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인강드림 공인중개사 민법판례집 또는 군사학개론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2023 인강드림 공인중개사 민법판례집 또는 군사학개론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20 0

본문




2023 인강드림 공인중개사 민법판례집
9791198142337.jpg


도서명 : 2023 인강드림 공인중개사 민법판례집
저자/출판사 : 이정환, 인강드림
쪽수 : 228쪽
출판일 : 2023-03-16
ISBN : 9791198142337
정가 : 25000

Part 01 민법총칙
CHAPTER 01 법률행위의 목적 12
CHAPTER 02 법률행위의 의사표시 22
CHAPTER 03 법률행위의 대리 36
CHAPTER 04 법률행위의 무효와 취소 47
CHAPTER 05 법률행위의 부관 52

Part 02 물권법
CHAPTER 01 물권 일반론 60
CHAPTER 02 물권 변동론 65
CHAPTER 03 점유권 75
CHAPTER 04 소유권 84
CHAPTER 05 용익물권 100
CHAPTER 05 담보물권 112

Part 03 계약법
CHAPTER 01 계약법 총론 130
CHAPTER 02 계약법 각론 153

Part 04 민사특별법
CHAPTER 01 주택임대차보호법 180
CHAPTER 02 상가건물임대차보호법 192
CHAPTER 03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198
CHAPTER 04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204
CHAPTER 05 부동산실권리자 명의등기에 관한 법률 216




군사학개론
9791187822721.jpg


도서명 : 군사학개론
저자/출판사 : 군사학연구회, 플래닛미디어
쪽수 : 608쪽
출판일 : 2023-02-13
ISBN : 9791187822721
정가 : 35000

서문

CHAPTER 1 군사학이란 무엇인가 | 박용현(대전대학교 군사학과장)
I. 군사학의 기원과 발전
1. 군사학의 기원 | 2. 전투술과 군사이론의 발전 | 3. 주요 국가 군사학의 발전 | 4. 한국 군사학의 발전
II. 군사학의 특성과 개념
1. 군사관련 용어와 개념의 이해 | 2. 군사학의 학문성 논란 | 3. 군사학의 특성 | 4. 군사학의 개념과 정의
III. 군사학 학술체계
1. 학술체계와 교육체계 이해 | 2. 군사학의 연구대상과 영역

CHAPTER 2 군사학 연구방법론 | 이필중(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군사학에서의 연구방법
II. 군사학의 과학적 이론 정립
1. 과학철학 | 2. 과학 | 3. 과학적 접근방법 | 4. 인문사회과학과 자연과학 방법론의 차이점 | 5. 접근방법과 연구방법
III. 군사연구의 방법론
1. 기초 개념 | 2. 연구진행
IV. 군사연구방법의 종류

CHAPTER 3 전쟁의 이해 | 최북진(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전쟁의 본질
1. 전쟁의 정의 | 2. 전쟁의 속성 | 3. 전쟁의 목적과 목표, 수단
II. 전쟁의 분류
III. 전쟁의 원인
1. 수준별 측면 | 2. 경제적 원인 | 3. 문화적 원인 | 4. 종교적 원인
IV. 전쟁의 과정
1. 위기관리 | 2. 전시체제 전환 | 3. 전쟁의 수행 | 4. 전쟁의 종결

CHAPTER 4 전쟁 양상의 변화 | 김정기(대전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서론
II. 전쟁 양상 관련 이론
III. 전쟁의 시대적 양상 변화
1. 고대의 전쟁 | 2. 중세의 전쟁 | 3. 근세 왕조전쟁시대 | 4. 근대 국민전쟁시대 | 5. 제1차 세계대전 | 6. 제2차 세계대전 | 7. 현대전쟁
IV. 미래전 양상 전망
1. 과학기술과 미래전 | 2. 최근 전쟁 사례 분석 | 3. 미래전 이론의 발전 동향 | 4. 미래전 양상의 주요 특징
V. 한국의 미래전 양상
1. 북한군의 전략전술 | 2. 미래전 양상
VI. 결론

CHAPTER 5 군사전략 | 이종호(건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전략이란 무엇인가?
1. 전략의 기원 | 2. 군사전략의 개념
II. 군사전략의 본질
1. 군사전략의 술과 과학 | 2. 군사전략의 구성요소 | 3. 군사전략의 위상 | 4. 군사전략의 유형
III. 억제전략
1. 억제의 개념 | 2. 억제전략의 정의 및 기본개념 | 3. 제재적 억제전략 | 4. 거부적 억제전략 | 5. 총합적 억제전략
IV. 방위전략
1. 방위전략의 개념 및 유형 | 2. 전략태세별 유형 | 3. 방위선별 유형 | 4. 전략수행기간에 따른 유형 | 5. 작전방식에 따른 유형
V. 전·평시 적용되는 전략
1. 접근방법에 따른 유형 | 2. 대응방법에 따른 유형 | 3. 대상기간에 따른 유형
VI. 군사전략기획체계
1. 군사전략기획 | 2. 군사전략기획과정

CHAPTER 6 국방정책 | 박효선(청주대학교 군사학과장)
I. 정책의 개념과 종류
1. 정책의 개념 | 2. 정책의 구성요소 | 3. 정책의 종류 | 4. 정책연구분야
II. 국가정책과 국방정책
1. 국가목적과 국가정책 | 2. 국가안보와 국방정책 | 3. 국방정책의 구성요소 | 4. 국방정책의 유형
III. 국방정책 결정과정 및 집행
1. 정책 결정의 정의 및 중요성 | 2. 정책 결정과정 | 3. 정책 결정 유형 | 4. 정책 집행의 개념 및 평가 | 5. 정책 평가과정 및 유형
IV. 국방기획관리
1. 국방기획 개념 | 2. 국방기획과정 | 3. 국방기획관리
V. 군비통제정책
1. 군비통제 이론 | 2. 한국군의 군비통제정책 | 3. 남북한 군비통제정책 비교
VI. 인사복지정책
1. 국방인사정책 | 2. 국방복지정책 | 3. 국방정책과 병역제도
VII. 국방동원정책
1. 국가동원 개념 | 2. 국가동원의 구성 | 3. 국방동원의 분류 | 4. 국방동원 계획 및 정책
VIII. 국방획득정책
1. 국방정책과 국방획득정책 | 2. 국방획득정책의 결정과정 | 3. 국방획득정책의 집행절차 | 4. 국방획득정책과 방위산업

CHAPTER 7 동맹 | 임채홍(원광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개요
1. 동맹의 개념과 의의 | 2. 동맹 형성의 목적 | 3. 동맹의 유형
II. 동맹의 역사
1. 1815년 이전 근대 유럽의 동맹사 | 2. 19세기 유럽의 동맹 | 3. 20세기의 동맹 | 4. 탈냉전기와 21세기 동맹의 변화 양상
III. 현존 지역별 동맹
1. 유럽지역 | 2. 미주지역 | 3. 중동지중해 지역 | 4. 아시아태평양 지역 | 5. 북한, 중국, 러시아 동맹 | 6. 한미동맹

CHAPTER 8 군사과학기술과 무기체계 | 김종열(영남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군사과학기술
1. 군사과학기술 발달사 | 2. 군사과학기술과 무기의 발전
II. 무기체계
1. 무기체계의 정의 | 2. 무기체계의 분류 | 3. 현대 무기체계의 특성 | 4. 무기체계의 효과요소 | 5. 무기체계의 획득
III. 현대 무기체계의 발전과 미래전 양상
1. 무기체계 발전과 전쟁의 변화 | 2. 미래 전장환경 | 3. 미래전쟁 양상 | 4. 군사과학기술의 중요성
IV. 주요 무기체계의 운용 및 발전 추세
1. 지상무기체계 | 2. 해상무기체계 | 3. 항공무기체계 | 4. 대량살상무기 및 유도무기 | 5. 정보통신무기체계

CHAPTER 9 국방조직 및 군사제도 | 김재철(조선대학교 군사학과 교수)
I. 국방조직
1. 국방조직의 개념 | 2. 군정과 군령 | 3. 국방조직의 특성 | 4. 국방조직의 유형 | 5. 한국의 국방조직과 한미연합 군사지휘체제 | 6. 북한의 국방조직
II. 군사제도
1. 군사제도의 개념 | 2. 군사제도의 근원 | 3. 군사제도의 기본원칙 | 4. 군사제도의 분류 | 5. 병역제도 | 6. 참모제도

CHAPTER 10 국가동원 | 권헌철(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교수)
I. 전쟁과 국가동원
1. 전쟁 양상의 변화 | 2. 국가총력전과 국가동원
II. 국가동원의 정의 및 개념
1. 국력과 전력 및 국가동원 | 2. 국가동원의 분류 | 3. 국가동원과 징발 | 4. 경제동원 | 5. 동원대상 자원의 구분
III. 주요 국가의 국가동원제도
1. 국가비상사태의 범위 | 2. 미국의 비상대비제도 | 3. 이스라엘의 비상대비제도 | 4. 스위스의 비상대비제도
IV. 한국의 국가동원제도
1. 비상대비제도 연혁 | 2. 국가동원법의 변천 및 문제점 | 3. 안보 및 비상대비기구와 계획 | 4. 충무계획 | 5. 충무사업 및 훈련

CHAPTER 11 민군관계 | 김병조(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I. 서론
II. 민군관계 연구의 영역과 쟁점
III. 민군관계 이론
1. 안보환경과 민군관계 | 2. 군의 정치개입 이론 | 3. 민주주의 사회의 문민통제 이론
IV. 민군 거버넌스
V. 결론

CHAPTER 12 국방경제 | 신용도(국방대학교 국방관리학과 교수)
I. 국방과 경제
1. 국방과 공공재 | 2. 국방경제학의 발전과정 | 3. 국방경제학 연구주제
II. 국방비와 국민경제
1. 국방재의 최적규모 결정 | 2. 국방비 지출과 국민경제
III. 국방과 방위산업
1. 방위산업의 개념 및 특성 | 2. 방산품 구매를 위한 정책대안 | 3. 방산품 구매의 특성과 계약형태

부록1 주변국의 국방비와 주요 전력 비교
부록2 우리나라의 국가목표, 국방목표, 군사전략목표

참고문헌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