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첫 채권투자 교과서 또는 2023 해커스공무원 신 헌법 핵심요약집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4
0
본문
나의 첫 채권투자 교과서

도서명 : 나의 첫 채권투자 교과서
저자/출판사 : 최석원, 한스미디어
쪽수 : 272쪽
출판일 : 2023-08-30
ISBN : 9791160079609
정가 : 18000
추천의 글 _ 주식과 채권이 병존하는 새로운 투자 세상
머리말 _ 지금보다 더욱 밝은 투자의 미래,
채권투자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장 채권이라는 새로운 투자 대안
투자의 발상 바꾸기
당신의 포트폴리오를 풍요롭게 만들어줄 채권투자
채권만의 특징을 100% 활용한 투자
안정적으로 정기적 고정 수입을 얻고자 할 때
자산이 많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채권투자 어렵지 않다
HTS와 MTS로 채권투자 시작하기
채권에 간접투자하는 법
나에게 가장 적합한 채권투자 방법은?
2장 채권시장에 모여드는 개인투자자들
뜨거워진 채권시장
투자자의 시선이 채권으로 몰리는 이유
채권왕 제프리 건들락의 조언
내 재산을 지키고 불리는 채권 공부
채권 공부는 금융 공부이자 경제 공부
금리가 곧 경제다
3장 채권이란 무엇인가?
만기와 현금흐름의 조건이 사전에 결정된 유가증권
광범위한 발행 주체, 수많은 종목
채권투자 기본 용어
채권가격은 어떻게 정해지나?
채권의 기대수익과 위험성
채권과 주식의 차이점
채권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은?
4장 채권, 어떤 것들이 있을까?
채권의 다양한 분류 기준
국채, 가장 대표적인 채권
한국은행의 통안증권
개인투자자에게 매력적인 채권 3인방
회사채의 다양한 종류
알아두면 좋을 단기금융상품
국채선물시장
5장 채권가격 예측하기
시장금리를 전망하면 채권투자가 쉬워진다
금리는 어떻게 움직이나?
실질금리는 기회비용에 대한 보상
기대인플레이션은 금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금리에 영향을 끼치는 통화·재정정책
수익률곡선을 살펴보아야 하는 이유
6장 채권 공부는 금리 공부
채권가격과 금리가 반비례하는 이유는?
계속되는 미국 금리 인상과 저금리 시대의 종언
미국 금리, 앞으로 어떻게 될까?
우리나라 금리 전망은?
금리가 높다고 돈이 모여드는 건 아니다
금리와 부동산은 불가분의 관계
7장 채권투자의 위험 극복하기
투자에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가 뒤따른다
비교적 안전하지만 위험이 존재하는 채권투자
금리 위험과 듀레이션
장기채권의 위험성이 더 큰 이유
듀레이션 계산하는 법
신용 위험이란 무엇인가?
신용 위험을 파악하는 방법
신용등급을 볼 때 유의할 점
8장 내 돈을 지키고 불리는 채권투자 전략
사고파는 타이밍을 어떻게 선택할까?
투자 기간과 전망 기간의 조화?
만기 보유와 중도 매매의 선택 기준
장기채권과 단기채권 중 어떤 것이 좋을까?
수익률곡선 모양을 이용한 전략: 롤링 효과
개인투자자는 너무 큰 신용 위험을 지지 말자
2023년 이후 중기 채권투자 전략, 경기 판단이 중요
개인이 채권에 투자하는 방법: 직접투자와 간접투자
맺음말
2023 해커스공무원 신 헌법 핵심요약집

도서명 : 2023 해커스공무원 신 헌법 핵심요약집
저자/출판사 : 신동욱, 해커스공무원
쪽수 : 560쪽
출판일 : 2023-02-20
ISBN : 9791169990134
정가 : 32000
제1편 헌법총론
제1장 헌법과 헌법학
제1절 헌법의 의의
제2절 합헌적 법률해석
제3절 헌법의 제정, 개정 및 변천
제4절 헌법의 수호
제2장 대한민국헌법총설
제1절 대한민국헌정사
제2절 대한민국의 국가형태와 구성요소
제3절 한국헌법의 기본원리
제4절 한국헌법의 기본질서
제5절 한국헌법의 기본제도
제2편 기본권론
제1장 기본권총론
제1절 기본권의 성격
제2절 기본권의 주체
제3절 기본권의 효력
제4절 기본권의 한계와 제한
제5절 기본권의 침해와 구제
제2장 인간의 존엄과 가치, 행복추구권, 법 앞의 평등
제1절 인간의 존엄과 가치
제2절 행복추구권
제3절 법 앞의 평등
제3장 자유권적 기본권
제1절 인신의 자유권
제2절 사생활의 자유권
제3절 정신적 자유권
제4장 경제적 기본권
제1절 재산권
제2절 직업선택의 자유
제3절 소비자의 권리
제5장 정치적 기본권(참정권)
제6장 청구권적 기본권
제1절 개설
제2절 청원권
제3절 재판청구권
제4절 국가배상청구권
제5절 형사보상청구권
제6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제7장 사회적 기본권
제1절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제2절 교육을 받을 권리
제3절 근로의 권리
제4절 근로3권
제5절 환경권
제6절 보건권과 모성을 보호받을 권리
제8장 국민의 기본적 의무
제1절 고전적 의무
제2절 현대적 의무
제3편 통치구조론
제1장 통치구조의 구성원리
제1절 대의제
제2절 권력분립의 원리
제3절 정부형태
제4절 정당제도(복수정당제)
제5절 선거제도
제6절 공무원제도
제7절 지방자치제도
제8절 교육제도
제9절 가족제도
제2장 통치작용
제1절 입법작용
제2절 집행작용
제3절 사법작용
제3장 통치의 기구
제1절 국회
제2절 대통령
제3절 정부
제4절 선거관리위원회
제5절 법원
제4편 헌법재판론
제1장 헌법재판 일반론
제1절 헌법상 지위
제2절 구성과 조직
제3절 심판절차
제2장 위헌법률심판
제3장 탄핵심판
제4장 정당해산심판
제5장 권한쟁의심판
제6장 헌법소원심판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