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또는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또는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8 0

본문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9791158489076.jpg


도서명 : 한국어 교육문법의 지도법
저자/출판사 : 노채환, 박이정
쪽수 : 260쪽
출판일 : 2023-08-04
ISBN : 9791158489076
정가 : 22000

1. 교실 현장에서 한국어 교육문법 지도의 실제 13
2. 이다, 있다/없다, 이다 VS 있다 14
3. 이/가, 은/는, 이/가 VS 은/는 20
4. [장소]에 있다 / [장소]에 가다/오다/다니다 / [장소]에서 동사 24
5. -(으)ㄹ 거예요, -(으)ㄹ까요?, -(으)ㄹ래요, -(으)ㄹ까요? VS -(으)ㄹ래요 27
6. -아/어/여서 31
7. -(으)니까, -아/어/여서 VS -(으)니까 34
8. -고, -아/어/여서[순차] 38
9. -고 VS -아/어/여서[순차] 42
10. 안 V, 못 V, 안 V VS 못 V 45
11. 관형형 51
12. -고 싶다, -(으)러 가다, -(으)려고 57
13. -고 싶다 VS -(으)러 VS -(으)려고 62
14. -(으)ㄹ 때, -(으)면, -(으)ㄹ 때 VS -(으)면 65
15. -고 있다 70
16. -아/어/여 보다 73
17. -지 말다 76
18. -아/어/여야 하다 78
19. -(으)려면 80
20. -(으)ㄹ게요, -(으)ㄹ게요 VS -(으)ㄹ래요 84
21. (이)나, -거나 87
22. -기가 싫다/힘들다/쉽다/어렵다 91
23. N 동안, -는 동안, N 동안 VS N 때 94
24. -기로 하다 99
25. N 말고, -지 말고, N 말고 N도 102
26. -(으)ㄴ/는 것 같다, 추측과 완곡의 구분 105
27. -(으)ㄹ 수 있다/없다 109
28. -기 전에, -(으)ㄴ 후에 111
29. -(으)면 안 되다, -아/어/여도 되다 115
30. -아/어/여지다, -게 되다 120
31. -(으)ㄹ 거예요(추측) 125
32. -아/어/여 있다 128
33. -네요, -네요 VS -군요 131
34. -(으)ㄴ/는데 134
35. -았/었/였으면 좋겠다 140
36. -겠-(의지) 144
37. -기 때문에, N 때문에, N 때문에 VS N(이)기 때문에 146
38. -(으)면서, -(으)면서 VS -고 VS -다가 150
39. -(으)ㄹ까 하다, -(으)ㄹ까 하다 VS -(으)ㄹ 거예요 155
40. -(으)ㄴ 지 [시간]이/가 되다 159
41. -거든요(이유) 162
42. -기 위해서, -기 위해서 VS -(으)려면 166
43. -(으)ㄴ/는 덕분에 170
44. -(으)ㄴ/는지 알다/모르다 174
45. -(으)ㄴ 적이 있다/없다 178
46. -고 나서, -고 나면, -고 나니까 181
47. -잖아요, -잖아요 VS -거든요 185
48. N에다가, N하고 VS N와/과 VS N에다가 189
49. -(으)ㄴ/는 편이다 192
50. -아/어/여 보이다 195
51. -기는요, -(으)ㄴ/는걸요 199
52. -더라 203
53. -느라고 207
54. -아/어/여서 그런지 212
55. 아무 N(이)나 215
56. N(이)라도 219
57. -아/어/여 놓다 222
58. -(으)ㄹ 뿐만 아니라 225
59. N(이)야말로, N(이)라면 228
60. 간접화법 1 232
61. 간접화법 2 241
62. 간접화법의 축약 248
63. 간접화법과 결합 문형들 254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9791186202623.jpg


도서명 : 청소년을 위한 교육 예술
저자/출판사 : 루돌프 슈타이너, 푸른씨앗
쪽수 : 268쪽
출판일 : 2023-07-20
ISBN : 9791186202623
정가 : 20000

루돌프 슈타이너의 강의록을 읽기 전에

첫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2일
·기억하기. 기억을 돕는 요소로서 느낌, 유머, 기대감 등
·관찰 수업과 아이 스스로 활동하는 수업
·육체적인 것과 정신적인 것 함께 보기

두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3일
·표상하기, 판단하기, 결론 내리기
·물질적-육체적인 것과 영적-정신적인 것의 관계
·‘우주적’ 아이와 ‘지상적’ 아이

세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4일
·깨어 있을 때와 잠자는 동안 인간 존재 구성체에 일어나는 효과
·오이리트미, 음악, 물리, 역사
·삼지적 인간에 맞춘 수업 시간표

네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5일
·신체적-육체적인 것과 영적-정신적인 것의 관계
·쓰기, 읽기, 이야기 듣기
·상상력이 풍부한 아이와 그렇지 못한 아이

다섯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6일
·14, 15세의 격변
·존재 구성체의 분화에 있어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의 차이
·성애性愛

여섯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7일
·교사의 깊은 세계관과 의향을 요구하는 사춘기 청소년 교육
·성인이 청소년에 접근할 수 없는 이유
·그리스 시대의 4요소

일곱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8일
·다양한 나이대 사이의 인간 관계
·세밀한 사항을 고려하지 않아서 인간 사이에 생겨나는 심연
·14, 15세 청소년을 이해할 다리로서 느낌과 감정의 정신과학적 관철

여덟 번째 강의 ㆍ 1921년 6월 19일
·14, 15세 무렵의 이상을 바라는 경향
·사랑과 의무
·권위에 대한 관계의 변화
·맺음말

루돌프 슈타이너의 생애와 작업
옮긴이의 글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