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토벤 빼고 클래식 또는 윤동주 연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3
0
본문
베토벤 빼고 클래식

도서명 : 베토벤 빼고 클래식
저자/출판사 : 유신애, 1458music
쪽수 : 200쪽
출판일 : 2023-07-10
ISBN : 9791189598464
정가 : 16800
들어가며
Part01_신세계 클래식, ‘이런 클래식은 처음이지?’
사티 : 흰 음식만 먹고, 같은 옷만 입고, 우산은 품에 안고 다닌 괴짜? 아니면 천재?
피아졸라 : 아르헨티나의 탱고가 클래식 공연장에 올라간다고?
윤이상 : 통영 출신 클래식 작곡가인데 해외에서 더 유명한 이유는?
Part02_국가대표 클래식, ‘#떼창 #국민악파 #민족’
엘가 : 그 유명한 〈사랑의 인사〉가 약혼 선물이었다고?
시벨리우스 : 핀란드 국민 음악가! 곡 제목을 계속 바꿀 수밖에 없던 이유는?
빌라로부스 : 고전 음악과 브라질 민속 음악이 만나 〈브라질풍의 바흐〉 탄생?
Part03_다시 만난 클래식, ‘피아노 학원 3대 작곡가’
체르니 : 체르니가 사람이었어? 심지어 베토벤의 제자이면서 리스트의 스승이라고?
아농 : 파리 세계박람회에서 상을 탄 책? 오른손, 왼손 손가락 연습하던 그 책이 맞아?
바이어 : 바이엘은 아는데 바이어는 모른다? 같은 사람입니다.
Part04_이미 알던 클래식, ‘우리 구면이죠?’
쿨라우 : 한쪽 눈을 잃고 화재까지 겪었던, 덴마크의 베토벤?
클레멘티 : 모차르트와 피아노 대결을 할 만큼 실력자인데, 피아노 만드는 일을 했다고?
파가니니 : ‘악마에게 영혼을 팔았다’는 소문의 진실은?
Part05_극적인 클래식, ‘오페라가 이렇게 재미있었어?’
푸치니의 오페라 《투란도트》: 그 유명한 곡이 목숨 걸고 수수께끼 풀다가 나온 거였다고?
들리브의 오페라 《라크메》 : 영국을 삼킨 인도에서, 영국 장교와 힌두교 사제 딸의 사랑은 어떻게 되었을까?
베르디의 오페라 《아이다》: 나랑 사랑할래, 아님 같이 죽을래?
스페셜 게스트
유피미아 앨런 : 〈젓가락 행진곡〉이 16세 소녀의 작품? ‘클래식 Her-스토리’
나오며
윤동주 연구

도서명 : 윤동주 연구
저자/출판사 : 김형태, 역락
쪽수 : 560쪽
출판일 : 2023-10-31
ISBN : 9791167426192
정가 : 48000
Ⅰ. 윤동주 시의 실존의식 연구
1. 서론
1.1. 윤동주 시의 실존의식
1.2. 선행연구 검토
1.3. 윤동주 시와 종교・철학적 사유
2. 심미적 실존과 자기의식
2.1. 심미적 실존과 초기 시
2.2. 반성적 자기의식과 실존적 사유
2.3. 무한한 공상과 절망
2.4. 초기 시의 실존의식
3. 윤리적 실존과 민족의식
3.1. 윤리적 실존과 중기 시
3.2. 현실 인식과 민족의식
3.3. 분열의 심화와 절망
3.4. 전통과 기독교의 융합
3.5. 중기 시의 실존의식
4. 종교적 실존과 존재의 용기
4.1. 종교적 실존과 후기 시
4.2. 신정론적 고뇌와 윤리적인 것의 정지
4.3. 종교시의 신정론적 의미
4.4. 절대적 타자와 존재의 용기
4.5. 후기 시의 실존의식
5. 윤동주 시의 정신사적 의미
5.1. 전체주의와 종교적 실존
5.2. 서구 근대 보편주의와 조선적 기독교
5.3. 제국주의와 고난의 신정론
6. 결론
Ⅱ. 윤동주 관련 서지자료 연구
1. 서론
2. 「어린이」, 「아이생활」
2.1. 윤동주가 읽은 「어린이」와 「아이생활」
2.2. 습작 노트 기록의 동기 문제와 윤영춘
2.3. 동요・동시 창작과 「정지용 시집」의 문제
2.4. 투르게네프의 「거지」 번역본과 산문시 「투르게네프의 언덕」
3. 「숭실활천」, 「가톨릭소년」
3.1. 「숭실활천」의 발행과 필자 박치우
3.2. 「숭실활천」 15호와 「공상」, 「조개껍질」, 「이별」
3.3. 「가톨릭소년」의 발행과 필자 엄달호, 강소천
3.4. 「가톨릭소년」에 실린 동요・동시 8편의 퇴고 양상과 정본 확정 문제
4. 「조선일보」, 「소년」, 「문우」
4.1. 「조선일보」에 게재된 「아우의 인상화」와 후기인상주의 미술
4.2. 윤동주의 스크랩북과 ‘동서고근 사상의 화충’
4.3. 「소년」과 「산울림」
4.4. 「문우」(1941.6)와 「새로운 길」, 「우물 속의 자상화」
5. 국어・문학 교과서
5.1. 윤동주 시의 교과서 수록 양상
5.2. 윤동주 시 교육의 통시적 변화 양상
5.3. 정리 및 제언
6. 결론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