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또는 조선시보 번역집 1: 사회ㆍ문화ㆍ산업편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80
0
본문
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도서명 : 동국진체 서풍의 미학세계
저자/출판사 : 문정자, 다운샘
쪽수 : 550쪽
출판일 : 2023-02-01
ISBN : 9788958175230
정가 : 37000
추천의 말ㆍ03
저자의 말ㆍ09
일러두기ㆍ20
Ⅰ. 온유돈후(溫柔敦厚) 시대의 서예미학/21
1. 옥동 이서의 서예심미이상과 ‘옥동체’의 상관성 23
1) 서론 23
2) 옥동의 천인합일적 서예심미이상 26
⑴ 천도지향(天道指向)의 전신론(傳神論)ㆍ27
⑵ 음양조화(陰陽造化)의 중정론(中正論)ㆍ32
⑶ 생생불이(生生不已)의 자연형상론(自然形象論)ㆍ38
3) ‘옥동체’에 투영된 서예심미이상 44
⑴ 해행서에 투영된 조화무궁(造化無窮)의 자연미학ㆍ45
⑵ 초서에 투영된 기운생동(氣韻生動)의 생명미학ㆍ56
4) 결론 64
2. 공재 윤두서의 예술심미이상과 ‘공재체’의 상관성 67
1) 서론 67
2) 공재의 서화연원과 교유관계 70
3) 공재의 예술심미지향의 특성 77
⑴ 중화지향(中和指向)의 심미이상ㆍ78
⑵ 상고지향(尙古指向)의 심미이상ㆍ82
4) ‘공재체’와 시서화 일률의 예술세계 87
⑴ 전예서 작품으로 본 고고미(高古美)ㆍ88
⑵ 해행초서 작품으로 본 청고전아미(淸高典雅美)ㆍ105
5) 결론 125
Ⅱ. 개성발현 시대의 서예미학/129
1. 백하 윤순의 서예심미이상과 ‘백하체’의 상관성 131
1) 서론 131
2) 왕희지체 수용과 학서 범주의 확장 136
3) 백하의 서예심미이상의 두 갈래 150
⑴ ‘심획’에 부여된 생명의 서예미학ㆍ151
⑵ 창경발속의 심미이상과 조형미학의 조화ㆍ157
4) 백하의 서예심미이상과 ‘백하체’의 상관성 163
⑴ 전ㆍ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63
⑵ 해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67
⑶ 행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77
⑷ 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ㆍ193
5) 결론 207
2. 원교 이광사의 서예심미이상과 ‘원교체’의 상관성Ⅰ 211
1) 서론 211
2) 원교의 학서관과 천기지묘(天機之妙)구현의 서예심미이상 214
⑴ 전ㆍ예서(篆·隸書) 중시의 학서관(學書觀)ㆍ215
⑵ 고질미(古質美)의 지향ㆍ220
3) ‘원교체’에 투영된 심후창고(深厚蒼古)의 서예심미이상 223
⑴ 전서에 투영된 심미이상과 필법의 조화ㆍ224
⑵ 예서에 투영된 심미이상과 필법의 조화ㆍ235
4) 결론 245
3. 원교 이광사의 서예심미이상과 ‘원교체’의 상관성Ⅱ 248
1) 서론 248
2) 원교의 천기지묘(天機之妙)구현의 서예심미이상 249
⑴ 오체일법론(五體一法論)과 길곡법(佶曲法)ㆍ250
⑵ 천기조화의 묘리와 의소울발(欹䟽鬱拔)의 조형ㆍ255
3) ‘원교체’에 투영된 생명서예론 259
⑴ 해행서에 투영된 생명서예론과 필법의 조화ㆍ260
⑵ 행초서에 투영된 생명서예론과 필법의 조화ㆍ267
4) 결론 277
Ⅲ. 서풍변화 시대의 서예미학/279
1. 창암 이삼만의 서예심미이상과 ‘창암체’의 상관성 281
Ⅰ) 서론 281
2) 창암의 서법자연(書法自然)의 서예심미이상 283
⑴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조형원리ㆍ284
⑵ 복귀어자연(復歸於自然)의 친자연성ㆍ288
⑶ 생동감과 필세를 중시한 서가품평ㆍ292
3) 창암의 생명성 형성의 필법이론 295
⑴ 마제잠두법(馬蹄蠶頭法)의 운용ㆍ297
⑵ 축세(縮勢)와 삽세(澁勢)의 운용ㆍ300
⑶ 영자팔법(永字八法)의 운용ㆍ303
4) ‘창암체’에 투영된 자연친화적 생명미학 306
⑴ 전·예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06
⑵ 해·행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11
⑶ 초서에 투영된 자연미학ㆍ318
5) 결론 326
2. 추사 김정희의 독자적 서파관과 예술심미이상 329
1) 서론 329
2) 옹방강·완원의 서론 수용과 독자적 서파관의 전개 332
3) ‘추사체’를 형성한 기층적 예술심미이상 344
⑴ 학문과 인격이 온축된 청고고아미(淸高古雅美) 지향ㆍ345
⑵ 시서화 일체적 묘경의 신운미(神韻美) 지향ㆍ350
⑶ 존고정신에서 형성된 고졸미(古拙美) 지향ㆍ355
⑷ 자연천기에서 발현된 기괴미(奇怪美) 지향ㆍ361
3) 결론 366
3. 추사 김정희의 시서화 일체적 묘경의 미의식과 ‘추사체’ 369
1) 서론 369
2) ‘추사체’에 발현된 천기자연의 미의식 371
⑴ 전·예서에 투영된 ‘고졸미(古拙美)’의 심미이상ㆍ372
⑵ 전·예서에 투영된 ‘기괴미(奇怪美)’의 심미이상ㆍ382
⑶ 해·행서에 투영된 ‘신운미(神韻美)’의 심미이상ㆍ393
⑷ 해·행서에 투영된 ‘청고고아미(淸高古雅美)’의 심미이상ㆍ398
3) 결론 413
Ⅳ. 동국진체 서가의 서예미학과 ‘동국진체’ 서풍/415
1. 동국진체 서풍의 서예미학적 특질 417
1) 서론 417
2) 동양적 자연관과 자연미 존중의식 421
3) 동국진체 서가의 철학적 사유와 서예미학의 상관성 424
⑴ 옥동 이서의 천인합일적 사유와 옥동체의 특질ㆍ424
⑵ 원교 이광사의 만물일체적 사유와 원교체의 특질ㆍ434
⑶ 창암 이삼만의 서법자연적 사유와 창암체의 특질ㆍ444
4) 동국진체 서풍의 서예미학적 특질 455
Ⅴ. 한국 전통서예정신의 상징 ‘동국진체’/461
1. ‘동국진체’ 서풍의 독창성에 관한 실증적 탐색 463
1) 서론 463
2) 이서와 이광사의 왕희지체 선호의식 465
⑴ 이서의 왕희지체 선호의식ㆍ466
⑵ 이광사의 왕희지체 선호의식ㆍ468
3) 이서와 이광사의 독창적 서예미학 469
⑴ 이서의 중정(中正)의 미학과 유신론(留神論)의 필법ㆍ470
⑵ 이광사의 첩·비학 겸수론과 천기지묘 구현의 심미이상ㆍ472
4) ‘옥동체’와 ‘원교체’의 창신의 미학세계 474
⑴ ‘옥동체’에 투영된 독창적 미의식ㆍ474
⑵ ‘원교체’에 투영된 독창적 미의식ㆍ479
5) 결론 484
2. ‘동국진체’ 정신의 계승과 그 영구적 명칭의 모색 487
1) 서론 487
2) ‘조선(朝鮮)’이란 명칭의 유래와 ‘조선진체’ 490
⑴ ‘조선진체’란 명칭의 제안ㆍ490
⑵ ‘조선’이란 국호(國號)의 출현 배경ㆍ495
3) ‘동국’이란 명칭과 ‘동국진체’의 제 면모 500
⑴ ‘동국’과 ‘동국진체’ 명칭의 유래ㆍ500
⑵ ‘동국진체’의 개혁성과 동국진체 서가의 범주 확장ㆍ505
⑶ ‘동국진체’의 미학적 특성과 일반적 인식의 오류ㆍ510
4) ‘동국진체’ 정신의 계승과 ‘한국진체’ 513
5) 결론 518
Ⅵ. ‘동국진체’의 특성과 그 계승적 전망 521
1. 동국진체는 한국서예사와 예술사의 꽃이다 523
2. 동국진체는 서예개혁정신이자 서예이론이며 서예작품이다 525
3. 동국진체는 현재진행형으로 존재하는 우리 민족의 예술혼이다 528
4. ‘동국진체’는 ‘한국진체’로 계승, 발전되어야 한다 530
후기 533
1. 동국진체 주인공들을 만나다 533
2. 위대한 인물은 어느 시대에나 출현한다 535
3. 본서의 연구방식이 현대의 서예비평에 시사하는 바는 무엇인가 539
찾아보기 541
조선시보 번역집 1: 사회ㆍ문화ㆍ산업편

도서명 : 조선시보 번역집 1: 사회ㆍ문화ㆍ산업편
저자/출판사 : 류민화 번역, 소명출판
쪽수 : 345쪽
출판일 : 2023-06-10
ISBN : 9791159057014
정가 : 30000
책머리에 3
제1장 사회와 생활
01 살아있는 늑대를 출품1915년 8월 21일 90면 2단 13
02 인간과 늑대의 복수1924년 5월 3일 3면 1단 14
03 ‘늑대’의 글자 뜻 1915년 9월 14일 92면 2단 16
04 여름철 상극음식 1916년 8월 6일 92면 2단 19
05 조선의 최근 인구1916년 8월 13일 95면 5단 20
06 내지로 돈벌이 가는 조선인 1923년 5월 5일 3면 1단 21
07 내선융화의 서광 1924년 2월 2일 3면 3단 22
08 조선의 의료기관 1924년 5월 30일 3면 5단 24
09 내선융화의 흔적 1924년 9년 7일 3면 6단 26
10 최근 급격히 늘어난 내지인과 조선인의 ‘결혼’ 1925년 7월 9일 3면 1단 29
11 ‘추위’와 싸우는 조선의 겨울이 왔다 1925년 10월 11일 3면 5단 32
12 과연 유교의 나라 1926년 10월 14일 3면 9단 34
13 서양인에 필적하는 조선인의 체격발견 1928년 3월 29일 1면 3단 36
14 파악할 수 있는 최소의 조선 총인구 1928년 8월 24일 1면 3단 37
15 〈생활개선〉 조선인의 백의를 색이 있는 의복 착용으로 권장 1930년 9월 22일 3면 7단 39
16 큰 늑대 또 나타나다 1932년 8월 5일 3면 8단 40
17 늑대와 셰퍼드 혼종을 만들다 1934년 5월 12일 3면 4단 42
18 여성의 야외근로를 돕기 위한 탁아소 설치 1934년 5월 31일 3면 5단 43
19 〈가정란〉 간이 냉장고 1917년 7월 11일 90면 7단 45
20 〈가정란〉 가을 감기에 대하여 1934년 10월 21일 1면 5단 47
21 〈가정란〉 전기다리미의 경제적 이용에 대하여 1935년 12월 19일 1면 3단 49
22 〈가정란〉 커피, 홍차의 음용에 대하여 1936년 3월 15일 1면 6단 51
23 〈가정란〉 양말 손질을 게을리 하지 않도록 1936년 5월 7일 1면 5단 53
24 부산에서 조선의 시장풍경 1937년 3월 21일 3면 8단 54
25 ‘대호’가 나타나 백성을 다치게 하다 1937년 12월 9일 3면 5단 56
제2장 문화와 풍속
01 동래 조선인의 줄다리기 1915년 2월 26일 94면 1단 59
02 동래 조선인의 춤 1915년 2월 26일 4면 1단 60
03 동래 줄다리기 성황 1915년 3월 5일 3면 1단 61
04 조선의 명목 거목 1916년 7월 16일 1면 2단 63
05 조선 효자 이야기 1916년 8월 8일 91면 1단 66
06 조선의 6대 온천 1917년 7월 3일 91면 6단 68
07 조선풍속과 유교(5)1917년 8월 7일 3면 6단 71
08 조선 추석행사 1918년 9월 20일 92면 4단 73
09 옛 풍습에서 전부 벗어난 조선 여성의 신생활 1921년 5월 7일 3면 4단 75
10 부두를 북적거리며 왕래하는 조선인 손님 1926년 1월 28일 3면 8단 77
11 조선에는 옛 역사서에 보이는 식물이 많다 1926년 11월 18일 2면 5단 78
12 장마 후 가뭄과 기우제의 미신 1927년 6월 18일 3면 6단 80
13 세계에 자랑할 조선의 건축미 1929년 7월 8일 3면 6단 82
14 여러 미신 1932년 8월 24일 3면 8단 84
15 밀려드는 여객으로 부산 잔교 부두 지옥화 1939년 12월 25일 2면 4단 86
제3장 산업과 경제
01 조선의 이출우 1916년 7월 7일 91면 3단 91
02 조선 인삼 활약 1916년 8월 19일 1면 3단 92
03 조선광업 발전 1916년 8월 19일 1면 4단 94
04 조선 제염 확장 1916년 8월 19일 1면 5단 96
05 조선의 대표적 사업1923년 6월 3일 1면 5단 97
06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8일 1면 6단 103
07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9일 1면 7단 109
08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12일 1면 7단 115
09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14일 1면 5단 122
10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15일 1면 5단 128
11 조선의 대표적 사업 1923년 6월 16일 1면 7단 137
12 조선의 대표적 사업과 인물 1923년 6월 19일 1면 6단 142
13 조선의 대표적 사업과 인물 1923년 6월 20일 1면 6단 146
14 오사카에서 조선에 비행기로 1923년 7월 11일 3면 1단 152
15 조선의 자랑 훌륭한 과실류 1924년 10월 11일 2면 6단 154
16 조선술에 압도되어 일본술 수요가 감소하였다 1926년 1월 31일 3면 5단 157
17 조선의 풍토에 적합한 과수 채소 재배(3) 1926년 2월 24일 1면 2단 160
18 상하이까지 손을 뻗친 조선산 사과 1926년 12월 9일 3면 7단 162
19 조선의 전화 보급 1929년 6월 11일 2면 5단 163
20 조선의 대외무역 갑자기 미증유의 기록1939년 11월 5일 1면 5단 165
제4장 기획기사
01 우습기 짝이 없는 미신(1)1914년 11월 4일 93면 5단(한국사데이터베이스에는 1914년 11월 14일 93면 분류) 169
02 우습기 짝이 없는 미신(2)1914년 11월 5일 93면 4단 171
03 우습기 짝이 없는 미신(3)1914년 11월 6일 1면 4단 173
04 조선인의 결혼에 대하여(상) 1916년 7월 6일 91면 4단 175
05 조선인의 결혼에 대하여(중) 1916년 7월 7일 91면 4단 177
06 조선인의 결혼에 대하여(하) 1916년 7월 8일 90면 4단 180
07 조선과 유교(1) 1917년 7월 14일 1면 4단 182
08 조선과 유교(2) 1917년 7월 15일 1면 5단 188
09 조선과 유교(5) 1917년 8월 4일 1면 6단 191
10 조선과 유교(7) 1917년 8월 7일 3면 5단 194
11 조선과 유교(8) 1917년 8월 8일 93면 6단 196
12 조선과 유교(11) 1917년 8월 16일 90면 5단 199
13 조선과 유교(14) 1917년 8월 19일 92면 6단 202
14 조선의 술(상) 1918년 9월 28일 1면 4단 206
15 조선의 술(하) 1918년 9월 29일 1면 3단 209
16 조선의 여성(1)1924년 1월 8일 1면 4단 213
17 조선의 여성(2) 1924년 1월 10일 1면 4단 216
18 조선의 여성(3) 1924년 1월 11일 1면 2단 219
19 조선의 여성(4) 1924년 1월 12일 1면 2단 222
20 조선의 여성(5) 1924년 1월 13일 1면 3단 225
21 조선의 여성(6) 1924년 1월 15일 1면 4단 228
22 조선의 여성(7) 1924년 1월 16일 1면 2단 231
23 조선의 여성(8) 1924년 1월 17일 1면 5단 234
24 조선의 여성(9) 1924년 1월 18일 1면 2단 237
25 조선의 여성(10) 1924년 1월 19일 1면 4단 240
26 조선의 여성(11) 1924년 1월 20일 1면 4단 243
27 조선의 여성(12) 1924년 1월 21일 1면 2단 246
28 조선의 여성(13)1924년 1월 23일 1면 2단 250
29 조선의 여성(14) 1924년 1월 24일 1면 2단 253
부록 / 신문 전면 자료 255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