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중심 코칭심리학 또는 러시아 과학기술의 이해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또는 러시아 과학기술의 이해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4 0

본문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9788999729256.jpg


도서명 : 현장중심 코칭심리학
저자/출판사 : 이석재, 학지사
쪽수 : 320쪽
출판일 : 2023-07-30
ISBN : 9788999729256
정가 : 16000

들어가는 글

제1부 시스템적 관점 전환

제1장 부분이 아니라 전체를 본다
전체성으로 지각한 게슈탈트 | 지금 여기에 집중하기 |
경험순환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코치의 자세와 코칭 스킬 |
코칭 사례: 알아차림: 목적 없이 일에 묶인 삶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2장 생각과 느낌, 행동을 통합적으로 본다
인지가 정서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
인지행동적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반복적으로 떠오르는 생각 |
코칭 사례: 자기중심성의 이중성, 집착과 선한 영향력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3장 지금의 선택이 삶을 결정한다
행동은 선택의 결과이다 | 현실대응법, 3R을 실천하라 |
WDEP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삶을 개선시키는 코칭 주제 |
코칭 사례: 기회를 만드는 선택에 직면하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2부 자기주도적 학습과 성장

제4장 잠재성을 끌어내어 발휘한다
긍정심리학에서 찾은 코칭 미션 | 잠재성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효과성 코칭에서 본 잠재성 | GROW 모델의 현장 적용 |
코칭 사례: 강점 발견으로 자기 확신 높이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5장 더 나은 내가 되는 삶을 산다
열등감은 성장의 자원이다 | 성장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더 나은 내가 되는 방법 | 코칭 사례: 진정 원하는 것 찾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6장 문제 중심보다 해결 중심으로 대화한다
효과적인 프레임워크 찾기 | 문제 중심 대화보다 해결 중심 대화하기 |
해결 중심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코칭 사례: 일과 삶의 불균형에 답을 찾다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7장 경험과 성찰로 삶을 주도한다
자기주도적 삶이 학습이다 | 경험학습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자기성찰을 통한 학습과 성장 |
코칭 사례: 성찰질문을 통해 상자 밖으로 끌어내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3부 결과 지향적 행동변화

제8장 존재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한다
행동은 길들여진다 | 모방과 모델링의 효과 |
결과를 만드는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U이론과 존재방식 코칭 |
코칭 사례: 지금의 나를 받아들이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9장 변화의도를 키워 변화를 주도한다
범이론적 행동변화 | 행동변화 프레임워크의 코칭적 활용 |
행동변화를 만드는 코칭 전략 |
코칭 사례: 자기 확신을 높여 변화의도 강화하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제10장 변화저항을 변화동기로 바꾼다
경쟁과 경쟁다짐 간의 갈등 | 자기 제한적 신념 극복하기 |
코칭 사례: 안전지대에서 벗어나기 |
AMP 기법을 활용한 감정 관리하기 | 방어적 관행 없애기 |
속마음 공유하기 |
코칭 사례: 자기 방어적이 된 근본 원인과 직면하기 |
코칭심리 탐구질문

참고문헌

〈부록 1〉 프레임워크로 코칭을 리셋하라
〈부록 2〉 나만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라
나가는 글: 증거 기반 코칭을 실천하라

찾아보기




러시아 과학기술의 이해
9791170485209.jpg


도서명 : 러시아 과학기술의 이해
저자/출판사 : 김태희, 생각나눔
쪽수 : 184쪽
출판일 : 2023-02-06
ISBN : 9791170485209
정가 : 15000

책을 펴내며

제1장 러시아 이해와 과학기술

제2장 러시아 사회 요인
1. 러시아 노스탤지어
2. 러시아 경제 및 정책
3. 사회적 인식 및 처우
4. 과학기술자 수와 연구 성과

제3장 새로운 전환기: 1991~1999
1. 경제
2. 과학기술 정책
3. 사회적 인식 및 처우
4. 과학기술자 수와 연구 성과

제4장 푸틴 집권기: 2000~2013
1. 러시아 노스탤지어
2. 경제
3. 과학기술 정책
4. 사회적 인식 및 처우
5. 과학기술자 수와 연구 성과

제5장 경제 제재기: 2014~2020
1. 러시아 노스탤지어
2. 경제
3. 과학기술 정책
4. 사회적 인식 및 처우
5. 과학기술자 수와 연구 성과

제6장 시기별 종합 분석과 예측
1. 러시아 과학기술의 시기별 종합 분석
2. 향후 예측: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이후

제7장 러시아의 과학기술과 한국에 시사점
1. 과학기술 관련 포퓰리즘 경계
2. 과학기술 사업화 지원 체계 구축
3. 사회 속 과학기술 모색
4. 신진 과학기술자 육성과 적극적인 인구 대책 수립
5. 두뇌 유출 대응 방안 마련

제8장 결어

참고 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