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또는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또는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3 0

본문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9788998814304.jpg


도서명 : 교사가 혁신을 주도하게 하라!
저자/출판사 : 오옥태, 동아일보교육법인
쪽수 : 246쪽
출판일 : 2023-02-03
ISBN : 9788998814304
정가 : 15000

프롤로그 21세기 국가 전력은 교육 혁신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1부
왜 교육 혁신인가?

1. 누구를 위한 공교육인가?
2. 비전문가가 주도하는 정책
3. 기술주도 정책 (Technology push形)
4. 행정주도 정책
5. 파편화된 정책
6. 관리 부재 정책
7. 공교육의 높은 장벽① : 갈라파고스 공교육 시장
8. 공교육의 높은 장벽② : 비합리적 의사결정 시스템
9. 교직과 학교 현실
10. 학부모의 교육관여
11.7080세대 부채의식

무엇이 교육 혁신인가?

1. 패러다임 전환1 (미래역량 중심)
2. 패러다임 전환2 (학생중심)
3.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
4. 문제 해결 교육
5. 디지털교과서 활용수업의 정책적 의미
3부
어떻게 교육 혁신을 해야하는가?

1. 교육 혁신 추진전략
2. 협회 미래교육 사례 : 디지털교과서 기반 미래교육
3. 미네르바 스쿨 혁신 사례 : 교육적 가치를 우선한 교육 혁신
4. 싱가프로 교육 혁신 사례 : 국가 혁신의 Game Changer
5. 교사가 하는 교육 혁신
6. 가정은 미래교육 현장이다.
7. 정책에 대한 현장의 요구
8. 교육 혁신은 학교 혁신으로 나타나야 한다.
9. A중학교 사례
10. 디지털 전환시대의 절박한 과제
4부
교육 혁신 성과

1. 호기심이 만드는 학습
2. 토론과 소통으로 열린 학습
3. 복지의 본질, 교육
4. 교육 선진국 대한민국

마치면서 교사(敎師)가 교육 혁신을 하게 하라!

[부록 1]

싱가포르 방문기
1.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
2. 교육 혁신 엔진, 페다고지(Pedagogy)
3. 교육 혁신 주도자, 교사
4. 교육 혁신 거버넌스
5. 싱가포르 교육 혁신 시사점과 가능성

[부록 2]

협회 디지털교과서 활용 미래교육 시범사업
1. 협회 시범사업의 성공요인
2. 수업 모형
3. 학생중심 수업
4. 활동중심 수업
5. 21세기 페다고지
6. Pedagogical Practices 1 : 수업 구조
7. Pedagogical Practices 2 : 수업 기술
8. 활동지, 자기주도 학습 도구

에필로그 내일을 위한 발제, 교육 혁신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
9788963475615.jpg


도서명 :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 과거, 현재, 미래
저자/출판사 : 박노자 , 김덕민 , 사요네 마줌다르 , 안잔 차크라, 진인진
쪽수 : 348쪽
출판일 : 2023-06-28
ISBN : 9788963475615
정가 : 30000

머리말


1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역사

제1장 조선적 특색을 가진 마르크스주의: 1920-30년대 소련의 조선인 디아스포라 혁명가들의 조선에서의 일본 식민주의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분석을 다시 읽기 / 박노자
제2장 한국 마르크스주의의 신자유주의 논쟁 / 김덕민
제3장 계급적 시각에서 본 사회주의 농업개혁: 중국의 실험적 시도(1949-1984)에 대한 분석 / 사요네 마줌다르·안잔 차크라바티


2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현재

제4장 21세기 중국 자본주의: 마르크스주의적 분석 / 정성진
제5장 중국의 여성해방과 성 평등: 개혁개방 이전과 이후의 비교 연구 / 권정임
제6장 이중적 타자의 ‘통합의 정치학’ 비판 / 임춘성
제7장 퇴행하는 신자유주의 시대의 아시아 노동 / 장대업


3부 동아시아 마르크스주의의 미래

제8장 21세기 일본 마르크스주의의 부흥 / 에하라 케이·사이토 고헤이·사사키 류지
제9장 혐오에 맞서는 동아시아 연대가 필요한 이유: 량영성(梁英聖)과 재일조선인 시민권 문제 / 한상원
제10장 기후정의와 한국 기후운동에 대한 마르크스주의적 고찰 / 김현강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