPF 설정 해부
13.6 모범 사례
13.7 마치며
CHAPTER 14 데이터 센터에서의 BGP
14.1 기본 BGP 개념
14.2 데이터 센터에서 BGP 도입
14.3 마치며
CHAPTER 15 BGP 배치
15.1 핵심 BGP 구성 개념
15.2 2계층 클로스 토폴로지를 위한 IPv4의 전통적인 구성
15.3 피어 그룹
15.4 라우팅 정책
15.5 데이터 센터를 위한 좋은 기본값 제공
15.6 언넘버드 BGP: 성가신 인터페이스 IP 주소 제거
15.7 IPv6 구성
15.8 BGP와 VRF
15.9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BGP 스피커와의 피어링
15.10 BGP와 업그레이드
15.11 모범 사례
15.12 마치며
CHAPTER 16 데이터 센터에서의 EVPN
16.1 EVPN이 널리 쓰이는 이유
16.2 네트워크 가상화 제어 평면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
16.3 VTEP의 위치
16.4 모든 것을 지배하는 하나의 프로토콜
16.5 가상 네트워크 경로를 지원하는 BGP 구축
16.6 EVPN과 브리징
16.7 이중 연결 호스트 지원
16.8 ARP/ND 억제
16.9 EVPN과 라우팅
16.10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EVPN 배치
16.11 마치며
CHAPTER 17 네트워크 가상화 배치
17.1 구성 시나리오
17.2 장치 로컬 구성
17.3 단일 eBGP 세션
17.4 OSPF 언더레이, iBGP 오버레이
17.5 호스트에서의 EVPN
17.6 모범 사례
17.7 마치며
CHAPTER 18 네트워크 구성 검증
18.1 네트워크 상태 검증
18.2 시스템 검증
18.3 케이블링 검증
18.4 인터페이스 구성 검증
18.5 라우팅 구성 검증
18.6 네트워크 가상화 검증
18.7 애플리케이션 네트워크 검증
18.8 데이터 평면 검증
18.9 마치며
CHAPTER 19 코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