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타의 대승선맥 또는 내가 나에게 쓰는 감사편지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불타의 대승선맥 또는 내가 나에게 쓰는 감사편지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36 0

본문




불타의 대승선맥
9788957467565.jpg


도서명 : 불타의 대승선맥
저자/출판사 : 오형근 , 박화문, 운주사
쪽수 : 316쪽
출판일 : 2023-08-16
ISBN : 9788957467565
정가 : 22000

서문·5
발간사·9
불타의 선맥과 금강삼매·11

제1장 싯다르타 태자의 출가수도(出家修道) 19

제2장 불타의 금강삼매와 성불 25

제3장 불타의 대각과 성도 29
1. 『아함경』에 나오는 연기법과 진여법·32
2. 『대반야바라밀다경』에 나오는 연기법과 진여법·34
3. 『해심밀경』,『능가경』에 나오는 연기법과 진여법·36

제4장 불타의 초기 설법과 중생교화 41
1. 범부승과 십선·44
2. 성문승과 팔정도·45
3. 연각승과 연기법·51
4. 보살승에 대한 설교·59

제5장 보살승과 대승불교 65
1. 보살과 대승의 종체·66
2. 보살과 보리심·69
3. 대승심의 개요·74
4. 보리심과 대승심·76

제6장 대승인의 무소유관 93
1. 무소유의 비유와 의미·94
1) 공중의 흔적과 무소유·94
2) 환사(幻事)와 무소유·95
3) 공화(空花)와 무소유·95
4) 진여와 무소유·95
2. 마하살의 수행·97
3. 배우고 깨닫는(應學應知) 보살 수행·98
1) 선법과 불선법·100
2) 세간법과 출세간법·100
3) 유루법과 무루법·101
4) 유위법과 무위법·101
5)공(共)과 불공(不共)·102

제7장 마하살의 대비행 105
1. 마하살의 대승선·108
1) 마하살의 수행·109
2) 마하살의 금강심·111
2. 마하살의 대비와 홍익인간·113
3. 마하살과 유정들의 상수·115

제8장 초발심과 구경각 119
1. 초발심과 대승심·119
2. 육바라밀다와 발취대승·123
3. 대비심과 구경각·125

제9장 지혜로 성불하는 수행 129
1. 심반야(深般若)의 뜻·132
2. 마하반야(摩訶般若)의 뜻·133
3. 지혜의 조명과 견성(見性)·136
4. 대지혜(摩訶般若)의 공관(空觀)·139
1) 망심의 집착과 단절·140
2) 물질의 집착과 단절·142
5. 지혜는 보살모(菩薩母)이며 불모(佛母)다·147
1) 『반야경』의 지혜설·148
2) 『법화경』의 불지견설·149
6. 지혜를 배워야 한다(當學般若)·150

제10장 육바라밀다의 대승상(大乘相) 153
1. 육바라밀다와 대승상·153
1) 보시바라밀다의 수행·158
2) 정계바라밀다의 수행·160
3) 안인바라밀다의 수행·161
4) 정진바라밀다의 수행·162
5) 정려바라밀다의 대승상·163
6) 지혜바라밀다의 대승상·164
2. 진여평등(眞如平等)과 사성무차별(四姓無差別)·166

제11장 대승 무변과 보살 무변 175
1. 대승심의 종체(宗體)·176
1) 발취대승과 보살 수행·177
2) 환대승개와 보살 수행·179
3) 환대승개와 육바라밀다·180
2. 대승종(大乘宗)과 무변의 대승(大乘無邊)·181
1) 대승의 무변과 보살의 무변·183
2) 진여의 무변과 보살의 무변·184
3) 공의 무변과 보살의 무변·185
4) 선정 무변과 보살의 무변·187

제12장 대승선의 성립과 금강삼매 189
1. 인간의 본성과 대승심·191
1) 대승심과 이타행·193
2) 불타의 대승과 허공은 동등하다는 설법·196
2. 대승과 반야바라밀다·210
3. 진여성과 일체법·213
4. 진여시설과 일체법·215
5. 공성과 무소득·217

제13장 대승과 대승선 225
1. 반야의 출현과 대승·225
1) 반야바라밀다와 불모·227
2) 반야의 종류와 내용·229
2. 대승선의 성립·232

제14장 대승선과 대승심 237
1. 대승심·237
2. 대승의 선정 수행·241
1) 지전보살들의 선정 수행·241
2) 유가행파의 사종지혜·261
3. 십지보살의 선정 수행·264
1) 보살들의 수행 단계·264
2) 금강삼매와 진여삼매·267
4. 금강삼매와 망심의 정화·271

제15장 대승선의 선맥 277
1. 용수논사의 공사상과 『중관론』·278
1) 천과 실의 인연·279
2) 손가락과 주먹의 비유·280
3) 공과 중도관·280
2. 무착논사와 세친논사의 대승불교·281
1) 세친논사의 출가와 사상·283
2) 무착논사의 출가와 사상·283
3) 무착논사의 화엄이 세친논사에게 전달·285
4) 무착논사의 유식학이 세친논사에게 전달·286
5) 무착논사의 금강삼매가 원효에게 전달·290
6) 달마대사의 선법 전달·290
7) 진제삼장의 전법·292
8) 『섭대승론』의 심식설(心識說)·293
9) 진제삼장의 『기신론』 사상이 원효대사에게 전달·294
10) 구종심주의 선(禪)과 금강삼매의 전달과 원효대사·296

맺는말·301
찾아보기·303




내가 나에게 쓰는 감사편지
9791192191218.jpg


도서명 : 내가 나에게 쓰는 감사편지
저자/출판사 : 장갑생, 코람데오
쪽수 : 240쪽
출판일 : 2023-10-19
ISBN : 9791192191218
정가 : 15000

1부: 물의 지느러미
2부: 오늘은 선물이다
3부: 그림자 유희
4부: 파도에 길이 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