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서는 충주 또는 학교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바로서는 충주 또는 학교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95 0

본문




바로서는 충주
9791185032696.jpg


도서명 : 바로서는 충주
저자/출판사 : 이동석, 글통
쪽수 : 232쪽
출판일 : 2023-09-10
ISBN : 9791185032696
정가 : 20000

서문]

1부 내가 강해진 이유

1. 우렁찬 울음소리
2. 텔레폰 플리즈!
3. 몸으로 훈육을 받다
4. 축구와 수학으로 친구를 사귀다
5. 반기문 총장님 댁에서 지낸 2주일
6. 한국이 배출한 UN사무총장
7. 캘리포니아는 겨울이 없다
8. 나의 첫 공직


2부 뉴욕의 풍경

9. 가자 뉴욕으로
10. 한인 유학생은 모두가 외교관
11. 연개소문 PD에게 전화를 걸다
12. 실질적 도움이 되는 학생회
13. 아버지의 가르침
14. 내가 본 미국 정치
15. 혼다 의원을 만나다


3부 귀국길에 오르다

16. 최전방에 서다
17. 스트레스조차 소중한 경험이다
18. 부장님의 목소리, “기사 다시 써!”
19. 국회로 출근하다
20. 운명처럼 다가온 정치
21. 대통령실에서 바라 본 국가의 미래
22. ‘1호 행정관’의 무거운 책임감


4부 여의도 문법이 문제다

23. 진영정치의 3가지 해악
24. ‘사람 냄새나는 정치’


5부 충주를 지켜라

25. 대두되는 지방소멸론
26. 지방소멸 위기에 대하여
27. ‘이제는 지방시대’,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28. 가능성의 도시, 충주
29. 혁신도시의 명암
30. 최우선 과제, 의료정상화
31. 호반의 꿈




학교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9791165194420.jpg


도서명 : 학교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저자/출판사 : 임성택,이금주,홍송이, 박영스토리
쪽수 : 561쪽
출판일 : 2023-08-31
ISBN : 9791165194420
정가 : 29000

제1부 교육심리학 입문

제1장 교육심리학의 성격 2
1. 교육과 심리학 2
2. 이론과 실제: 서로 다른 두 세계 7

제2장 교육심리학의 탐구영역과 방법 10
1. 교육심리학의 탐구영역 10
2. 교육심리학의 탐구방법 13

제2부 교육심리학의 이론적 조망

제3장 교육심리학 이론의 개요 34
1. 이론의 필요성 35
2. 이론과 유사한 개념들 36
3. 이론의 구성요소와 이론화 과정 38
4. 교육심리학의 주요 쟁점과 이론적 입장 40

제4장 행동주의 학습이론 48
1. 행동주의 심리학의 기본가정 49
2. 고전적 조건화 이론 55
3. E. Thorndike: 미국 행동주의 심리학의 원조, 교육심리학의 아버지 68
4. J. Watson: 미국 행동주의 심리학의 공식화 72
5. 조작적 조건화 이론 80
6. 행동주의 심리학의 비평 97

제5장 사회인지적 관점 100
1. 사회인지적 관점의 등장배경 및 기본가정 100
2. 사회적 학습의 양상 105
3. 사회인지이론의 핵심 개념: 자기효능감 112
4. 자기효능감 증진을 위한 네 가지 자원 117

제6장 인본주의 심리학과 교육 121
1. 인본주의 심리학의 기본가정 122
2. A. Maslow의 인간 욕구 분석 124
3. C. Rogers의 인간중심접근 130
4. 학습에서의 자기결정성 135
5. 통제자가 아닌 촉진자로서의 교사: A. Combs 139

제7장 인지적 관점 142
1. Gestalt 심리학의 등장 142
2. M. Wertheimer의 생산적 사고 145
3. W. Köhler의 통찰학습 148
4. 기억의 정보처리이론 151
5. 인지적 관점과 구성주의 160

제3부 발달과 교육

제8장 인지발달 177
1. J. Piaget의 인지발달 이론 177
2. L. Vygotsky의 인지발달 이론 189
3. Piaget와 Vygotsky 이론의 시사점 197

제9장 도덕성발달 198
1. J. Piaget의 도덕성발달 이론 199
2. L. Kohlberg의 도덕성발달 이론 202
3. C. Gilligan의 돌봄의 윤리 209

제10장 성격 및 사회성발달 213
1. S. Freud의 심리·성적 성격발달 이론 213
2. E. Erikson의 심리·사회적 성격발달 이론 220
3.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27
4. U.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발달이론 232
5. R. Selman의 사회적 조망수용이론 235

제4부 개인차와 학습

제11장 지능 241
1. 지능의 의미 241
2. 지능이론 242
3. 지능의 측정 및 검사점수의 의미 253
4. 학습부진과 학습장애 256

제12장 창의성 259
1. 창의성의 개념 259
2. 창의성 연구접근 261
3. 창의성과 지능의 관계 266
4. 창의성과 교육 267
5. 특수학습자: 영재 271

제13장 인지양식과 학습전략 277
1. 인지양식 277
2. 인지 전략 288
3. 학습전이 298
4. 문제해결력과 비판적 사고력 303
5. 메타인지 314
6. 자기조절학습 327

제5부 학습동기

제14장 학습동기 이론 342
1. 행동주의 관점에서의 학습동기 342
2. 사회학습이론에 의한 기대-가치 이론 346
3. 사회인지적 관점의 자기효능감 이론 355
4. 인지주의 관점의 귀인이론 365
5. 인본주의 관점의 자기결정성 이론 376
6. 학습목표지향 이론 386

제15장 정서와 학습동기 398
1. 흥미와 호기심 398
2. 불안 406
3. 학습동기 관련 정서 411

제6부 교사와 교육

제16장 효과적인 학급 운영 422
1. 학급 운영과 관리 423
2. 긍정적인 교실 학습 환경의 조성 434
3. 다문화학생의 학습 지도 452
4. 효율적인 생활지도 462
5. 학부모와의 협력과 파트너십 473

제17장 교사의 특성 이해 483
1. 교사의 지식과 기대 483
2. 교사효능감 489
3. 교사의 소진 496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