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고대문화와 사회 또는 성경전서 NKR73STH 중 버건디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95
0
본문
전북지역 고대문화와 사회

도서명 : 전북지역 고대문화와 사회
저자/출판사 : 최완규, 서경문화사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3-11-02
ISBN : 9788960622548
정가 : 38000
제1장 마한문화와 사회
제1절 청동기문화와 한문화
1. ‘韓’의 선주민 ‘송국리형 문화’
제2절 마한의 태동
1. 동화되지 못한 이주민의 묘제 ‘적석목관묘’
제3절 마한의 성립
1. 만경강유역과 집단묘역 ‘토광묘(목관묘)’의 등장
2. 제의 유적과 마한의 성립
3. 전북지역 마한 성립기 제의유적
4. 마한의 성립과 문헌기록
제4절 마한문화의 성립과 익산
1. 한(韓)의 중심지 “익산”
2. 마한의 성립지 “익산”
3. 마한성립의 경제적기반 황등제
제5절 분구묘의 전개와 지속성
1. 송국리 문화 토착세력과 분구묘 축조집단의 계승성
2. 분구묘(주구묘)의 전개와 지속
3. 전북지역 분구묘 전개 양상
제6절 전북지역의 마한소국
1. 전북지역의 마한제국
2. 건마국의 재검토
제7절 고창지역의 마한문화
1. 마한성립기의 고창지역 문화양상
2. 고창의 마한문화 전개와 발전
3. 백제의 고창지역으로 진출
제2장 백제왕도 익산
제1절 분묘유적으로 본 익산세력의 전통성
1. 마한 분구묘
2. 백제 석축묘
3. 분묘의 지속성 및 복합양상
4. 결어
제2절 익산도성의 완전성
1. 익산도성의 입지조건
2. 왕궁성
3. 국찰 미륵사
4. 종묘 제석사
5. 왕릉(능원 쌍릉)
6. 관방유적
제3절 익산천도 사실
1. 익산천도의 역사적 배경
2. 왕흥사는 미륵사였다.
3. 제석사는 도성의 종묘
4. 신동리 제의유적
5. 수부명 기와
제3장 백제지방통치의 거점 “중방 고사성”
제1절 머리말
제2절 중방성의 기층문화 마한
1. 분묘유적
2. 주거유적
제3절 백제 중방 고사성의 구성 내용
1. 공간적 범위
2. 중방 고사성의 구성내용
3. 백제문화의 확산과 중방 고사성 설치
4. 백제 중방성과 정읍사의 시 공간적 배경
제4장 전북지역 가야문화와 백제 남방성
제1절 전북 동부지역의 기층문화
제2절 전북가야의 중심문화권
1. 아영분지
2. 장계분지
제3절 전북가야의 주변문화권
1. 운봉분지
2. 장수분지
제4절 전북지역 가야와 백제의 관계
1. 전북가야의 백제관문, 연산지방
2. 전북지역의 가야계 세력과 백제 남방성
제5장 전북지역의 고대수리 유적
제1절 머리말
제2절 전북지역의 고대수리 유적
1. 익산 황등제
2. 김제 벽골제
3. 고부 눌제
4. 전북지역 고대 수리유적의 기능과 폐제
성경전서 NKR73STH 중 버건디

도서명 : 성경전서 NKR73STH 중 버건디
저자/출판사 : 성서원 편집부, 성서원
쪽수 : 1840쪽
출판일 : 2023-11-07
ISBN : 9788936029531
정가 : 49000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