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글자로 불리는 사람 또는 서양의 자아철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세 글자로 불리는 사람 또는 서양의 자아철학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8 0

본문




세 글자로 불리는 사람
9788932041599.jpg


도서명 : 세 글자로 불리는 사람
저자/출판사 : 파스칼 키냐르, 문학과지성사
쪽수 : 278쪽
출판일 : 2023-07-17
ISBN : 9788932041599
정가 : 17000

제1장 지상 낙원으로의 여행
제2장 간제에게 보낸 제아미의 편지
제3장 fur(도둑)
제4장 바그다드의 기사
제5장 알프alf 혹은 알레프aleph의 A
제6장 재의 수요일
제7장 가에타에 내걸린 키케로의 머리
제8장 Benveniste의 B
제9장 문학이라는 말에는 기원이 없다
제10장 중국의 새들
제11장 어린애란 무엇인가?
제12장 Litterarum amor(문자 애호)
제13장 에페수스의 헤라클레이토스
제14장 정신분석
제15장 마호메트에게 나타난 가브리엘 천사
제16장 녹색
제17장 자서전
제18장 타피스리
제19장 잠의 문을 새벽이라 한다
제20장 그림자는 시간 속에서 자라는 꽃이기 때문이다
제21장 테네브레의 딱딱이
제22장 알페이오스 설화
제23장 대나무 테라스들
제24장 침대란 무엇인가?
제25장 이 책이 조판된 가라몽 서체에 관하여
제26장 알려지지 않은 악기, 알려지지 않은 책
제27장 가장 감미로운 놀이
제28장 문인들의 희귀함, 등귀騰貴와 실종
제29장 Vertumnum Janumque liber...(베르툼누스와 야누스 성향의 책……)
제30장 낭만적인 것들
제31장 옛날의 냄새
제32장 페트라르카가 키케로에게 편지를 쓴다
제33장 시간 도둑
제34장 암고양이 무에자
제35장 역사상 가장 충격적인 표절에 대하여
제36장 독자讀者인 왕
제37장 Y자에 대하여
제38장 사랑의 신비로운 본성

옮긴이의 말 · 도둑과 도둑질에 관한, 혹은 거듭re-태어나기naissance에 관한 서사
작가 연보
작품 목록




서양의 자아철학
9788925418056.jpg


도서명 : 서양의 자아철학
저자/출판사 : 류의근, 교육과학사
쪽수 : 584쪽
출판일 : 2023-10-30
ISBN : 9788925418056
정가 : 26000

총서 간행사 ···········································································································3
편집자 서문 ···········································································································5

제1부|서양의 자아철학의 사회성과 역사성
제 1 장 칸트의 주체 개념에 대한 반성적 고찰 ················································29
제 2 장 헤겔철학에서 자아의 개체성과 보편성의 문제 ···································53

제2부|독일의 자아담론
제 3 장 키르케고르의 자아 개념을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자아관 비판 ········85
제 4 장 니체의 주체 계보학 ··············································································111
제 5 장 후설의 자아 개념 ·················································································133
제 6 장 하이데거의 기초인간학 ········································································153
제 7 장 하르트만의 정신의 객관화와 객체화 ·················································179
제 8 장 슈타이너의 인지학적 인간관과 치유철학 ··········································199

제3부|영미의 자아담론
제 9 장 비트겐슈타인에서 선험적 주관의 문제 ··············································227
제10장 테일러와 헤겔에서 자아관과 공동체의 형성 ····································249
제11장 매킨타이어를 통한 자아 통합성 ·························································273
제12장 프랭크퍼트를 통한 통합적 자아의 가치 해명 ··································289
제13장 자기형성 과정에서 의식적ㆍ비의식적 지향성 ··································311

제4부|프랑스의 자아담론
제14장 라캉의 ‘오브제 a’ 개념 ·······································································343
제15장 레비나스의 주체성에 관한 고찰 ·························································367
제16장 리쾨르의 프로이트 정신분석 해석을 통한 주체의 재발견 ·············387
제17장 들뢰즈ㆍ가타리의 동물-되기와 윌버의 의식 구조 ··························407
제18장 네그리ㆍ하트와 랑시에르의 계급론적 주체 이론 ····························429

제5부|한국의 자아담론
제19장 주체사상의 철학적 평가 ······································································453
제20장 90년대 한국사회와 역사적 주체 개념 ··············································475
제21장 한반도 시민 주체에 관한 모색 ··························································497
제22장 주체의 사망과 부활 ·············································································531
제23장 탈휴머니즘적 하이브리드 주체 ···························································563

출전 ··················································································································582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