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픈 삼각형 웃긴 사각형 또는 신내림의 철학자 하이데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슬픈 삼각형 웃긴 사각형 또는 신내림의 철학자 하이데거

땅끝
2024-12-19 07:52 102 0

본문




슬픈 삼각형 웃긴 사각형
9791165702694.jpg


도서명 : 슬픈 삼각형 웃긴 사각형
저자/출판사 : 이근화, 창비
쪽수 : 120쪽
출판일 : 2024-08-05
ISBN : 9791165702694
정가 : 10000

제 1부 나의 꿈은 적을 수 없어요
나의 꿈은 적을 수 없어요
지금도 그럴까요
불을 켜고 끄는 능력
엄마, 이번 방학엔
문제집 아래 빛나는 그것
아프고 나면
한 뼘 그늘 아래 장군 멍군
동네 이웃들
지금 이 세계는
주말 나들이

제2부 한밤중 강변에서 기다리고 있음
살구나무 회의
한밤중 강변에서 기다리고 있음
급식 시간
타로
나의 느림은 이유가 있다
삐딱하게
마음속 깊은 곳
시험 날 아침, 지각
날씨 흐림
콩 가지 버섯 멸치

제3부 인간과 귀신이 함께
매봉산에서 만나요
1일 1빵 하는 엄마
고슴도치 할머니
성북영
우리들 마음에 빚이 있어
말아 올린 속눈썹
조개 할머니
겨울의 속도
할머니의 잠꼬대
인생과 인삼
긴긴밤 인간과 귀신이 함께
아나콘다가 엄마를 삼켰어요

제4부 우리 몸속에 살고 있는 수없이 많음
슬픈 삼각형 웃긴 사각형
고향이 어디니
할머니의 봄
쿠키인가 비누인가
언니는 좋겠다
삼대의 입맛
방들의 즐거움
칼로 물을 벤다는 것
사랑이 서로 달라
아침에 베이컨 저녁의 베이컨
우리 몸속에 살고 있는 수없이 많은


발문 | 최지은
시인의 말




신내림의 철학자 하이데거
9788963243078.jpg


도서명 : 신내림의 철학자 하이데거
저자/출판사 : 문성학, 북코리아
쪽수 : 584쪽
출판일 : 2024-01-10
ISBN : 9788963243078
정가 : 29000

들어가며

1장 예비적 고찰: 칸트와 하이데거
1. 칸트의 선험적 형이상학과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형이상학
2. 플라톤, 칸트, 하이데거에서 진선미의 주소지
3. ‘가능적 무한’의 개념으로 투시하는 하이데거 철학
4. 칸트철학과 가능적 무한의 개념
5. 칸트의 선험적 자아와 하이데거의 현존재
6. 테카르트와 가능적 무한의 개념
7. 칸트는 데카르트의 아류인가?

2장 하이데거에서 존재의 유한성
1. ‘죽음에의 존재’로서 (현)존재는 유한하다
2. 유한성의 철학자 칸트
3. 현존재와 가능적 무한
4. ‘존재는 유한하다’는 하이데거 명제의 문제점
5. 하이데거의 존재탐구가 선험적 가상에 대한 탐구가 되지 않으려면?

3장 칸트, 헤겔, 하이데거의 무 개념
1. 칸트의 무 개념
2. 헤겔의 무 개념
3. 하이데거에서 무와 불안
4. 하이데거의 ‘불안의 형이상학’이 불안한 형이상학인 세 가지 이유

4장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의미 존재론과 칸트의 선험적 사물 존재론의 구조적 동일성
1. 칸트의 ‘인식론적 선험’에서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초월’로
2. 하이데거의 무를 해석하는 두 가지 방식
3. 칸트에 있어서 존재와 무의 관계

5장 세계내적 무와 세계초월직 무, 세계내적 불안과 세계초월적 불안
1. ‘세상은 왜 무가 아니고 존재자인가?’라는 질문은 가장 철학적인 질문인가, 잘못된 질문인가?
2. 무가 논리학의 무능을 폭로한다면, 논리학은 하이데거의 무논리를 고발한다

6장 하이데거는 의미관념론자임을 넘어서 사물관념론자인가?
1. 인간이 사라지면 세계도 사라지는가?
2. 하이데거의 혼란
3. 사물존재와 의미존재의 관계

7장 ‘거기 있음’과 ‘그리 있음’에 대한 하르트만과 하이데거의 입장 차이
1. 사물범주와 실존범주
2. 하이데거 이전의 서양철학은 인간을 사물범주로 파악했는가?

8장 전통적 인간 규정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과 그 문제점
1. 하이데거의 사르트르 비판
2. 막스 셀러의 철학적 인간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3. 인간에 대한 실증과학적 연구는 무의미한가?

9장 하이데거의 과학비판과 그 문제점
1. 과학이 사유하지 않는다면, 존재사유는 계산하지 않는다
2. 과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중적 평가
3. 과학시대의 도래는 존재의 역사적 운명인가?
4. 과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혼란된 평가의 근본원인

10장 하이데거에서 존재담론의 풍요 속 빈곤
1. 존재물음의 애매성
2. 존재에 대한 풍부한 묘사, 빈곤한 정의
3. 존재사유와 기존 형이상학의 해체
4. 하이데거에서 철학의 문학화

11장 하이데거의 ‘형이상학 없는’ 형이상학
1. 서양 형이상학은 존재 망각의 형이상학인가?
2. 하이데거의 가능적 무한의 형이상학
3. 존재와 가상
4. 사이비 깨우침

12장 하이데거에서 ‘무용지용’ 의 사유와 가능적 무한
1. 하이데거의 ‘무용지용’ 논법의 사례들
2. 하이데거의 ‘무용지용’과 가능적 무한

13장 하이데거 존재사유의 유용성과 무용성
1. 존재사유와 과학의 발전
2. 존재사유와 나치 참여
3. 존재사유와 한나 아렌트
4. 존재사유와 사이비 선지자

14장 하이데거의 철학적 마술의 한계
1. 3막으로 된 하이데거의 철학적 마술
2. 약속 파기가 약속된 『존재와 시간』

15장 하이데거의 전기와 후기는 단절인가 연속인가?
1. 하이데거의 전회
2. 가능적 무한-현실적 무한의 관점에서 본 전회
3. 전회를 둘러싼 애매함
4. 전회가 단절로 해석되어야 할 네 가지 이유
5. 발터 슐츠의 연속성 주장의 문제점
6. 전회 문제와 하이데거의 딜레마
7. 하이데거 후기 사유의 문제점

16장 하이데거를 넘어서
1. 현실적 무한의 철학자 플라톤과 칸트
2. 플라톤에 대한 니체의 오해
3. 인간은 ‘죽음에의 존재’가 아니다

참고문헌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