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철학과 교육 또는 2024 박문각 행정사 1차 조민기 민법총칙 기본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동양철학과 교육 또는 2024 박문각 행정사 1차 조민기 민법총칙 기본서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6 0

본문




동양철학과 교육
9791165875398.jpg


도서명 : 동양철학과 교육
저자/출판사 : 이승원, 보고사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7-28
ISBN : 9791165875398
정가 : 16000

머리말

1장 왜 동양철학인가?
1. 철학의 의미 : 삶의 성찰과 카운슬링
2. 동양의 사유방식과 정신세계
1) 동서양의 사유방식 차이
2) 동양의 정신세계 정리
가. 분별의 원칙 - 유교의 근본정신
나. 초월의 길 - 불교와 도가의 근본정신
다. 동양정신의 핵심 - 눈으로 보지 말고 마음으로 보아라
3. 동양철학으로서 중국철학
4. 동양철학은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있나?

2장 중국철학의 뿌리 제자백가(諸子百家)
1. 제자백가의 출현 배경
1) 제자백가의 의미
2) 제자백가의 출현 배경
2. 제자백가의 사상
3. 제자백가의 사상사적 의의

3장 유학(儒學)사상
1. 유학의 성격
2. 유고(儒敎)의 기원과 유자(儒者)
1) 예(禮)의 기원과 특징
3. 유학사상(儒學思想)의 전개
1) 공자(孔子)의 사상과 교육
2) 맹자(孟子)의 사상
3) 순자(荀子)의 사상
4) 주자(朱子, 朱熹)의 사상
4. 한국 유학의 이(理)·기(氣) 논쟁과
인물성(人物性) 동이(同異)논쟁
1) 퇴계와 율곡의 이·기 논쟁
5. 한국 유학의 계승
6. 유학사상의 교육적 의의 찾기

4장 노장(老莊) 사상
1. 사상 형성배경
2. 노자(老子)의 철학
1) 노자사상의 핵심
2) 노자의 주장들
3) 노자사상의 역설과 그 의의
3. 장자의 철학
1) 장자의 생애
2) 장자의 사상
3) 장자사상의 의의
4) 노장사상의 같음과 다름
4. 노장사상의 교육적 의의 찾기

5장 불교(佛敎)사상
1. 불교사상의 기본 이해
2. 원시불교 형성 배경
3. 불교 사상
1) 힌두교 사상의 부정 : 형이상학
2) 핵심적 주제 고(苦)의 문제
3) 인과관계적 사유 방식[연기(緣起) 사상]
4) 중도(中道)사상
5) 인간의 마음
4. 불교의 중국 전래와 선(禪)불교
5. 불교 사상의 교육적 의의 찾기

참고문헌




2024 박문각 행정사 1차 조민기 민법총칙 기본서
9791169874762.jpg


도서명 : 2024 박문각 행정사 1차 조민기 민법총칙 기본서
저자/출판사 : 조민기, 박문각
쪽수 : 488쪽
출판일 : 2023-09-05
ISBN : 9791169874762
정가 : 32000

Part 01. 서론
Chapter 01. 민법 일반
제1절 민법의 의의
제2절 민법의 법원
제3절 민법의 기본원리
제4절 민법의 효력 및 해석
Chapter 02. 권리
제1절 민법의 법률관계와 권리·의무
제2절 신의성실의 원칙과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Part 02. 권리의 주체
Chapter 01. 서설
Chapter 02. 자연인
Chapter 03. 법인

Part 03. 권리의 객체
제1절 물건
제2절 부동산과 동산
제3절 주물과 종물
제4절 원물과 과실

Part 04. 권리의 변동
Chapter 01. 권리변동 서론
Chapter 02. 법률행위
Chapter 03. 의사표시
Chapter 04. 법률행위의 대리
Chapter 05.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Chapter 06. 법률행위의 조건과 기한
Chapter 07. 기간
Chapter 08. 소멸시효
제1절 서설
제2절 소멸시효의 요건
제3절 소멸시효의 중단과 정지
제4절 소멸시효의 효력

부록. 기출문제/민법총칙 조문
제11회 행정사 민법총칙 기출문제
민법총칙 조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