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함께한 봄날 또는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엄마와 함께한 봄날 또는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1 0

본문




엄마와 함께한 봄날
9791169103589.jpg


도서명 : 엄마와 함께한 봄날
저자/출판사 : 우희경,기획,최솔지,이지영,이영탁,김희배,민강미,한경, 미다스북스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3-10-26
ISBN : 9791169103589
정가 : 20000

STORY1. 나 홀로 딸을 키운 엄마의 강인함을 이제야 알았다 (최솔지)
1. 엄마는 어려서부터 강인한 팔자였을까?
2. 결혼도, 남편도 엄마가 기댈 틈은 주지 않았다
3. 아빠의 빈자리가 엄마에게 남긴 것
4. 괜찮지 않은 순간이라도
5. 엄마가 되고 엄마 마음을 헤아린다는 것

STORY2. 엄마의 가슴엔 아직도 꿈이 서려있다 (이지영)
1. 엄마의 젊음과 함께 사라져 가던 할머니
2. 엄마의 꿈은 우리의 꿈으로
3. 나의 사춘기, 엄마의 갱년기
4. 엄마의 눈물은 땅에 나의 눈물은 하늘에
5. 이제야 시작된 엄마의 꿈, 내가 지켜줄게요

STORY3. 엄마의 손에는 세월이 묻어있다 (이영탁)
1. 낯선 길을 혼자 가야 했을 때
2. 엄마의 마흔, 그리고 나의 마흔
3. 엄마와 아버지의 숨겨진 사연
4. 엄마는 나의 장사 소질을 아셨을까?
5. 엄마가 담고 살아야 할 가슴 아픈 손가락

STORY4. 여러 명의 친정 엄마가 있어서 참 다행이다 (김희배)
1. 나에게만 엄마가 없었다
2. 환갑이 넘어 엄마가 되어준 할머니
3. 아빠이면서 엄마이면서
4. 나의 분신, 나의 엄마

STORY5. 꽃 같은 우리 엄마는 가족 바보였다 (민강미)
1. 엄마는 꽃길만 걸을 줄 알았는데
2. 걱정대상 우리 엄마, 박 여사님
3. 엄마에게 걱정만 남겨서 미안해
4. 엄마가 내 엄마여서
5. 우리 엄마는 늙지 않을 줄 알았는데

STORY6. 엄마의 억척스러움엔 가족을 위한 헌신이 있었다 (한경아)
1. 비오는 날이 좋았던 시절이 있었는데
2. 나는 우리 엄마처럼은 못 살아
3. 거친 삶이 엄마에게 남긴 것
4. 골방에 꺼지지 않는 촛불처럼
5. 다 퍼주시는 엄마에게 감사함은 어떻게 전할까

STORY7. 새 엄마지만, 내게는 세상에 하나뿐인 엄마였다 (황소영)
1. 스물셋 그녀, 두 아이의 엄마가 되었다
2. 엄마의 일기장
3. 우울증이라는 마음의 병
4. 엄마와 한걸음 멀어지다
5. 엄마가 내 엄마라서 고마워요

STORY8. 엄마를 보면 괜히 눈물이 났다 (임주하)
1. 아버지 곁에 선 엄마는 어떤 삶을 원했을까?
2. 엄마를 보면 괜히 눈물이 났다
3. 엄마에게 필요한 딸이었으면
4. 인생이 그런 거지 뭐
5. 될 수 있는 것과 할 수 있는 것

STORY9. 나는 엄마의 딸이자 열렬한 팬이었다 (최제인)
1. 억척 순이 우리엄마
2. 엄마의 드럼(drum) 그리고 드림(dream)
3. 삶의 힘든 고비마다 엄마에게 음악이 있었다
4. 엄마가 보여준 도전정신과 배움의 태도
5. 엄마처럼 살고 싶습니다

STORY10. 애증관계 엄마지만 거기에 사랑이 있었다 (조성은)
1. 엄마도 칭찬이 필요했구나
2. 엄마를 사랑하면서도 미워했던 이유
3. 나의 존재와 엄마
4. 거기에 사랑이 있었다
5. 엄마를 꼭 안아 줄래요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9788960622500.jpg


도서명 : 통일신라토기 편년과 활용
저자/출판사 : 이동헌, 서경문화사
쪽수 : 364쪽
출판일 : 2023-03-22
ISBN : 9788960622500
정가 : 37000

1장 서론
1. 선행 연구의 쟁점과 검토
2. 연구의 목적과 방법

제1부 편년의 수립
2장 유개완과 기준 편년
1. 유개완의 분석
2. 유개완의 기형과 문양 변화
3. 속성 변화 검증과 편년 기준 설정

3장 제기종의 편년
1. 기종별 형식 조열과 변화
2. 상대 편년과 평행 관계

4장 역연대론
1. 인화문토기와 통일신라 개시기
2. 각 단계의 역연대 비정
3. 중국 도자를 통한 역연대
4. 일본 출토 자료를 통한 역연대

제2부 편년의 활용
5장 가마와 토기의 생산
1. 토기 가마의 편년
2. 토기 가마의 구조 변화와 생산 체제

6장 묘제의 변화와 획기
1. 묘제 변화의 획기
2. 석실분에서 화장묘로 전환
3. 유아묘의 출현

7장 주거 변화와 요인
1. 신라왕경의 수혈식 주거지 검토
2. 신라왕경의 주거 변화와 요인

8장 결론

참고문헌

부록. 인화문토기 문양 공반 분석 대상과 신라후기 및 통일신라양식 토기류 출처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