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 Years of EU-Korea Relations 또는 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60 Years of EU-Korea Relations 또는 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땅끝
2024-12-19 07:52 103 0

본문




60 Years of EU-Korea Relations
9791171990733.jpg


도서명 : 60 Years of EU-Korea Relations
저자/출판사 : Kim Sihong , Lee Moosung , Ni, HUINE
쪽수 : 276쪽
출판일 : 2023-12-29
ISBN : 9791171990733
정가 : 36000

Preface 003

Foreword 1
Ryu Jeonghyun 005

Foreword 2
María Castillo FernÁndez 007

1. Six Decades of Korea-EU Relations, 1963-2023
-Kim Sihong 011
2. The 2010 Framework Agreement and its Impacts on Managing Political Relations
between the ROK and the EU
-Eric J. Ballbach 028
3. EU-ROK Security Relations
-Mason Richey 044
4. The EU-Korean Strategic partnership
-Lee Moosung 057
5. EU and the Korean Peninsula
-Nicola Casarini 072
6. Towards a new start in EU-DPRK (North Korea) relations
-Bernhard Seliger 087
7. Korea-EU Trade Relations from a Global Supply Chain Perspective
-Kang Yoo-duk 107
8. Transforming Global Supply Chain and Korea-EU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Battery Industry
-Ahn Sangwuk 141
9. EU-Korea Digital Partnership
-Chung Saewon 168
10. EU-Korea Education Cooperation
-Kim Bongchul 178
11. EU-Korea Cultural Cooperation
-Yoon Sungwon 195
12. Reciprocal Perceptions on Korea and the EU
-Han Jeonghun 218
13. Strengthening Mutual Alliances: Science Research and Innovation Cooperation
-Tomasz Wierzbowski 230
14. Looking at 2083: Perspectives for EU-Korea Relations
-Michael Reiterer 253




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9791167426307.jpg


도서명 : 한자어의 의미 변화 연구
저자/출판사 : 마원걸, 역락
쪽수 : 264쪽
출판일 : 2024-02-28
ISBN : 9791167426307
정가 : 24000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1) 한자어 전반에 대한 사적 연구
2) 개별 한자어의 의미사(意味史) 연구
3) 한중 동형이의어에 대한 연구
3. 연구 방법
1) 기본 방법
2) 연구 대상 선정
3) 연구 대상 분류
4. 논의 구성
5. 인용 자료
① 15세기
② 16세기
③ 17세기
④ 18세기
⑤ 19세기
⑥ 20세기
제2장

한자어 내부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期於(X)’
1) 현대 한국어 ‘期於(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2. ‘一切’
1) 현대 한국어 ‘一切’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3. 기타 한자어


제3장

연어 관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工巧(X)’
1) 현대 한국어 ‘工巧(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2. ‘慇懃’∙131
1) 현대 한국어 ‘慇懃(X)’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의미 변화
3) 소결
3. 기타 한자어

제4장

구문 층위에서 파악되는 의미 변화
1. ‘已往’
1) 현대 한국어 ‘已往’의 의미적 특징
2) ‘已往’의 통시적 변화
3) 소결
2. ‘放心’
1) 현대 한국어 ‘放心’의 의미적 특징
2) ‘放心’의 통시적 변화
3) 소결
3. ‘若干’
1) 현대 한국어 ‘若干’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변화
3) 소결
4. ‘如干’
1) 현대 한국어 ‘如干’의 의미적 특징
2) 통시적 변화
3) 소결

제5장

결론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