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하는 공동체의 행복공식 또는 ESG 투자의 시대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함께하는 공동체의 행복공식 또는 ESG 투자의 시대

땅끝
2025-01-04 07:51 138 0

본문




함께하는 공동체의 행복공식
9791156029298.jpg


도서명 : 함께하는 공동체의 행복공식
저자/출판사 : 이창기, 행복에너지
쪽수 : 260쪽
출판일 : 2021-11-01
ISBN : 9791156029298
정가 : 17000

머리말 ㆍ 004
목 차 ㆍ 006

제1장 행복이란 무엇인가?

01. 행복은 인생의 목적이다 ㆍ 012
02. 행복에 대한 정의 ㆍ 016
1) 플라톤의 행복론 ㆍ 016
2) 칸트의 행복론 ㆍ 017
3) 다산 정약용의 행복론 ㆍ 018
03. 행복은 어떻게 생겼을까? ㆍ 021
04. 행복은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을까? ㆍ 024
05. 행복의 조건 ㆍ 027
06. 행복영화, 꾸뻬 씨의 행복여행 ㆍ 030

제2장 어떻게 행복할 수 있을까?

01. 다큐영화, ‘해피’가 주는 행복의 교훈 ㆍ 034
02. 스펜서 존슨, 행복의 3단계 ㆍ 037
03. 행복은 건전한 자존감에서 ㆍ 040
04. 감사하는 만큼 행복하다 ㆍ 044
05. 긍정이 행복을 부른다 ㆍ 048
06. 문장부호로 보는 행복한 삶 ㆍ 051
07. 종교가 행복을 가져다주는가? ㆍ 054

제3장 왜 공동체행복인가?

01. 공동체행복은 왜 중요한가? ㆍ 058
02. 공동체의 불안한 징후들 ㆍ 063
1) 경제적 양극화현상 ㆍ 064
2) 저성장사회의 도래와 빈곤의 악순환 ㆍ 065
3) 도시의 위험사회 진입과 안전 ㆍ 065
4) 삶의 질에서 사회의 질로 ㆍ 066???
03. 동물세계에서 배우는 공동체행복 ㆍ 068
04. 공동체회복과 공동체주의 ㆍ 071
05. 공동체행복의 새로운 공식 ㆍ 074
1) 새로 쓰는 행복공식 ㆍ 074
2) 행복은 건강이 최고다 ㆍ 078
3) 행복은 안전이 제일이다 ㆍ 082
4) 행복은 사랑이 으뜸이다 ㆍ 084
5) 행복은 여유에서 나온다 ㆍ 086

제4장 행복한 공동체를 찾아

01. 행복한 나라 ㆍ 090
1) 덴마크 ㆍ 090
2) 부탄 ㆍ 094
3) 코스타리카 ㆍ 096
02. 행복한 도시와 마을 ㆍ 102
1) 일본 후쿠이 ㆍ 102
2) 영국 슬라우 마을 ㆍ 107

제5장 행복한 공동체를 이끌 이념

01. 인간에게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ㆍ 112
02. 공동체주의 이전의 시대 상황 ㆍ 115
03. 제3의 길, 시장 사회주의, 그리고 신자유주의 ㆍ 119
04. 새로운 대안으로서 공동체주의 ㆍ 123
05. 서양의 공동체행복이념1: 공리주의 ㆍ 126
06. 서양의 공동체행복이념2: 정의론 ㆍ 128
07. 동양의 공동체행복론자 ㆍ 134
1) 공자가 생각하는 행복한 나라 ㆍ 134
2) 다산이 꿈꾸는 행복한 사람, 나라 ㆍ 137
08. 행복한 공동체의 이념을 찾아 ㆍ 143
1) 공자가 생각하는 행복한 나라 ㆍ 143
2) 다산이 꿈꾸는 행복한 사람, 나라 ㆍ 145

제6장 행복한 공동체를 만드는 시민들

01. 시민정신은 무엇인가? ㆍ 150
02. 왜 민주시민 교육이 필요한가? ㆍ 153
03. 선진국의 시민교육 ㆍ 156
1) 영국 ㆍ 156
2) 미국 ㆍ 158
3) 독일 ㆍ 160 ???
4) 선진국 사례의 시사점 ㆍ 162
04. 우리나라 민주시민 교육의 실태 ㆍ 163
05. 우리나라 민주시민 교육의 한계와 쟁점 ㆍ 166
06. 좋은 시민과 깨어있는 시민 ㆍ 170
07. 시민리더십이란? ㆍ 174
08. 시민리더십의 개념적 전제는 공동체 ㆍ 176
09. 시민리더십의 구성요인 ㆍ 178
1) 주인의식 ㆍ 178
2) 공동체 의식 ㆍ 179
3) 준법정신 ㆍ 179 ???
4) 역사의식 ㆍ 180
10. 10만 시민리더를 키우자 ㆍ 181

제7장 공동체행복을 이끄는 공직자, 공공리더

01. 왜 공직가치인가? ㆍ 186
02. 공직가치에 무엇을 담을 것인가? ㆍ 188
03. 공직가치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ㆍ 192
04. 일 잘하는 공무원이 그릇도 깬다 ㆍ 194
05. 이론과 실제, 지란지교를 꿈꾼다 ㆍ 197
06. 햄키호테형 공무원이 답이다 ㆍ 200
07. 공공리더십이란? ㆍ 204
08. 공공리더십의 조건 ㆍ 207
1) 비전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ㆍ 207
2) 사회자본을 키워야 한다 ㆍ 209
3) 재정보다 사회의 질이 중요하다 ㆍ 211
09. 공공리더의 디지털리더십 ㆍ 215
1) 네트워크 리더십 ㆍ 216
2) 차세대 리더십 ㆍ 218
3) 지식경영 리더십 ㆍ 220??
4) 혁신지향 리더십 ㆍ 223
10. 지도자를 잘 만나는 것도 복이다 ㆍ 225

제8장 행복한 공동체를 위한 평생학습

01. 평생학습의 비전, 배워서 남 주자! ㆍ 230
02. 시민행복을 위한 평생교육정책의 비전 ㆍ 234
03. 행복한 도시공동체건설의 방향 ㆍ 237
1) 깨어 있는 시민 ㆍ 238
2) 명예로운 공직자 ㆍ 239
3) 헌신하는 공공리더십 ㆍ 240
04. 평생교육을 통한 시민행복증진프로그램 ㆍ 242
1) 건강프로그램 ㆍ 242
2) 자존감 및 자원봉사프로그램 ㆍ 243
3) 재테크프로그램 ㆍ 244

참고문헌 ㆍ 250
저자소개 ㆍ 255




ESG 투자의 시대
9788967996468.jpg


도서명 : ESG 투자의 시대
저자/출판사 : 송주형 , 최진석 , 전홍민, 북오션
쪽수 : 308쪽
출판일 : 2021-11-26
ISBN : 9788967996468
정가 : 18000

추천사
들어가는 글

친환경 PEF를 지향하며 걸어온 길 - 송주형 대표
글로벌 ESG투자 - 최진석 팀장
한국의 기업지배구조 - 전홍민 교수

논쟁으로 이해하는 ESG
ESG에 대한 개념 바로 알기
01 환경위기는 인류가 직면한 실질적인 재앙인가, 아니면 신흥국에 대한 선진국의 또 다른 “사다리 걷어차기” 인가?
02 순환경제는 실현가능한 인류의 비전인가, 아니면 드러나지 않는 다른 자원의 손실을 동반하는 눈속임에 불과한가?
03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ESG 참여 행진은 변화되는 사회에서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선택인가, 아니면 정부와 시민사회의 대기업 재벌에 대한 따가운 시선을 잠시나마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인가?
04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도 성공적인 ESG전략이 가능한가, 아니면 ESG전략은 이미 이익창출 기반을 갖춘 대기업만의 전유물인가?
05 ESG투자는 지속가능한 장기성과를 위한 충분조건인가, 아니면 그린워싱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려는 마케팅 전략인가?
06 국제회계기준과 같이 국제적으로 통일된 ESG평가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가능한 것인가, 아니면 적용대상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평가 방법과 기준을 허용할 수밖에 없는 것인가?
07 코로나19는 환경투자에 대한 관심 및 실천을 실질적으로 앞당기는 촉매제였는가, 아니면 다른 경기민감형 산업들의 실적악화로 인한 착시현상일 뿐이었던 것인가?
08 주주행동주의 펀드들은 ESG 친화적인 투자자인가, 아니면 기업사냥꾼의 또 다른 이름일 뿐인가?
09 차등의결권은 합리적인 거버넌스를 위한 필수불가결한 제도인가, 아니면 오너경영자로 권력을 집중시키는 불공평한 제도인가?
10 여성의 사회적 역할 강화 및 거버넌스 참여 확대가 기업의 경쟁력 강화 조건인가, 아니면 단순한 여성권리 신장을 위한 필수불가결한 요소인가?
11 현재가 아닌 미래 사회에서도 ESG 요인들은 여전히 유효할 것인가, 아니면 가상현실 및 인공지능 등이 중심이 된 사회환경에서 더 이상 의미를 갖지 못한 구시대의 캐치프레이즈가 될 것인가?
12 불평등은 ESG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과제인가, 아니면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받아들여야만 하는 명제인가?

나가는 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