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 또는 발효학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4
0
본문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

도서명 : 모든 현재의 시작, 1990년대
저자/출판사 : 윤여일, 돌베개
쪽수 : 340쪽
출판일 : 2023-07-24
ISBN : 9791192836195
정가 : 19000
1. 프롤로그
지금 시대와 지난 시대
1990년대, 여전히 살아 움직이는
1990년대로 진입하는 방법
과거의 고민을 현재로 잇기
2. 문제적 시대로서의 1990년대
1990년대란 무엇인가
1990년대는 언제부터인가
1990년대 잡지계의 진용
1990년대와 1980년대
1990년대와 2000년대
3. 문학, 전장에서 시장으로
시련 이후 문학장의 형성
문학주의의 도래와 ‘문학의 위기’
문학 비평의 속사정
문학도 권력일 수 있는가
문언유착과 문단정치학
문학권력논쟁이 남긴 것들
4. 사상, 중심을 잃은 행방
혁명의 시대, 초월의 사상
사상지가 선언한 것들
현실사회주의권 붕괴 이후
포스트모더니즘 등장 이후
지적 주체성과 탈식민화
분기하는 사상계
5. 문화, 대중성과 실험정신 사이에서
문화의 시대인가
범람하는 대중문화지
새로운 문화적 영토
문학을 넘어서야 할 이유들
대중문화가 싸움터다
주류 문화관 바깥에서
6. 세대, 혼란의 범주
신세대 논쟁의 등장
자유와 일탈 사이
보라, 신세대를
세대론들의 시작
단명한 신세대론, 장기집권하는 386세대론
7. 디지털, 가능해진 것과 가려진 것
정보화의 빛과 어둠
디지털 글쓰기와 통신문학
‘새로운 문학’은 도래하는가
사이버문학론이 멈춘 자리
인터넷 신문 그리고 포털의 시작
8. 지식인, 흔들리고 갈라지는
적이 사라진 시대의 지식인
지식인상은 왜 변화했는가
시장경쟁력과 신지식인
전통적 지식인의 출현
지식 기반 사회에서 지식인의 운명
지식인의 죽음인가
9. 진보, 재장전과 분열
진보와 혁명
진보와 개혁
중산층 이데올로기
진보의 재장전
안티조선과 적 앞의 분열
빼앗기는 진보의 말들
10. 국가, 억압하고 또 욕망되는
세계화, 일류국가화 그리고 종속화
박정희 신드롬이 뜻하는 것
욕망하는 민족주의
이주노동제도, 한국판 노예제
한국사회 속 미국과 일본
북한 인식의 이면
11. 통제, 사상에서 일상으로
병영국가와 병역 거부
여전한 반공주의와 국가보안법
‘음란성’으로 규율하다
청소년을 보호하라
우리 안의 파시즘 논쟁
일상이 파시즘의 전선인가
12. 여/성, 가장 첨예한 정치 영토
제1차 페미니즘 붐
여성주의 잡지가 제기한 물음들
여성적 글쓰기와 페미니즘 문학
커밍아웃의 정치학
노골적인 젠더 갈등이 시작되던 장면
페미니즘, 평등과 공정 사이에서
13. 생태, 그때 이미 사고했던 것들
생활세계 오염에 대한 각성
페놀 방류와 리우회의
개발주의 정부와 국토의 부동산화
쓰고 버리는 사회
생태 문제, 각론에서 총론으로
순환적 세계는 어떻게 가능한가
14. 위기, 지금 시대가 서 있는 토대
‘유연화’ 시대의 도래
개인이 무장해야 하는 사회
여성에게 요구된 것들
정신세계의 퇴락에 맞서
어떤 1990년대의 종언
15. 대중, 그들은 다음 시대를 열어냈는가
월드컵 논쟁
분출하는 하위문화활동
촛불시위의 등장
노풍과 탄핵 그리고 ‘오로지 경제’의 시대로
흐름으로서의 대중
국가, 자본, 시민사회와 대중
16. 에필로그
사라지는 잡지들
인터넷 시대 잡지의 운명
1990년대를 떠나며
사회적 사유와 시대적 사유를 위하여
미주
찾아보기
발효학

도서명 : 발효학
저자/출판사 : 이계준, 라이프사이언스
쪽수 : 440쪽
출판일 : 2023-09-01
ISBN : 9788961544245
정가 : 35000
1장 서론: 발효미생물학 - 인류복지 구현
1.1 들어가기
1.2 발효미생물학의 시작
1.3 발효산물이 생산되는 원리
1.4 발효산업에서 얻은 산물로 삶의 질이 향상되다
1.5 발효미생물학 - 그 학문적 영역의 확대와 발전과정
1.6 발효미생물학의 학문적 지평이 넓어지다
1.7 유전체 해독 이후 -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개
1.8 마무리 - 발효미생물학 그 처음 그리고 미래 (´A & Ω)
| 1부 |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개발 - 대사산물 과다생합성 조절
2장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분리 및 보존
2.1 들어가기
2.2 자연환경으로부터 미생물 세포 분리
2.3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선택
2.4 미생물 세포 계대배양
2.5 미생물 세포 보존
2.6 발효 미생물균주 분리 시작, 현재 그리고 미래
2.7 마무리
3장 유전체 해독 이전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개발
3.1 들어가기
3.2 유전자 돌연변이
3.3 유전자 돌연변이 유도제
3.4 유전자 돌연변이 회복
3.5 유전자 돌연변이 유도 최적화
3.6 유전자 변이유도 후 우수 균주 선별
3.7 세포 내 유전자 교환 유도
3.8 원형질체융합으로 유전자 교합
3.9 마무리
4장 유전자 재조합으로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개발
4.1 들어가기
4.2 시험관 내 유전자 재조합 절차
4.3 제한효소
4.4 유전체 분리 및 절단
4.5 유전자 수송체
4.6 공여 유전자를 수송체에 결찰
4.7 재조합 유전자를 숙주세포로 형질전환
4.8 유전자 재조합 균주의 선별
4.9 마무리
5장 유전체 해독 및 발효산업 미생물균주 개발
5.1 들어가기
5.2 유전자은행 제작
5.3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5.4 유전체 해독 및 유전체 주석
5.5 유전자 기능 및 대사경로 분석
5.6 유전자 발현 분석
5.7 유전체 비교
5.8 생물정보 수집 및 관리
5.9 유전체 분석 및 생물정보의 활용
5.10 유전체 해독이후시대에서의 연구경향
5.11 유전자 지정 위치 변이유도
5.12 유전자 선택적 파괴
5.13 크리스퍼/카스 유전자가위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편집
5.14 마무리
6장 유전자 발현 및 단백질 과량 생합성 조절
6.1 들어가기
6.2 유전자 구성과 복제
6.3 유전자 전사
6.4 유전자 번역과 단백질 생합성
6.5 단백질 대량 생산 유도
6.6 재조합유전자 발현 조절
6.7 발현단백질 안정성 및 세포 외 분비 조절
6.8 효과적인 정제를 위한 융합단백질 발현 조절
6.9 단백질 공학 및 단백질 진화 유도
6.10 마무리
7장 미생물 세포 대사산물 과량 생합성 유도
7.1 들어가기
7.2 대사 조절
7.3 영양환경 변화에 대한 미생물 세포 반응
7.4 ATP 생성 경로에 관련된 대사산물 생산
7.5 1차 대사산물 과량 생산 유도
7.6 2차 대사산물 과량 생산 유도
7.7 마무리
| 2부 | 미생물 세포증식과 대사의 동역학적 이해
8장 실험결과의 정량적 분석과 표현
8.1 들어가기
8.2 물리변수
8.3 실험결과의 정량적 분석
8.4 실험결과 표현
8.5 마무리
9장 미생물 세포 배양배지 조성·세포증식 측정
9.1 들어가기
9.2 미생물 세포구성 원소와 화합물
9.3 배양배지 조성
9.4 세포 증식 측정
9.5 마무리
10장 미생물 세포 기질대사와 세포증식 조절
10.1 들어가기
10.2 탄소원 및 에너지원에 따른 미생물 분류
10.3 포도당 대사경로
10.4 기질대사와 ATP 생성
10.5 기질대사 조절
10.6 세포 내 ATP 수준과 세포증식
10.7 마무리
11장 미생물 세포증식과 대사의 동역학
11.1 들어가기
11.2 세포 증식속도
11.3 기질 대사속도
11.4 산물 생성속도
11.5 기질농도와 세포 증식속도
11.6 기질 대사속도와 ATP 생성속도
11.7 생성된 ATP 사용속도
11.8 세포증식 및 대사의 화학양론 - Stoichiometry
11.9 세포증식 및 대사산물 생성수율
11.10 마무리
12장 미생물 세포증식과 대사의 열역학적 이해
12.1 들어가기
12.2 반응계 구분
12.3 반응계로서 미생물 세포
12.4 세포 반응계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특성
12.5 세포 반응계에서 에너지 전달
12.6 세포 반응계에서 에너지 대사
12.7 세포 반응계에서 에너지 사용효율
12.8 세포 반응계에서 열역학 특이성
12.9 마무리
13장 미생물 세포배양에서 산소요구 및 공급
13.1 들어가기
13.2 세포의 산소 요구량
13.3 세포에서 산소 소모속도
13.4 용존산소 농도와 세포증식속도
13.5 미생물 배양배지의 산소 용해도
13.6 공기에서 액체로 산소전달
13.7 마무리
14장 배양환경에 대한 미생물 세포의 반응
14.1 들어가기
14.2 산화·환원전위에 대한 미생물 세포 반응
14.3 물 활성에 대한 미생물 세포 반응
14.4 수소 이온에 대한 미생물 세포 반응
14.5 배양온도에 대한 미생물 세포 반응
14.6 배양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미생물 세포 반응
14.7 세포 증식속도와 증식수율을 결정하는 요인
14.8 마무리
15장 미생물 세포증식과 대사의 수식모델
15.1 들어가기
15.2 수식모델 구성
15.3 수식모델 구분
15.4 기질농도가 낮을 때 세포증식 수식모델
15.5 기질농도가 높을 때 세포증식 수식모델
15.6 세포증식 저해물질이 있을 때 세포증식 수식모델
15.7 대사산물이 세포증식을 억제하는 경우 세포증식 수식모델
15.8 마무리
| 3부 | 미생물 세포 배양 시스템
16장 미생물 세포 표면배양·심층배양
16.1 들어가기
16.2 평판배지에서 세균의 집락 증식
16.3 평판배지에서 균류의 집락 증식
16.4 심층배양에서 미생물 세포의 응집증식
16.5 고형물체 표면에서 미생물 세포 박막층 증식
16.6 마무리
17장 미생물 세포 회분배양
17.1 들어가기
17.2 회분배양에서 세포 증식
17.3 영양소 고갈에 따른 세포 대응
17.4 회분배양에서 세포 생산성
17.5 회분배양에서 대사산물 생산
17.6 회분배양 유형의 변형
17.7 마무리
18장 기질제어 연속배양
18.1 들어가기
18.2 기질제어 연속배양 원리
18.3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기질 대사
18.4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세포 증식
18.5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산물 생성
18.6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임계희석률
18.7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최적희석률
18.8 연속배양에서 세포생산성
18.9 기질제어 연속배양에서 배양기 부착증식
18.10 탁도제어 연속배양
18.11 마무리
19장 세포 되먹임 연속배양
19.1 들어가기
19.2 탑형 발효조에서 세포 되먹임 연속배양
19.3 배양기 안에 설치된 세포회수기를 이용한 세포되먹임 연속배양
19.4 배양기 밖에 세포회수기를 장착한 세포되먹임 연속배양
19.5 마무리
20장 배지주입 및 확산 회분배양·원통관 흐름 배양
20.1 들어가기
20.2 배지주입 회분배양
20.3 배지확산 회분배양
20.4 원통관 흐름배양
20.5 마무리
21장 미생물 세포 혼합 배양
21.1 들어가기
21.2 두 종의 세포가 한 기질을 경쟁적으로 대사하는 경우
21.3 한 종이 생산한 산물이 다른 종의 기질로 사용되는 경우
21.4 한 종의 산물이 자체증식을 억제하나 다른 종 기질이 되는 경우
21.5 한 종의 산물이 자체증식을 억제하나 다른 종의 증식을 촉진하는 경우
21.6 먹이-포집자 혼합 배양
21.7 변이주 발생 속도 측정
21.8 마무리
| 4부 | 미생물 대사산물 생산 공정
22장 미생물 세포 배양배지 멸균
22.1 들어가기
22.2 미생물 세포 멸균법
22.3 열처리로 미생물 세포 멸균
22.4 단파장선 조사로 멸균
22.5 화합물을 사용하는 멸균
22.6 여과에 의한 멸균
22.7 멸균과정에서 영양소 안정성
22.8 마무리
23장 미생물 세포 산업화 연구 및 발효조 가동
23.1 들어가기
23.2 산업화 단계별 연구
23.3 발효조의 형태
23.4 발효조 배양환경 측정장치
23.5 발효조의 기능
23.6 산업용 대형 발효조 운전
23.7 산업용 대형 발효조 설계 기준
23.8 마무리
24장 발효조 가동에서 물질, 열, 힘 전달
24.1 들어가기
24.2 발효조 가동에서 물질 이동
24.3 발효조 가동에서 에너지 전달 및 균형
24.4 미생물 세포 배양액의 유변성
24.5 발효조 가동에서 운동량 전달 및 균형
24.6 마무리
25장 미생물 세포 발효산물의 회수 및 정제
25.1 들어가기
25.2 발효산물 회수 정제 단위조작
25.3 배양액에서 미생물 세포분리
25.4 세포체 파쇄
25.5 액상으로부터 목적산물 회수
25.6 정제 산물의 농축
25.7 마무리
총 요약
서론
발효산업 균주 개발
미생물 세포 증식과 대사의 정량적 이해
미생물 배양 시스템
미생물 발효산물의 생산과 분리
마무리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