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세와 신물질주의 질적연구 패러다임 또는 2024 단끝(단숨에 끝내는) 운전면허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인류세와 신물질주의 질적연구 패러다임 또는 2024 단끝(단숨에 끝내는) 운전면허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93 0

본문




인류세와 신물질주의 질적연구 패러다임
9788925418360.jpg


도서명 : 인류세와 신물질주의 질적연구 패러다임
저자/출판사 : 곽영순, 교육과학사
쪽수 : 354쪽
출판일 : 2023-11-30
ISBN : 9788925418360
정가 : 20000

머리말 _ 5

제1부 포스트휴머니즘과 질적연구 패러다임

제1장 전통 존재론과 현대 존재론… ……………………………… 17
1-1. 전통 존재론 _ 19
〈고·중세의 존재와 사유의 일치〉 _ 21
〈근대철학의 인식론적 사유〉 _ 24
1-2. 현대 존재론 _ 26
〈현대철학: 생성의 철학〉 _ 28
〈구조주의: 근대성 비판〉 _ 29

제2장 인간중심주의와 질적연구 패러다임… …………………… 33
2-1. 실증주의부터 해석주의까지 _ 34
2-2. 해체를 넘어서 참여적 패러다임으로 _ 37
〈참여적 패러다임〉 _ 39

제3장 인간중심주의에서 탈인간중심주의 패러다임으로… …… 43
3-1. 구조주의에서 후기구조주의로 _ 45
〈후기구조주의: 실재의 귀환〉 _ 48
3-2. 포스트휴머니즘과 생태철학 _ 50
〈인간중심적 비판적 패러다임에서 ‘인간-자연 관계’ 비판으로〉 _ 50
〈포스트휴머니즘의 생태중심주의〉 _ 54

제4장 탈인간중심주의 질적연구 패러다임: 신물질주의………… 65
4-1. 수행적 신물질주의 _ 66
4-2. 행위자-연결망 이론 _ 74
4-3. 객체지향존재론 _ 76
4-4. 포스트현상학 _ 77

제2부 신물질주의: 스피노자부터 들뢰즈까지

제5장 스피노자의 생성존재론………………………………………83
5-1. 신 즉 자연(神卽自然)의 존재론 _ 84
5-2. 스피노자의 생성존재론 _ 87

제6장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 ………………………………… 95
6-1. 창조적 진화 _ 95
〈이미지의 존재론과 실재론〉 _ 100
6-2. 베르그송의 물질과 기억, 심신론 _ 101

제7장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107
7-1. 창조적 전진의 과정철학 _ 108
7-2. 화이트헤드의 사변적 경험론 _ 112

제8장 들뢰즈, 베르그송주의자… ……………………………… 115
8-1. 존재의 일의성과 창조적 첩화 _ 118
〈창조적 진화: 횡단적 소통에 의한 괴물들의 탄생〉 _ 119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원리: 강도와 특이성〉 _ 123
8-2. 들뢰즈의 차이생성의 존재론 _ 125
〈욕망하는 기계와 기관없는 신체〉 _ 127

제3부 실증주의부터 포스트 현상학까지: 무(無)의 반란

제9장 언어적 전회에서 물질적 전회로………………………… 139
9-1. 물질적 전회와 신물질주의 _ 141
9-2. 에피스테메에서 프로네시스로 _ 147
9-3. 관계적 존재인식론과 사건의 존재론 _ 150

제10장 논리실증주의와 분석철학… …………………………… 155
10-1. 지시이론과 진리상응설 _ 156
10-2. 비트겐슈타인의 인언견언(因言遣言) _ 159
10-3. 세상의 변혁을 위한 언어게임 _ 163

제11장 퍼스의 실용주의 존재인식론… ………………………… 169
11-1. 퍼스의 기호작용 _ 169
11-2. 퍼스의 화행론 _ 174
11-3. 퍼스의 귀추법: 좋은 습관을 형성하기 위한 탐구 방법 _ 182

제12장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학…………………………… 187
12-1. 의식의 현상학에서 존재의 현상학으로 _ 187
〈현존재(Dasein)와 기초 존재론〉 _ 196
12-2. 현존재의 마음씀(Sorge) _ 202
〈원효와 하이데거의 관계(緣起)의 존재론〉 _ 206

제13장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 211
13-1. 살(flesh)의 존재론과 신체성의 발견 _ 213
13-2. 메를로퐁티, 삶이 곧 앎이다 _ 217
〈주체와 세계의 분리불가능성〉 _ 219
〈시간성과 주체와 세계의 통일〉 _ 220
〈반성적 앎과 실천적 앎〉 _ 222

제14장 포스트현상학……………………………………………… 225
14-1. 기술에 대한 현상학적 고찰 _ 227
14-2. 인간-기술 관계의 지향성 구조, 도구적 지향성 _ 231
〈체현 관계와 도구론〉 _ 232
〈해석학적 관계와 기술결정론〉 _ 235
〈‘인간-기술’ 관계의 현상학적 분석 vs. ‘문화-기술’ 차원의 현상학적 분석〉 _ 237

제4부 왜 질적연구인가?

제15장 언어적 전회와 질적연구………………………………… 251
15-1. 현대철학의 언어적 전회: 세계-언어-주체 _ 251
15-2. 질적연구 방법론: 언어와 표상 _ 254
15-3. 왜 이야기인가? _ 257
15-4. 왜 내러티브인가? _ 261
〈서사적 전회〉 _ 265
15-5. 독자에 의해 써지는 질적연구: 해석학적 읽기와 해체적 읽기 _ 267

제16장 수행적 전회와 질적연구………………………………… 275
16-1. 수행성: 언어의 물질성 _ 275
〈지배담론 전복의 가능성으로서의 수행성〉 _ 279
16-2. 표상의 위기와 수행적 전회 _ 281

제17장 미학적 전회와 질적연구… ……………………………… 287
17-1. 이론이성에서 실천이성과 반성적 판단력으로 _ 287
〈이론이성에서 실천이성으로〉 _ 291
17-2. 판단력을 자극하는 퍼포먼스: 감성을 통해 타자와 직접 대면 _ 292
17-3. 질적연구의 미학적 전회: 예술 기반 탐구 _ 293
〈취미판단과 공동존재의 윤리〉 _ 297

제18장 물질적 전회와 질적연구: 변혁적 역량과 공동존재의 이야기 정체성………… 301
18-1. 구성철학에서 해체철학으로: 노장사상과 원효 _ 302
18-2. 무(無)의 반란과 생태주의 _ 306
18-3. 인간의 무위(無爲)와 자연의 무불위(無不爲): 코스모스에서 카오스로 _ 309
18-4. 들뢰즈의 차이생성과 되기(becoming)의 윤리학 _ 313
〈되기(becoming)의 윤리학과 질적연구 글쓰기〉 _ 316
18-5. 형상과 질료: 차이나는 반복을 위한 변혁적 역량 _ 318
〈리쾨르의 이야기 정체성과 행위주체성〉 _ 323
18-6. 인류세 담론과 행위주체성 _ 326

■참고문헌 _ 335
■찾아보기 _ 349




2024 단끝(단숨에 끝내는) 운전면허
9791169874380.jpg


도서명 : 2024 단끝(단숨에 끝내는) 운전면허
저자/출판사 : 도로교통공단, 박문각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8-30
ISBN : 9791169874380
정가 : 12000

PART 01 단숨에 끝내는 필기핵심
Chapter 01 제1·2종 보통(대형·특수) 학과시험
Chapter 02 제1종 대형·특수 학과시험

PART 02 교통안전표지 핵심정리
Chapter 01 주의표지
Chapter 02 규제표지
Chapter 03 지시표지
Chapter 04 노면표시
Chapter 05 기타표지

PART 03 운전면허 학과시험 1000제
Chapter 01 문장형 문제 680제
Chapter 02 사진형 문제 100제
Chapter 03 일러스트형 문제 85제
Chapter 04 안전표지형 문제 100제
Chapter 05 동영상형 문제 35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