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을 향하는 순례자가 만난 예수! 루카복음 또는 초국화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3
0
본문
천국을 향하는 순례자가 만난 예수! 루카복음

도서명 : 천국을 향하는 순례자가 만난 예수! 루카복음
저자/출판사 : 곽승룡, 기쁜소식
쪽수 : 516쪽
출판일 : 2023-06-20
ISBN : 9788966612871
정가 : 30000
프롤로그 개인 및 그룹성경공부 가이드 / 6
1부 삶의 자리에서 헌신하다(루카 1,1-9,50)
1. 희망의 사람들(루카 1장)...12
2. 희망의 아기(루카 2장)...41
3. 희망의 설교자(루카 3,1-20)...60
4. 사람들의 희망(루카 3,21-4,13)...74
5. 터무니없는 주장(루카 4,14-5,16)...86
6. 권력에 대한 반대(루카 5,17-6,11)...121
7. 하늘나라 시민의 성격(루카 6,12-49)...136
8. 다섯 종류의 믿음(루카 7장)...165
9. 하느님 말씀 듣기: 믿음의 첫걸음(루카 8,1-21)...180
10. 예수의 참 정체성: 믿음의 기반(루카 8,22-56)...192
11. 제자 훈련: 믿음 안에서 뻗어가는(루카 9,10-50)...221
2부 예루살렘으로 가는 길(루카 9,51-24,53)
12. 하느님은 너무 많이 요구하신다(루카 9,51-10,24)...250
13. 의식(儀式)인가? 또는 인간관계인가?(루카 10,25-11,13)...274
14. 아니요. 그 예수님 아닙니다(루카 11,14-12,12)...295
15. 이봐요, 난 지금 인생을 즐기고 싶어요(루카 12,13-13,21)...331
16. 천국의 세 가지 놀라움(루카 13,22-14,35)...365
17. 잃어버린 두 아들의 비유(루카 15장)...388
18. 현명한 돈에 대한 비유(루카 16장)...404
19. 포기하지 않는 모습들(루카 17,1-18,14)...416
20. 하느님께서 하늘나라에서 원하시는 존재감 없고 작은 자들(루카 18,15-19,10)...436
21. 하느님 왕국에 대한 망상들(루카 19,11-48)...445
22. 하느님 나라에 대한 거부(루카 20,1-21,4)...453
23. 마지막 날에 대한 예수님의 예언(루카 21,5-38)...463
24. 우리의 파스카 어린양 예수(루카 22,1-46)...477
25. 십자가에서 하느님의 말씀(루카 22,47-23,56)...486
26. 빈 무덤에서 하느님의 말씀(루카 24장)...495
에필로그 루카복음의 이해/ 511
초국화

도서명 : 초국화
저자/출판사 : 루드거 프리즈, 한국문화사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2-28
ISBN : 9791169190961
정가 : 25000
저자의 말
Ⅰ. 이론적 토대 놓기
1. 초국화 - 유행개념인가 아니면 진지한 연구프로그램인가?
1.1 개념의 혼란과 개념 정의를 위한 제안
1.2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국제화 유형
1.3 분석단위, 기준단위 및 조사단위
1.4 초국적 관계, 초국적 네트워크 그리고 초국적 사회공간
II. 일상적 생활세계
2. 초국적 가족과 이주
2.1 세 가지 필수적인 관점의 확장
2.2 이주에서 가족 - 가족에서 이주
2.3 가족 이주의 영향
3. 초국적 네트워크에서 노령화
3.1 노동이주민 그리고 ‘세계들 사이에서의‘ 노령화
3.2 독일인 은퇴자의 노령화와 진자 이주
4. 초국적 소속성과 이주민 유형
4.1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이주의 네 가지 이념형
4.2 초국적 이주민과 그들의 사회공간적 결합
4.3 초국적 이주민과 ‘이방인’의 다른 유형들
III. 초국화와 조직
5. 초국적 조직으로서 유럽연합 노동자평의회(EBR)
5.1 유럽 차원의 초월국민국가화의 표현으로서 EBRs
5.2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조직으로서 EBRs
5.3 제너럴 모터스(GM)의 초국적 EBR
6.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이주민 조직
6.1 이주민 조직에 대한 연구
6.2 복합적 조직으로서 이주민 단체
6.3 도착국가와 출신국가 사이의 이주민 단체
6.4 초국적 이주민 조직에 대한 연구
7. 초국적 조직으로서 국제연합(UN)?
7.1 국제연합 및 다른 국가적 경계를 넘어서는 조직들
7.2 국제노동기구(ILO) 최소기준과 국제 거버넌스 구조
IV. 사회적 제도
8. 노동시장의 초국화
8.1 취업이동성 패턴의 국제화
8.2 노동시장 사회학과 이주 사회학의 통합
9. 사회 불평등의 초국화
9.1 초국적 이주와 사회 불평등
9.2 초국화와 불평등 연구
V. 결론
10. 사회공간 이론의 분화를 위한 모색
10.1 국제 비교 관점과 세계사회 관점
10.2 사회적인 것의 공간결합: 사회공간
10.3 마이크로 분석적, 메소 분석적 그리고 매크로 분석적 사회공간 유형
10.4 사회공간의 초국화
참고문헌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