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 말고 강사 또는 이커머스, 콘텐츠로 팔아라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1
0
본문
퇴사 말고 강사

도서명 : 퇴사 말고 강사
저자/출판사 : 손예진, 비제이퍼블릭
쪽수 : 384쪽
출판일 : 2023-03-08
ISBN : 9791165922061
정가 : 25000
서문
저자 소개
베타 리더 추천사
CHAPTER 01. 퇴사 말고 강사, 나도 할 수 있을까?
1.1 퇴사 말고 강사, 당신도 할 수 있다
1.2 지금 당장 강의로 돈을 벌 수 있는 이유
1.3 강의를 시작하는 방법
1.4 강의로 월 천 만원 번 비결
1.5 강의로 월급쟁이를 탈출한 사람들
1.6 나도 강사가 될 수 있을까?
CHAPTER 02. 나만의 강의 기획하기
2.1 Who : 누구에게 강의할 것인가
2.2 What : 어떤 주제로 강의할 것인가
2.3 Why : 왜 당신의 강의를 들어야 하는가
CHAPTER 03. 강의 자료 만들기
3.1 팔리는 강의 상품 기획하기
3.2 시간을 절반 이상 줄이는 강의자료 만드는 법
3.3 교육생의 오감을 자극하는 강의자료
3.4 알아두면 쓸모 있는 온라인 강의법
CHAPTER 04. 강의 프로그램 배우기
4.1 강의를 위한 장비 갖추기
4.2 강의 프로그램 다루기(Zoom)
CHAPTER 05. 강의 스킬 익히기
5.1 강의를 잘하는 말하기 방법
5.2 강의의 퀄리티를 좌우하는 한 끗 차이
CHAPTER 06. 강사로 월급쟁이 탈출하기
6.1 강사의 몸 값을 결정하는 세 가지
6.2 잘 나가는 강사들의 공통점
6.3 돈이 되는 강의 영업 방법
6.4 매일 강의하지 않아도 강의로 돈 버는 법
CHAPTER 07. 강의로 롱런하는 법
7.1 롱런하는 강사가 되기 위한 10가지 마인드
이커머스, 콘텐츠로 팔아라

도서명 : 이커머스, 콘텐츠로 팔아라
저자/출판사 : 김현수, e비즈북스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3-01-31
ISBN : 9791157832842
정가 : 18500
서문
1장 이커머스와 콘텐츠 큐레이션
이커머스 시장의 동력과 가치
소매유통업의 맹주 이커머스 시장 | 시장을 움직이는 원리, 이커머스 밸류 서클
이커머스의 3가지 우선순위
가장 강력한 가치, ‘신뢰’ | 선택의 안정감을 주는 ‘상품 구색’ | 끝없는 전쟁, ‘가격’
시장의 성장과 물류의 가치
이커머스 침투율과 ‘배송’ | 규모의 경제와 ‘배송’의 가치
시장 패러다임은 어쩌다 뒤집혔나
이커머스 밸류 서클과 시장의 패권 | 일반 종합쇼핑몰의 등장 - 기존 시장의 파괴 | 오픈마켓의 등장 - 압도적 구색으로 가격을 점령하다
또다시 등장한 시장 파괴자
소셜커머스의 등장 - 가격부터 잡고 다음 가치로 진격 | 신뢰, 구색, 가격 다음은? - 배송, 사용자 경험의 가치로 확전
쇼핑의 두 가지 유형과 큐레이션
미디어커머스의 탄생 배경과 정의 | 결핍과 욕망으로 나뉘는 쇼핑의 유형
카테고리 킬러의 가치, 큐레이션
신뢰 2.0과 큐레이션 | 큐레이션은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의 콘텐츠가 본질이다
2장 이커머스의 콘텐츠 가치
이커머스 콘텐츠로서 필요한 3요소
어떤 것들이 콘텐츠 3요소인가? | 한때를 풍미했던 몇 가지 제작 패턴 | 스트롱 스타트 | 하트비트 리듬 | 날것이거나 감쪽같거나 | 영상의 화면비율 | 패턴을 벗어나려는 시도
‘재미’는 이유다
모바일이어서 더 절실한 ‘재미’의 가치 | 재미가 곧 이유
‘재미’의 본질과 스토리
이커머스 업계 최초로 이커머스 웹드라마를 시도한 이유 | 식상함을 극복하려던 노력, 스토리텔링 | 소비자 눈높이, 현실적 어려움, 진화의 방향
‘발견’의 세 가지 종류
New, 발견의 가치 | 새로운 상품의 발견 - 몰랐던 상품 그 자체의 발견 | 새로운 가치의 발견 - 상품의 숨겨진 가치를 발견 | 새로운 기회의 발견 - 상품을 사야 하는 타이밍을 가치로 치환
‘도움’의 가치, 쌓일수록 힘이 된다
Tip, 도움의 가치 | ‘도움’의 콘텐츠들이 플랫폼이 되는 선순환 조건들
이커머스 운영 공식과 콘텐츠
이커머스 운영 공식 | 매출을 올리기 위한 영업지원의 종류
3장 이커머스에서 콘텐츠의 전략과 활용
미디어커머스와 콘텐츠 마케팅은 무엇이 다른가?
콘텐츠 마케팅? | 마케팅과 세일즈 사이, 미디어커머스 | 새 술은 새 부대에 담자
제조사/브랜드의 이커머스 콘텐츠, 결핍을 기획하라!
이 책에서 제조사/브랜드, 유통사/플랫폼의 의미 | 제조사/브랜드의 미디어커머스와 시장의 흐름 | 제조사/브랜드의 이커머스 콘텐츠 - 결핍을 기획하라
유통사/플랫폼의 이커머스 콘텐츠, B2B2C 사업으로 접근하라!
유통사/플랫폼의 미디어커머스 딜레마 | 플랫폼의 미디어커머스 - 1. 숙제 바꿔 하기 | 플랫폼의 미디어커머스 - 2. 매장을 미디어로 만들기 | 나의 경험과 사례들
커머스 플랫폼의 브랜딩과 이커머스 콘텐츠
세일즈, 마케팅, 브랜딩 | 커머스 플랫폼의 브랜딩은 결국 미디어커머스와 닿는다 | 매장이 미디어, 상품이 콘텐츠
4장 이커머스에서 콘텐츠의 전략적 선택지들과 적용 사례
이커머스의 콘텐츠 전략에 앞서
제작, 기획, 생산의 개념 정리 | 이커머스의 콘텐츠 전략을 실행할 때 만나는 3가지 선택지와 그에 따른 고민들 | 각각 어떤 의미와 가치가 있으며, 그 특징은 무엇인가? | 콘텐츠 제작의 비용 요소가 어떻게 다른가? | 자원 투입 시 고려할 핵심 사항이 무엇인가?
비디오커머스: 비디오 콘텐츠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포인트
방향을 정한다 | 결을 정한다 | 대상을 정한다
비디오커머스: 어떻게 현업에 적용했나?
흥행성이 효율성보다 중요할 때 | 효율성이 흥행성보다 중요할 때
인플루언서 커머스: 인플루언서와 이커머스 시장의 이해관계
인플루언서 커머스의 정의 | 이커머스와 MCN 시장의 이해관계 차이 | 인플루언서가 돈 버는 방식 세 가지 | 인플루언서가 이커머스로 돈 벌기 | 국내 인플루언서 커머스의 한계 | 수익 배분 주체로서 커머스 플랫폼 입장의 걸림돌 | 인플루언서 입장의 걸림돌 | 인플루언서 커머스 시장의 개화와 구조적 진화를 기대하며
인플루언서 커머스: 어떻게 현업에 적용했나?
광고 구좌인가 유통 채널인가? | 수수료는 누가 내는가? | 중국의 구조를 닮아가는 국내 시장 변화
라이브커머스: 라이브커머스의 본질과 미래
‘명분’과 ‘기회’는 라이브커머스의 본질 | 자주 듣던 질문들 | 커머스와 콘텐츠 중 뭐가 더 중요한가? | 라이브커머스에서 잘 팔리는 상품군은 무엇인가? | 자사 쇼핑몰에서 자체 개발해 진행할 때 가장 고려할 것은 무엇인가? | ‘관계’와 ‘제안’이 라이브커머스를 TV홈쇼핑과 다르게 만든다
라이브커머스: 어떻게 현업에 적용했나?
시장, ‘언제’만큼 ‘누구’도 중요하다 | 현장의 의사결정과 진행사항 | 현업의 현장은 앞으로 어떻게 진화할까?
5장 나의 현장 경험과 기록들
내가 겪은 첫 미디어커머스
‘미디어커머스’는 언제 시작됐을까? | 미디어커머스가 정의되지 않았던 이유
지속가능성이 문제다, 끝없는 채산성과의 싸움
콘텐츠의 포맷과 공정, 그리고 채산성 | 채산성 해결을 위해 - 1. 콘텐츠 포맷의 변화: 라이브커머스 중앙방송 | 채산성 해결을 위해 - 2. 콘텐츠 제작 주체의 변화: 라이브커머스 개별방송 | 채산성 해결을 위해 - 3. 콘텐츠 포맷과 제작 주체 모두 변화: 숏폼 콘텐츠
자원은 늘 모자라다, 사업의 중요도와 콘텐츠의 체급별 구성
가치 측정과 자원 투입의 결정 | 미디어커머스 콘텐츠의 스펙트럼이 넓어야 하는 이유
매대를 콘텐츠로 만들어라 - 29CM 사례
매대의 중요성 | ‘수요입점회’를 만들다 | 매대의 지향점을 세우자 | 매대의 정책을 만들자 | 매대 이름을 짓자 | 매대 BI도 만들자 | 실행 결과와 반응 | 미디어커머스, 매장은 미디어다
콘텐츠를 매대로 만들어라 - 무신사 사례
대세는 숏폼 콘텐츠? | 왜 짧아야 할까? | 모바일커머스의 숏폼은 뭐가 달라야 할까? | 핵심은 프로세스다
6장 자주 받았던 질문들
비용과 수익의 구조는 어떻게 되나요?
비용 | 수익
조직 구성과 채용은 어떻게 했나요?
조직 구성 | 채용
우리도 라이브커머스 하면 잘될까요?
왜 라이브커머스를 하는지 잊지 말아야 한다 | 판매 상품을 바탕으로 방송의 결을 잘 정한다 | 짧은 시청시간을 반드시 유념한다 | 사전 마케팅과 쌍방향 소통 대응 준비는 필수다 | 지난 방송 다시보기에는 집착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라이브커머스 시장은 어떻게 성장할까요?
라이브커머스는 시장인가? | 라이브커머스를 시장으로 본다면 그 분야는 무엇인가? | 라이브커머스가 자극하는 시장의 변화
입점사는 미디어커머스 플랫폼에서 어떻게 지원받을 수 있나요?
입점한 플랫폼으로부터 미디어커머스 지원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 | 어떤 미디어커머스 종류를 지원받아야 좋을까?
7장 이커머스와 콘텐츠의 미래
미디어커머스 플랫폼을 지탱할 두 개의 축
콘텐츠 | 관계성
당신의 이커머스는 자본, 인프라, 콘텐츠 중 무엇으로 겨룰 것인가?
전통 유통사 vs. 스타트업 이커머스 | 라이프 매니징이냐 라이프 스타일링이냐 | 결핍은 발생하는 것이지만 욕망은 창조하는 것이다 | 어디에서, 무엇으로 승부할 것인가?
콘텐츠의 시대에 커머스의 시장에서
개인도 기업도 모두 미디어 시대 | 콘텐츠와 미디어의 시대에 대응하는 이커머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