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수험국제법 또는 감추고 싶은 진실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44
0
본문
2024 수험국제법

도서명 : 2024 수험국제법
저자/출판사 : 이종훈, 학연
쪽수 : 800쪽
출판일 : 2023-04-28
ISBN : 9791158248901
정가 : 48000
제1부 국제법의 기초이론
제1장 국제공동체의 역사적 전개과정 3
제1절 국제법의 의의 3
Ⅰ. 국제법의 개념 / 3 Ⅱ. 전통국제법과 현대국제법 / 3
Ⅲ. 국제법의 특성과 구별개념 / 4 Ⅳ. 국제법의 법적 성격 / 5
제2절 국제법학의 두 思潮 6
Ⅰ. 서 설 / 6 Ⅱ. 국제법의 타당기초 / 6
제3절 “한 개의 법체계”로서의 국제법 8
제2장 국제법의 연원 9
제1절 서 론 : 연원의 의의 9
제2절 관 습 11
Ⅰ. 서 설 / 11 Ⅱ. 관습의 성립요건 / 12
Ⅲ. 국제 관습법의 효력 / 18 Ⅳ. 지역 또는 지방관습 / 19
제3절 조 약 21
Ⅰ. 조약의 정의 / 21 Ⅱ. 조약의 분류 / 29
Ⅲ. 입법부적 혹은 객관적 체제를 창설하는 조약 / 30
제4절 국제법의 점진적 발달 및 법전화작업 32
Ⅰ. 국제법의 법전화와 점진적 발달의 개념 / 32
Ⅱ. 연 혁 / 32 Ⅲ. UN과 국제법 법전화 작업 / 33
제5절 법의 일반원칙 34
Ⅰ. 서 설 / 34 Ⅱ. 국제법 연원으로서의 지위 / 34
Ⅲ. 국제재판소에서 적용 / 35 Ⅳ. 법의 일반원칙에 대한 비판 / 35
제6절 학설과 판례 36
제7절 형 평 37
제8절 연성법 38
제9절 UN총회의 결의 40
제10절 일방적 행위 41
제11절 국제법 연원의 위계 45
Ⅰ. 조약과 관습의 관계 / 45 Ⅱ. 조약과 관습의 충돌과 병존 / 46
Ⅲ. 특별법우선의 원칙과 신법우선의 원칙 / 48 Ⅳ. 상위법 우선의 원칙 / 48
제3장 일반국제법상의 강행규범 50
Ⅰ. 서 론 / 50 Ⅱ. 강행규범의 존재를 확인하는 판례 / 51
Ⅲ. 강행규범의 본질 / 52 Ⅳ. 강행규범 이론의 확장 / 53
Ⅴ. 강행규범 위반의 법적결과 / 57 Ⅵ. 결 론 / 58
제4장 조약법 59
제1절 조약법협약 59
Ⅰ. 1969년 조약법협약 / 59 Ⅱ. 기타 조약법협약 / 62
제2절 조약의 체결과 효력발생 62
Ⅰ. 조약체결능력과 조약체결권자 / 62 Ⅱ. 일반적 성립절차 / 64
Ⅲ. 조약의 효력발생과 잠정적용 / 70 Ⅳ. 등 록 / 72
제3절 조약의 유보 74
Ⅰ. 서 설 / 74 Ⅱ. 유보의 성질 / 75
Ⅲ. 유보와 유보철회의 방법 / 76 Ⅳ. 유보의 제한 / 78
Ⅴ. 유보의 효과 / 82 Ⅵ. 해석선언과의 관계 / 83
Ⅶ. 허용될 수 없는 유보의 법적 결과 / 85
제4절 조약의 준수와 적용범위 87
Ⅰ. 조약의 준수 / 87 Ⅱ. 조약의 적용범위 / 88
Ⅲ. 조약과 제3국 / 90
제5절 조약의 무효 93
Ⅰ. 서 설 / 93 Ⅱ. 절대적 무효사유 / 94
Ⅲ. 상대적 무효사유 / 96 Ⅳ. 조약의 부적법 무효의 효과 / 100
제6절 조약의 종료와 정지 및 탈퇴 101
Ⅰ. 서 설 / 101 Ⅱ. 조약의 종료사유 / 103
Ⅲ. 종료ㆍ정지의 효과 / 112
제7절 무효 또는 정지의 확정절차 및 분쟁해결제도 113
Ⅰ. 기본적 절차 / 113 Ⅱ. 분쟁해결절차 / 115
Ⅲ. 조약규정의 가분성 / 115
제8절 조약의 개정과 수정 117
Ⅰ. 개 정 / 117 Ⅱ. 변경(수정) / 118
Ⅲ. 묵시적 합의에 의한 개정가부 / 119 Ⅳ. 보충조약과의 구별 / 119
제9절 조약의 해석 119
Ⅰ. 의 의 / 119 Ⅱ. 해석의 주체 / 120
Ⅲ. 협정규정상 해석원칙 / 121
제5장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 126
제1절 국제법과 국내법 관계 이론의 전개과정 126
Ⅰ. 이원론 / 126 Ⅱ. 일원론 / 127
제2절 국제법 질서에 있어 국내법의 지위 127
Ⅰ. 국제법의 국내법에 대한 시각 / 127
Ⅱ. 국제법체제 내에서 국제법의 이행에 관한 국제규칙 / 128
제3절 국내법 질서에 있어 국제법의 도입과 지위 130
Ⅰ. 총 설 / 130 Ⅱ. 국제법의 국내적 도입에 관한 이론 / 130
Ⅲ. 국제법의 국내적 도입과 효력에 관한 주요 국가의 관행 / 131
Ⅳ. 국제기구 결의의 국내적 도입 / 142
제6장 국제법의 주체 145
제1절 서 론 145
Ⅰ. 국제법주체의 의의 / 145 Ⅱ. 국제법 주체의 분류 / 146
제2절 국 가 147
Ⅰ. 국가의 의의 / 147 Ⅱ. 국가의 유형 / 148
제3절 반란단체 150
제4절 국제기구 152
Ⅰ. 서 설 / 152 Ⅱ. 국제기구의 법인격 / 153
Ⅲ. 국제기구의 국제법적 지위 / 155 Ⅳ. 비정부간기구 / 156
제5절 자결권을 행사하는 민족 158
Ⅰ. 서 설 / 158 Ⅱ. 민족해방운동단체의 요건 / 158
Ⅲ. 민족해방기구의 권리의무 / 159 Ⅳ. 민족해방운동의 확대문제 / 159
제6절 소수자와 토착민 160
Ⅰ. 서 설 / 160 Ⅱ. 소수자 보호를 위한 국제규범 / 160
Ⅲ. 결 어 / 161
제7절 개 인 161
Ⅰ. 개인의 국제법상 권리 / 161 Ⅱ. 개인의 의무 / 163
Ⅲ. 결 어 / 163
제7장 국제법의 제기본원칙 164
제1절 서 설 164
Ⅰ. UN헌장의 목적과 행동원칙 / 164 Ⅱ. 1970년 국가간 우호관계선언 결의 / 165
Ⅲ. 기본원칙의 상호관련성 / 165
제2절 주권평등원칙 166
Ⅰ. 서 설 / 166 Ⅱ. 내 용 / 166
제3절 국내문제불간섭원칙 167
Ⅰ. 의 의 / 167 Ⅱ. 국내문제의 개념 / 168
Ⅲ. 간섭의 의의 / 168 Ⅳ. UN의 불간섭의무 / 172
Ⅴ. 인도적 간섭의 적법성 / 173
제4절 신의성실 원칙 176
Ⅰ. 서 설 / 176 Ⅱ. 독자적 의무의 연원이 되는지 여부 / 176
Ⅲ. 국제법에서의 신의성실 원칙 / 177
제5절 무력의 위협 또는 사용금지의 원칙 177
Ⅰ. 서 론 / 177 Ⅱ. 무력사용금지의 연혁 / 178
Ⅲ. 유엔헌장 제2조 4항 상의 무력의 위협 및 사용금지 / 179
제6절 분쟁의 평화적 해결원칙 182
Ⅰ. 분쟁의 평화적해결의무의 존부 / 182 Ⅱ. 분쟁의 평화적 해결원칙의 내용 / 182
Ⅲ. 분쟁의 평화적 해결원칙이 강행규범인지 여부 / 183
제7절 민족자결원칙 183
Ⅰ. 서 설 / 183 Ⅱ. 연 혁 / 183
Ⅲ. 내 용 / 184 Ⅳ. 민족자결원칙의 강행법규성 / 186
제8절 인권존중 원칙 187
제9절 국제협력 원칙 187
제8장 국가 및 정부승인 189
Ⅰ. 승인의 의의 / 189 Ⅱ. 승인의 성질 / 189
Ⅲ. 승인의 특성 / 190 Ⅳ. 승인의 방법 / 192
Ⅴ. 승인의 국제법적 효과 / 194 Ⅵ. 국가승인 / 195
Ⅶ. 정부승인 / 195 Ⅷ. 승인의 국내법상 효과 / 198
제2부 국가관할권과 면제
제9장 국가관할권 205
제1절 국가관할권의 의의 205
Ⅰ. 서 설 / 205 Ⅱ. 역외입법관할권의 이론적 기초 / 208
Ⅲ. 국가관할권의 경합 / 213 Ⅳ. 경쟁법의 역외적용 / 214
제2절 범죄인인도제도 217
Ⅰ. 서 설 / 217 Ⅱ. 인도요건 / 218
Ⅲ. 인도의 제 원칙 / 219 Ⅳ. 대한민국 범죄인인도절차 / 225
제10장 국가면제 228
Ⅰ. 서 설 / 228 Ⅱ. 국가면제의 특징 / 229
Ⅲ. 인적면제와 물적면제의 구분 / 230 Ⅳ. 국가면제에서 재판소와 국가의 정의 / 231
Ⅴ. 민사소송에서 국가면제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 / 233
Ⅵ. 국가면제가 원용될 수 없는 소송 / 240
Ⅶ. 국가재산의 사법적 강제조치로부터의 면제 / 246
제11장 국가행위이론 249
Ⅰ. 서 설 / 249 Ⅱ. 국가행위이론의 유형 / 249
Ⅲ. 협의의 국가행위이론 / 251
제12장 외교면제 및 특권 254
제1절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과 외교사절단 254
Ⅰ. 1961년 외교관계에 관한 비엔나협약 / 254 Ⅱ. 외교사절단 / 254
제2절 외교면제·특권 총설 260
Ⅰ. 외교면제의 이론적 근거 / 260 Ⅱ. 국가면제와 외교면제의 관계 / 262
제3절 외교사절단의 불가침성·면제·특권 263
Ⅰ. 외교공관의 불가침과 면제 / 263 Ⅱ. 문서·서류와 통신의 불가침 / 273
Ⅲ. 외교사절의 특권 / 275
제4절 외교관의 불가침과 면제 276
제5절 외교관의 특권 285
제6절 외교면제·특권을 향유하는 자의 인적 범위 288
제7절 통과외교관 291
제13장 기타 면제 293
제1절 영 사 293
Ⅰ. 서 설 / 293 Ⅱ. 영사의 종류ㆍ계급 및 석차 / 294
Ⅲ. 파견과 접수 및 영사의 직무와 종료 / 297 Ⅳ. 영사원조(지원, 보호) / 303
Ⅴ. 영사특권 및 면제 / 308 Ⅵ. 외교면제와 영사면제의 차이점 / 314
제2절 군 대 316
제3절 국제기구의 특권과 면제 317
Ⅰ. 서 설 / 317
Ⅱ. 1946년 UN의 특권과 면제에 관한 협약의 개관 / 317
Ⅲ. 회원국 내에서의 국제기구직원의 특권과 면제 / 318
Ⅳ. 국제기구에 파견된 국가대표의 특권과 면제 / 319
Ⅴ. 개인적 자격으로 활동하는 비상임전문가의 특권과 면제 / 320
제3부 국가책임과 개인의 지위
제14장 국가 책임 325
제1절 총 설 325
Ⅰ. 서 설 / 325
Ⅱ. 2001년에 ‘국제위법행위에 관한 국가책임 규정 초안’ / 325
제2절 국가책임의 성립요건 326
Ⅰ. 주관적 요소 : 국가의 행위일 것 / 327
Ⅱ. 객관적 요소 : 국제의무 위반의 행위일 것 / 334
Ⅲ. 국가책임성립요건으로서의 기타 고려 요소 / 337
Ⅳ. 타국의 국제위법행위에 대한 일국의 관여 / 339
제3절 위법성 조각사유 341
Ⅰ. 의 의 / 341 Ⅱ. 위법성 조각사유의 종류 / 341
Ⅲ. 위법성 조각의 효과 / 348
제4절 위법행위의 법적 결과 349
제5절 국가책임의 이행 352
제6절 외교적 보호권 359
Ⅰ. 서 설 / 359 Ⅱ. 외교적 보호권의 주체 / 362
Ⅲ. 외교적 보호권의 행사요건 / 367
제7절 국제청구의 포기 371
제8절 국제기구의 국제책임과 국제청구권 372
Ⅰ. 서 설 / 372 Ⅱ. 책임의 성립요건 / 373
Ⅲ. 기 타 / 375
제9절 국제법상 금지되지 않는 활동으로 인한 해로운 결과책임 375
제10절 자기완비적 체제 377
Ⅰ. 서 설 / 377 Ⅱ. 자기완비적 체제 개념의 전개과정 / 377
Ⅲ. 자기완비적 체제에 관한 ILC의 견해 / 379 Ⅳ. 결 론 / 380
제15장 국 적 381
Ⅰ. 서 설 / 381 Ⅱ. 국적과 유사한 개념 / 382
Ⅲ. 국적취득 및 상실사유 / 383
제16장 외국인의 대우 386
제1절 외국인의 지위 386
Ⅰ. 서 설 / 386 Ⅱ. 외국인의 대우 / 386
Ⅲ. 외국인의 출입국 / 388
제2절 외국인재산의 수용 390
Ⅰ. 서 설 / 390 Ⅱ. 수용의 적법요건 / 390
Ⅲ. 국가계약의 위반과 국가책임의 성립 / 392
제3절 투자보호방법 394
Ⅰ. 투자보호의 필요성 / 394
Ⅱ. 양자간투자협정(bilateral investment treaties : BITs) / 394
Ⅲ. 투자분쟁해결을 위한 국제본부(ICSID) / 396
Ⅳ. 다자간 투자보증기구(MIGA) / 398
제17장 국제인권법 399
제1절 국제인권법의 전개과정 399
Ⅰ. 국제인권법의 정의 / 399 Ⅱ. 국제인권법의 전개과정 / 399
제2절 국제형법의 발전 400
제3절 인권의 국제적 보호체제 401
Ⅰ. UN과 인권의 국제적 보호 / 401 Ⅱ. 지역별 인권보호체제 / 407
제4절 국제인권조약 408
Ⅰ. UN 세계인권선언 / 408 Ⅱ. 국제인권규약 / 409
Ⅲ. 기타 국제인권조약 / 425 Ⅳ. 위반자에 대한 개인적 책임추궁 / 430
제5절 인권의 보편성과 문화상대주의 431
제18장 난민의 보호 433
Ⅰ. 서 설 / 433 Ⅱ. 난민의 정의 / 434
Ⅲ. 1951년 난민지위협약과 난민의 보호 / 439 Ⅳ. UNHCR과 난민의 보호 / 442
Ⅴ. 탈북자에 대한 취급 / 444 Ⅵ. 대규모 난민 유입에 대한 대응 / 445
제4부 국가의 관할영역
제19장 국가의 영토취득 451
제1절 국가 영역 451
Ⅰ. 국가영역의 구성 / 452 Ⅱ. 영역의 외측한계 / 452
제2절 영역 취득과 방법 454
Ⅰ. 총 설 / 454 Ⅱ. 자연작용(첨부) / 454
Ⅲ. 선 점 / 455 Ⅳ. 시 효 / 457
Ⅴ. 기 타 / 459 Ⅵ. 상대적 권원(relative title) / 460
Ⅶ. 기 타 / 464 Ⅷ. 영토분쟁 해결에 관한 절차규칙 / 465
Ⅸ. 독도 영유권 / 466 Ⅹ. 국제하천 / 468
Ⅺ. 인류의 공동유산 / 470 Ⅻ. 극지(polar regions) / 471
제20장 국가승계 474
Ⅰ. 국가승계의 의의 / 474
Ⅱ. 조약의 국가승계이론 : 1978년 조약법협약 / 475
Ⅲ. 국가재산·국가문서·국가부채의 승계 : 1983년 비엔나협약 / 478
Ⅳ. 기타의 승계 / 480 Ⅴ. 여 론 / 482
제21장 해양법 484
제1절 해양법의 성문화와 82년 해양법협약의 개요 484
Ⅰ. 해양법의 발전 / 484 Ⅱ. 해양법의 법전화 / 484
제2절 기선과 내수 485
Ⅰ. 서 설 / 485 Ⅱ. 기선의 구체적 설정방법 / 486
Ⅲ. 내 수 / 488
제3절 영 해 490
Ⅰ. 서 설 / 490 Ⅱ. 영해에 있어 연안국의 국권 / 491
Ⅲ. 영해에서 연안국의 국권의 제한 / 491 Ⅳ. 국제해협 / 498
제4절 접속수역 504
Ⅰ. 서 설 / 504 Ⅱ. 연안국의 관할권 / 504
제5절 군도국가 505
Ⅰ. 서 설 / 505 Ⅱ. 군도기선 / 505
Ⅲ. 군도국가의 국권 및 제한 / 506
제6절 배타적 경제수역 508
Ⅰ. 서 설 / 508 Ⅱ. 연안국의 권리 / 508
Ⅲ. 연안국의 의무 / 512 Ⅳ. 경계획정 / 516
제7절 대륙붕 518
Ⅰ. 서 설 / 518 Ⅱ. 대륙붕에서의 연안국의 권리 / 523
Ⅲ. 대륙붕에서의 연안국의 의무 / 524 Ⅳ. 대향국·인접국간 대륙붕경계획정 / 525
제8절 공 해 531
Ⅰ. 서 설 / 531 Ⅱ. 공해자유의 원칙 / 532
Ⅲ. 공해에서의 기국주의 / 533 Ⅳ. 기국주의의 예외 / 537
Ⅴ. 공해에서의 의무 / 544
제9절 섬 545
Ⅰ. 서 설 / 545 Ⅱ. 섬의 법적 지위 / 546
Ⅲ. 섬에 관한 판단기준 / 546 Ⅳ. 해양경계획정과 섬의 존재 / 548
Ⅴ. 기타 관련문제 / 549
제10절 심해저 551
Ⅰ. 서 설 / 551 Ⅱ. 심해저의 법적지위 / 551
Ⅲ. 심해저 개발주체 / 552 Ⅳ. 제11부 이행협정의 내용 / 553
Ⅴ. 분쟁해결 / 553
제11절 분쟁해결 554
Ⅰ. 제15부 제1절 : 일반원칙 / 554
Ⅱ. 제15부 제2절 : 구속력 있는 결정을 수반하는 강제절차 / 557
Ⅲ. 제15부 제3절 : 강제절차의 적용의 제한 및 배제 / 559
Ⅳ. 각 분쟁해결 기관 / 563
제22장 영공법 567
Ⅰ. 서 설 / 567 Ⅱ. 영공의 범위 / 567
Ⅲ. 영토국의 국권 / 570 Ⅳ. 조약에 의한 영공개방 / 571
Ⅴ. 배타적 영공원칙에 대한 국제관습법상의 제한 / 572
Ⅵ. 분쟁의 해결 / 575 Ⅶ. 항공범죄의 국제법적 규제 / 576
제23장 국제우주법 580
Ⅰ. 서 설 / 580 Ⅱ. 우주법의 기본원칙 / 581
Ⅲ. 우주물체와 우주비행사의 법적 지위 / 582 Ⅳ. 외기권의 비군사화 / 583
Ⅴ. 우주활동에 대한 국제책임 / 583 Ⅵ. 인공위성 사용과 관련한 문제 / 585
제24장 국제환경법 588
제1절 총 설 588
제2절 국제환경법의 생성과 발전 589
Ⅰ. 1972년 스톡홀름 UN 인간환경회의 / 589 Ⅱ. 1992년 UN환경개발회의 / 590
Ⅲ. 2002년 지속가능한 발전을 주제로 한 지구환경 정상회의 / 591
Ⅳ. 2012년 Rio + 20 정상회의 / 591
제3절 국제환경법의 이념과 원칙 591
Ⅰ. 국제환경법의 이념 : 지속가능한 개발 / 591 Ⅱ. 환경법의 일반원칙 / 593
제4절 대기오염방지를 위한 국제입법 605
Ⅰ. 1979년 제네바 장거리월경대기오염협약 / 605
Ⅱ. 오존층 보호 / 606 Ⅲ. 기후변화협약 / 607
제5절 해양오염의 규제 613
제6절 자연 생태계의 보전 615
제7절 유해 물질 이동의 규제 617
제8절 핵 에너지와 환경 618
제9절 국제환경법의 이행확보 620
제10절 환경보호와 통상규제 621
제5부 전쟁과 평화
제25장 국제연합 627
제1절 총 설 627
Ⅰ. 국제연합의 탄생과 국제연맹과의 비교 / 627
Ⅱ. UN의 목적과 기본 원칙 / 629
Ⅲ. UN헌장과 기타 조약 간의 충돌 방지 / 630
제2절 UN회원국의 지위 631
Ⅰ. 회원국의 자격과 가입절차 / 631 Ⅱ. 회원국의 지위 / 633
제3절 국제연합의 기관과 임무 635
Ⅰ. 총 설 / 635 Ⅱ. UN 총회 / 636
Ⅲ. 안전보장이사회 / 640 Ⅳ. 경제사회이사회 / 646
Ⅴ. 신탁통치이사회 / 647 Ⅵ. 사무국 / 648
제26장 분쟁의 평화적 해결 수단 650
제1절 분쟁의 의의 650
제2절 국제분쟁의 비사법적(정치적) 해결 651
제3절 국제중재재판 654
Ⅰ. 국제분쟁의 사법적 해결의 발달 / 654 Ⅱ. 중재재판 / 655
제4절 국제사법재판소 657
Ⅰ. 국제사법재판소의 지위 / 657 Ⅱ. 국제사법재판소의 조직 / 658
Ⅲ. ICJ 사물 관할권 : 법적분쟁 / 664 Ⅳ. 인적(당사자) 관할권 / 666
Ⅴ. 시간적 관할권 / 676 Ⅵ. 관할권의 존부 판단 / 676
Ⅶ. ICJ 부수적 관할권 / 677 Ⅷ. 재판절차 / 688
Ⅸ. ICJ 판결의 효력과 집행 / 690 Ⅹ. ICJ의 권고적 관할권 / 692
제5절 UN에 의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 696
Ⅰ. 서 설 / 696
Ⅱ. 안전보장이사회에 의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 / 696
Ⅲ. 총회에 의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 / 698
Ⅳ. 국제연합에 의한 분쟁의 평화적 해결의 한계 / 699
제27장 국제사회에서의 무력사용 700
제1절 1945년 이전까지 국가의 무력사용 700
제2절 1945년 이후 국가의 무력사용 701
Ⅰ. 총 설 / 701 Ⅱ. 자위권 / 701
Ⅲ. 기타 개별국가에 의한 무력행사 / 714 Ⅳ. 1974년 침략정의결의 / 719
Ⅴ. 국제테러에 대한 국제법의 입장 / 719
제3절 UN에 의한 집단적 안전보장을 위한 무력행사 723
Ⅰ. 안전보장이사회 / 723 Ⅱ. 총 회 / 729
제4절 평화유지활동 730
Ⅰ. 서 설 / 730 Ⅱ. 전형적인 UN 평화유지활동 / 731
Ⅲ. PKO의 국제법적 쟁점 / 733 Ⅳ. PKO의 역할확대 / 734
Ⅴ. 한국과 PKO / 735 Ⅵ. 결론 : PKO의 문제점과 입법론 / 736
제28장 국제인도법 737
제1절 인도법(international humanitarian law)의 의의 737
Ⅰ. 서 설 / 737 Ⅱ. 국제인도법과 국제인권법의 관계 / 738
Ⅲ. 전쟁법의 기본정신 / 739 Ⅳ. 해적(害敵)수단과 방법의 규제 / 739
Ⅴ. 무력충돌 희생자의 보호 / 741
Ⅵ. 민간군사기업(Private Military & Security Companies : PMSCs) 직원의 국제인도법상 지위 / 743
제2절 핵무기 745
Ⅰ. 서 설 / 745 Ⅱ. 핵확산방지 / 746
Ⅲ. 핵실험규제 / 749 Ⅳ. 핵무기 사용의 통제 / 750
Ⅴ. 핵무기에 대한 국제규제의 한계 / 751 Ⅵ. 결 어 / 752
제3절 군 축 752
Ⅰ. 서 설 / 752 Ⅱ. 군축을 위한 국제적 노력 / 752
Ⅲ. 군축관련 국제규범(조약/신사협정/결의) / 753
Ⅳ. 결 어 / 755
제29장 국제형사재판소 756
Ⅰ. 서 설 / 756 Ⅱ. ICC의 관할권 / 758
Ⅲ. 관할권 행사의 전제요건 / 770 Ⅳ. 관할권행사를 위한 제소 / 773
Ⅴ. ICC의 재판적격성 / 774 Ⅵ. 기타 주요내용 / 778
감추고 싶은 진실

도서명 : 감추고 싶은 진실
저자/출판사 : 최규철, 생각나눔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8-25
ISBN : 9791170485926
정가 : 16800
머리말
제1편 불교의 실체
1화 불교의 태동 및 전래 과정
2화 불교의 기원
3화 불교의 타종교 혼합
4화 마니교의 영향
5화 마니를 마니광불로 숭배
6화 마니교 성자를 참제업장십이존불로 숭배
7화 마니교 성자를 부처로 숭배
8화 육자진언 마니 숭배
9화 광명진언 마니 숭배
10화 환희장마니보적불은 문수사리의 화신
11화 부처도 반열반에 든다
12화 대승불교는 가톨릭교회의 이단
13화 대승불교는 가톨릭교회의 삼위일체 모방
14화 석가모니의 신격화
15화 대승불교, 불교가 아니다
16화 불교라는 종교
17화 대승불교의 세속화
18화 상좌부불교와 대승불교 차이
19화 불교의 사상은 허구다
20화 대승불교 귀신에게 빌다
21화 반야심경, 석가모니 사상 아니다
22화 대승불교 사상은 반과학적
23화 대승불교 창조론 신봉
24화 대승불교는 귀신불교
25화 대승불교의 지옥
26화 석가모니, 평민 혹은 천민 출신
27화 석가모니의 황당한 주장
28화 석가모니 천동설 주장
29화 석가모니 해와 달 네모 주장
30화 석가모니 수미산 지구에 존재 주장
31화 석가모니 3개의 바퀴 주장
32화 대승불교의 사후세계는 존재할 수 없다
33화 해탈은 불가한 사상
34화 윤회는 비논리적 사상
35화 불교의 범죄
36화 불교 인구 쇠락
37화 불교의 영혼은 유물론
38화 성철 스님의 고백
39화 불교의 육식
40화 불교의 49재와 천주교의 위령미사
41화 열반과 해탈은 불가
42화 불교의 인연과 연기법은 허구
43화 무아론과 윤회는 서로 충돌
44화 불교의 마음은 멍청하게 만드는 것
45화 색즉시공 공즉시색은 허황된 사상
46화 식물과 무생물의 윤회
47화 갈릴레오 갈릴레이 재판
48화 가톨릭교회 지동설과 빅뱅설지지
제2편 개신교의 실체
49화 천주교와 개신교의 근본적 차이
50화 기독교는 그리스도교를 지칭
51화 하느님과 하나님
52화 개신교는 이단
53화 개신교는 교회가 아님
54화 각종 성상은 우상숭배가 아님
55화 십일조 낼 필요가 없음
56화 개신교는 안티를 양산
57화 개신교는 구원받을 수 없는 종교
58화 개신교의 친정권 행각
59화 개신교의 범죄
60화 개신교는 타락
61화 개신교는 사도신경 조작
62화 오직 믿음은 개신교의 거짓
63화 오직 성경은 개신교의 거짓
64화 개신교의 냄새
65화 개신교는 문자주의 성경해석
66화 개신교의 오해
67화 개신교의 사회복지비는 뻔뻔한 거짓말
68화 개신교의 복지시설 운영은 돈벌이 수단
69화 개신교의 사회봉사는 허구
70화 개신교의 복지시설 운영은 그들의 사업
71화 개신교 사회봉사의 실체
제3편 천주교의 실체
72화 정구사는 반사회적 이적단체
73화 천주교의 인권운동은 국민 기만
74화 천주교의 이중성
75화 KAL기 폭파범 김현희 가짜 주장
76화 625전쟁 북침 주장
77화 이승복 가짜 주장
78화 천주교 종전선언 지지
79화 천주교는 정구사와 한통속
80화 천주교의 직무유기
81화 사제의 성화 임무
82화 정치 사제 고발
83화 망하고 있는 천주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