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스주의와 현대제국주의 또는 세계 연극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6
0
본문
맑스주의와 현대제국주의

도서명 : 맑스주의와 현대제국주의
저자/출판사 : 전국노동자정치협회, 밥북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3-08-17
ISBN : 9791158589554
정가 : 20000
발행사-제국주의가 현대자본주의 산물일진대, 왜 ‘현대’제국주의인가?
추천사
1. 왜 지금 현대제국주의인가?/2. 상투쟁이 빈곤한 우리 시대의 대표적 사상이론 투쟁의 기록유산/3. 반미제국주의 타도라는 시대 과업을 수행하는 수단이 되기를(이자훈)/4. 현대제국주의의 현상ㆍ본질ㆍ발전경향(홍승용)/5. 새로운 사회에 대한 논쟁 촉발을 위하여(이용기)
1장 현대제국주의 성격과 21세기 타도 제국주의
1. 반제국주의의 요체는 여전히, 앞으로도 반미이다 / 2. 강도와 같은, 야수적인 제국주의의 진짜 면모를 보라! / 3. ‘식민주의’로 점철된 미ㆍ일ㆍ한 ‘동맹’사 / 4. 7인의 제국주의 강도단, 인류 대학살장 히로시마에서 가증스럽게도 전쟁 획책과 북핵 반대를 외치다!
2장 우리의 강철 같은 동맹을 위하여
1. 누가 과연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로 ‘세계 안보를 위협’하고 있는가? / 2. 미제는 경제적으로도 ‘힘에 의한 현상 변경 시도’를 하고 있다 / 3. 우리 비록 가시밭길 가더라도 살인 정권 윤석열 일당을 분쇄하자! / 우리의 숭고한 국제주의 동맹은 너희의 전쟁·약탈동맹과 전연 다르다
3장 국제공산주의 운동의 첨예한 쟁점들
1. 22차 국제공산당·노동당 대회를 중심으로 / 2. 서방 제국주의가 러시아와 돈바스인민공화국을 침략했다! / 3-1. 통일전선의 빛나는 사례, 반파시즘 인민전선을 계급협조라 부정하는 교조·종파주의자들 / 3-2. 우크라이나 파시즘은 러시아의 침략 ‘구실’에 불과한가? / 4-1. ‘제국주의 피라미드론’은 제국주의론이 아니라 부르주아 국제주의론 / 4-2. 미ㆍ제국주의 패권에 맞서는 다극화는 역사 진보와 혁명 전진의 촉진제인가? 걸림돌인가? / 5. 러ㆍ우전에서 기묘하게 하나가 된 제국주의의 ‘진보적’ 들보들! / 6.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과 평화의 전망 / 7. 사회진보연대의 극우적 타락상과 진보진영의 정치적 교훈 / 8. 집요하게 러시아의 제국주의성을 증명해서 무엇을 얻으려 하는가?
4장 중국혐오의 정치적 기원
1. 중국혐오는 자연스러운 역사적 감정이 아니라 조장된 것이다 / 2. 중국혐오는 (신)식민지 담론이다 / 3. 중국혐오는 부메랑이 되어 파멸을 부른다 / 4. 군국주의자 아베 사망과 (신)식민 지배의 현재성 / 5-1. 중국 사회 성격을 둘러싼 정치ㆍ경제학적 논쟁을 중심으로 / 5-2. ‘진보주의자들’의 역사인식 결여가 중국혐오를 지속시킨다
세계 연극사

도서명 : 세계 연극사
저자/출판사 : 페터 짐한들 , 프란츠 빌레 , 그리트 반 다이크, 한울아카데미
쪽수 : 832쪽
출판일 : 2023-03-24
ISBN : 9788946074309
정가 : 64000
서문 | 옮긴이 서문
1장 연극의 기원에서 바로크 연극까지
연극의 뿌리 | 고대 그리스의 드라마와 공연 형식 | 고대 로마의 드라마와 연극 | 아시아의 전통극 | 중세의 종교극과 세속극 | 휴머니즘과 르네상스 시대의 드라마와 연극 | 코메디아 델라르테 | 엘리자베스 여왕 시대 영국의 드라마와 연극 | 이탈리아와 독일의 바로크 연극 | ‘황금세기’ 스페인의 드라마와 연극 | 프랑스 고전주의 드라마와 연극
2장 시민사회 시대의 연극
시민극의 탄생 | 18세기 유럽의 희극 | 유랑극단에서 상설극장으로 | 슈투름 운트 드랑 시대의 드라마 | 독일 고전주의 드라마와 연극 | 유럽 낭만주의의 드라마와 연극 | 빈의 궁정극장과 민중극 | 왕정복고에서 혁명 발발 전까지의 독일 드라마 | 시민계급의 연극계 접수 | 자연주의 드라마와 연극 | 러시아 사실주의 드라마와 연극 | 인상주의와 상징주의 드라마
3장 20세기 독일어권 연극
막스 라인하르트의 연극 | 표현주의 드라마와 연극 | 바이마르 공화국의 시대극과 민중극 | 에르빈 피스카토어의 정치극 | 베르톨트 브레히트의 서사극 | 국가사회주의 드라마와 연극 | 망명 시기 드라마와 연극 | 전쟁 직후의 연극 | 독일민주공화국의 드라마와 연극 | 재건 시기 독일연방공화국의 연극 | 드라마의 정치화: 비유극-기록극-비판적 민중극 | 정치적 궐기의 시대 독일연방공화국의 연극 | 서방 독일어권 지역의 1970년대, 1980년대 드라마와 연극 | 정상성의 종말: 1990년 이래로 연극의 몇 가지 전개과정
4장 아방가르드 연극
1900년도경의 연극개혁 | 이탈리아 미래파의 연극 구상 | 러시아 미래파의 드라마와 연극 | 러시아 혁명의 연극 | 추상적 그리고 기계적인 연극 |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에서의 연극적 요소들 | 앙토냉 아르토의 잔혹연극 | 리빙 씨어터와 오프-오프-브로드웨이 운동 | 예지 그로토프스키의 ‘가난한 연극’ | 유제니오 바르바와 오딘 극단 | 피터 브룩의 단순한 연극 | 아리안 므누슈킨과 태양극단 | 해프닝-플럭서스-빈의 액셔니즘-퍼포먼스 아트 | 타데우즈 칸토르의 죽음의 연극 | 로버트 윌슨의 이미지 연극 | 21세기의 세계-연극: 하나의 개요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