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 인술로 아름다운 황혼 또는 지구법학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50
0
본문
침구 인술로 아름다운 황혼

도서명 : 침구 인술로 아름다운 황혼
저자/출판사 : 정일교, 허임기념사업회
쪽수 : 348쪽
출판일 : 2023-06-15
ISBN : 9791187828082
정가 : 20000
Ⅰ 나를 부르는 따바와 마을
“돌아오겠습니다!” 미얀마 봉사활동 결심
따바와 마을에 침뜸실 생겨
-침 맞는 딸 옆에서 기도하는 어머니
-세계 각국에서 모인 봉사자들도 함께
-침 맞는 엄마 옆에서 아가는 잠들어
-하반신 마비 소녀, 일어나 앉고 서고 걷다!
나를 볼 때마다 삼배하는 미얀마의 두 여인
-감사의 마음으로 돕는 샌디는 영어가 능통
-기침이 멎은 하니는 가는 곳마다 비서 자처
가난한 이주민의 터전 피트 마을 상아핏
배우고 익힌 침뜸법과 그 효능
-수족 곳 자침으로 경락 다스리는 화혈 침법
-따끔거리면서도 시원한 묶음침(집모침)
-뜨거운 맛’으로 병 고치는 간접뜸과 직접뜸
-여-성 냉대하에 계족침 놓고 왕뜸으로 따뜻하게
-유방암을 침으로 치료한 사례
-갑상선으로 불어난 혹 사라지기도
-업혀 와 치료 후 인사도 없이 간 사람
-중풍으로 굳어진 얼굴에 웃음꽃
-만달레이에서 온 수술 후유증 환자
-원인불명의 난청 치료
-약물 중독으로 온몸 떠는데도 침
-통나무처럼 부어오른 다리엔 사혈을 겸해
-깜박일 때마다 고름 나오는 눈에 정명혈
-태국 여행 중에 생긴 일
-어지럼증의 응급처치
-위급한 환자는 신속히 병원으로
도우미 년에 ‘명의’되어 떠난 띤띠나
미국인 의사, 에이즈 침 치료 제안
유용미생물 EM의 활용
-EM으로 환자의 고통 덜다
-에이즈 환자의 병상 가림막을 걷어내게 한 EM
Ⅱ. 아내를 보내고 봉사의 길로
알렌과의 로맨스는 가슴에 묻고
독일에서 익힌 용접 기술로 새로운 항해
아내의 권유 따라 자갈치 시장으로
졸지에 부자 됐다가 한순간에 주저앉아
또다시 해외로 열사의 나라 사우디에서 년
위태로운 도로 위, 화물차 기사로 고단한 삶
뒷골목 채소 장수 거쳐 토목업자로 변신
아내와 함께 구인사에서 박 일
덤프트럭 한 대에서 토건 기업으로
평생 기억에 남는 의사의 경고!
라이온스클럽 회원 되어 봉사에 눈 뜨다
토건 회사 무너지고, 사랑하는 아내는 암
아내 떠난 뒤 방황, 정신 차리니 부처님 손바닥
침뜸에 입문하고 미얀마 정글로
효과적인 침술 익혀 다시 미얀마로
벽지에서 빛난 인술
-화혈침법으로 중풍 치료 시작
-오가는 길 삼거리의 환자
-소문 듣고 배 태워 모셔 온 반신마비
-스님의 중풍 치료로 따바와센터와 인연
Ⅲ 막장의 추억
가난 속에서 짧게 끝난 서울 유학
고향 오일장 떠돌다 세에 광산으로
광부 개월에 막장의 사수 되어
군 복무 마치고 다시 광산으로
결혼 후 돌고 돌아 또다시 광산촌에
설탕물로 체중 늘려 독일 광부 시험 통과
지하 천 미터 독일 막장에서 피어난 꿈
침뜸 봉사자 되어 다시 찾은 독일
늙어버린 광부ㆍ간호사 동료들에게 침뜸 봉사
옛 광부 기숙사에서 터진 눈물
-재독일 강원도민회장 남편의 난청을 치료하며
Ⅳ 인술의 길
허임기념사업회와 아들이 함께 미얀마 방문
코로나 시기에 중증 환자 치료
-어린 스님 마비 증상에 완과침 시술
-초등 교사 하반신 마비가 나아지니
따바와센터 밖에서 생긴 일
-핀우린까지 왕진 가서 노인 좌골신경통 치료
-마당에서라도 걷게 해 달라는 소원
-양곤으로 돌아와 받은 제안
한국침구인들의 미얀마 난민 돕기
‘저 낮은 곳’을 향하여
고난 겪는 미얀마 사람들 속으로
미얀마의 아픔 치유에 한국 침뜸 이어지길
채록 경위
부록 : 팔과 다리의 주요 경혈
경락의 순행 경로와 화혈의 위치
지구법학

도서명 : 지구법학
저자/출판사 : 지구법학회 , 박태현 , 오동석 , 정준영 , 안병진, 문학과지성사
쪽수 : 478쪽
출판일 : 2023-11-17
ISBN : 9788932042312
정가 : 25000
총서를 내며 │ 강금실
서문 ‘인간 너머’ 자연의 권리와 지구법학 │ 김왕배
1부 지구법학의 이론과 전개
인류세에서 지구 공동체를 위한 지구법학 │ 박태현
지구법학 관점에서 한국 헌법의 해석론 │ 오동석
지구법학과 사유재산권 │ 정준영
2부 인간 너머의 정치, 바이오크라시를 향하여
‘비인간 존재’에 대한 사유와 정치의 재구성 │ 김왕배
민주주의의 실패를 넘어 바이오크라시로 │ 안병진
3부 한국 사회의 사례들─실험과 도전
한국의 외래종 관리와 존재론적 질문들 │ 김준수
동물의 법적 지위에 관한 민법 개정 논의의 평가와 과제 │ 최정호
제주 남방큰돌고래는 법인격을 가질 수 없는가 │ 박태현
나가며 과제와 전망 │ 김왕배
참고문헌
필자 소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