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진단과 진로탐색 또는 정읍 내동[안골] 당산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자기진단과 진로탐색 또는 정읍 내동[안골] 당산제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2 0

본문




자기진단과 진로탐색
9791161264905.jpg


도서명 : 자기진단과 진로탐색
저자/출판사 : 송미라,이영,황혜원, 양성원
쪽수 : 237쪽
출판일 : 2023-02-20
ISBN : 9791161264905
정가 : 19000

Chapter
01 대학생과 진로탐색
1. 진로란 무엇인가
2. 대학생과 진로탐색
3. 진로탐색의 목표

Chapter
02 흥미
1. 흥미에 대한 이해
2. 흥미검사를 통한 진로탐색

Chapter
03 가치관
1. 가치관에 대한 이해
2. 직업가치관 검사를 통한 진로탐색
3. 욕구와 가치관

Chapter
04 적성
1. 적성에 대한 이해
2. 직업적성검사를 통한 진로탐색
3. 다중지능검사

Chapter
05 성격
1. 성격에 대한 이해
2. 성격 찾아가기

Chapter
06 종합적 자기이해
1. 자기진단 종합평가
2. 자기진단 종합평가의 절차와 내용

Chapter
07 직업의 세계
1. 직업이 주는 의미
2. 직업의 조건
3. 직업세계의 변화

Chapter
08 직업정보
1. 직업정보
2. 직무기반 직업정보

Chapter
09 진로의사결정
1. 진로결정의 중요성
2. 진로 미결정
3. 진로결정의 과정
4. 진로결정의 방법

Chapter
10 목표설정
1. 목표설정의 중요성
2. 목표설정의 방법: 만다라트 작성
3. 목표 관리 방법
4. 바람직한 목표실행 방법

Chapter
11 진로장벽
1. 진로준비행동
2. 진로장벽에 대처하기
3. 진로탄력성 보유하기
4. 문제해결력 높이기

Chapter
12 목표세우기와 경력개발
1. 목표세우기
2. 경력개발




정읍 내동[안골] 당산제
9788928518678.jpg


도서명 : 정읍 내동[안골] 당산제
저자/출판사 : 김익두 , 허정주, 민속원
쪽수 : 328쪽
출판일 : 2023-06-01
ISBN : 9788928518678
정가 : 25000

머리말

제1부 내동 당산제의 자연-인문 환경

1. 마을 명칭
2. 지형-지세 · 방위 · 마을 모양
3. 식생
4. 풍수형국(風水形局)
5. 당산 · 당집 · 정자 · 마을회관
6. 우물 · 샘
7. 행정구역
8. 마을역사
9. 언어 · 방언 특징
10. 마을 지명들
11. 성씨 · 주민 · 가구
12. 마을회의 조직 및 공동재산
13. 생업 경제 및 특산물
14. 의식주 생활
15. 신앙생활
16. 의료생활
17. 교육
18. 통과의례
19. 세시풍속
20. 마을축제
21. 민속놀이
22. 민속생활 도구
23. 구비전승
24. 기타

제2부 내동 당산제의 내용과 그 전개

제1장 내동 마을 문화와 내동 당산제
1. 자연-인문지리
2. 마을 풍수형국(風水形局)과 내동 당산제
3. 마을의 역사적 성격과 내동 당산제
4. 내동 당산제의 경제적 기반
5. 내동 당산제의 종교-문화-사회적 배경
6. 세시풍속 및 마을축제와 내동 당산제
7. 마을 공동체 사회조직 및 주요행사와 내동 당산제

제2장 내동 당산제의 기원과 역사
1. 기원(起源)
2. 내동 당산제의 역사

제3장 내동 당산제의 연행 시기 · 장소 및 금기사항
1. 연행 시기
2. 연행 장소/공간
3. 금기사항

제4장 내동 당산제의 주체와 참여자들
1. 내동 당산제의 사회적 주체
2. 마을농악대
3. 제주[祭主(화주(化主)/받이)]
4. 제관(祭官)
5. 축관(祝官)
6. 집사(執事)
7. 제웅-제작자 및 오방신기-제작자
8. 제웅-모심이 및 제웅-모심이 소
9. 오방신기-행진자
10. 소몰이-행진 참여 주민들 및 몰이소들

제5장 내동 당산제의 주요 대소도구 사물들
1. 당산나무 · 당집 · 제단석 · 선돌, 기타
2. 당산신 신위 · 오방신 신위 · 축문
3. 제웅
4. 제기(祭器) 및 제물(祭物)들
5. 농악 기물들
6. 소몰이-행진 참여 소들

제6장 내동 당산제의 연행 절차와 절차별 연행 방법
1. 마을회의
2. 제주 · 제관 · 축관 · 집사/유사 선정
3. 금기 및 금줄치기
4. 인구전(人口錢) 거출
5. 장보기 및 1차 제물장만
6. 제기(祭器) 점검 세척 및 2차 제물장만
7. 제웅 만들기
8. 오방신기(五方神旗)-연줄 깃발 만들기
9. 축문 및 오방신 신위 쓰기
10. 제웅-합방
11. 큰당산제
12. 제웅-모심이 · 소몰이-행진
13. 제웅-모셔오기
14. 작은당산제
15. 제웅-모심이 및 소몰이-일행 마을 귀환
16. 제웅 안치
17. 오방신제(五方神祭)/파제
18. 제웅치기
19. 떡 나누기 및 당산나무에 막걸리 뿌리기
20. 공동식사
21. 정초 마당밟이

제7장 내동 당산제의 문화적 의미 · 역할 · 가치
1. 내동 당산제의 문화-사회적 의미와 역할
2. 내동 당산제의 역사적-문화유산적 가치

제8장 내동 당산제의 전승 · 보존과 미래
1. 내동 당산제의 전승 현황
2. 내동 당산제의 전승과 보존을 위한 주요 방안들
3. 남은 과제들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