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조장 시대유감 또는 북한의 가야금병창 연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분노조장 시대유감 또는 북한의 가야금병창 연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43 0

본문




분노조장 시대유감
9791192248172.jpg


도서명 : 분노조장 시대유감
저자/출판사 : 김기흥, 지식노마드
쪽수 : 208쪽
출판일 : 2023-11-27
ISBN : 9791192248172
정가 : 18000

들어가며

Ⅰ 나는 왜 일면식도 없는 윤석열을 위해 19년 다니던 KBS를 떠났나?

여느 여름날의 저녁 그리고 한 통의 전화
“그래 윤석열이 맞다.” 고민은 깊고 결정은 빨랐다
그렇다면 이런 국민의 ‘열망’을 담아낼 사람, ‘공정’의 가치를 구현할 사람은 누구인가?
국민의 열망을 담아내는 깨지지 않는 ‘질그릇’, 원칙과 뚝심의 윤석열
윤석열과의 첫 만남
리더의 자격, ‘자기 언어’를 사용하는가?
삶의 궤적, 거기에서 묻어나는 자기 언어의 무게 ‘단단함’
사람에 대한 태도 ‘털털함과 따듯함’
KBS 마지막 출근길
일면식이 없다? 알고 보니 ‘조국 사태’로 맺어진 연緣

Ⅱ 당신은 윤석열 대통령을 알고 있나? 윤석열의 ‘찐모습’

대통령 후보 1호차의 ‘정치적 의미’
“믿고 쓴다.” 능력 위주의 기용, 일단 맡기면 위임委任
“호남이 잘살아야 영남이 잘살고 대한민국이 잘산다.”
윤석열은 변하지 않는다!? “승부사 기질, 국민이 요구하면 변화”
앵글 밖 대통령의 찐모습, ‘정치인’ 같지 않은 윤석열
좌천당해 대구로 쫓겨나서 윤석열이 찾은 곳은?
대통령은 먹는 것에 진심? 아니 사람에 진심!
발달장애인 작품, ‘작품’ 그대로를 온전하게 보다.

Ⅲ 과거에 머무를 것인가, 미래를 현실화할 것인가?

2022년 ‘굴욕외교’ 비판을 딛고 일어서다
일본을 믿어요? 그럼 일본은 한국을 믿나요?
4월 한미정상을 보는 일본, 마음이 급해지다
아메리칸 파이, 상하원 연설. 미국은 왜 한국을 지지하나?
‘인권’은 중요하지만 ‘인권’ 앞에 ‘북한’이라는 단어가 들어가면
‘건전재정’ 기조 유지, ‘재정 중독’의 유혹을 뿌리치다
작위作爲 vs. 부작위不作爲 그 경계를 안다
2024년 총선의 의미
절대평가와 상대평가. 콘크리트 지지층이 없다는 게 약점? 강점!
제3지대 성공? 실패? 조건은?

Ⅳ 나는 왜 정치인이 되고자 하나?


아이들은 부모님의 등을 보고 자란다
한마디 말이 사람을 바꾼다, 인생을 바꾼다
‘실패’는 없다. 다만 ‘더딤’이 있을 뿐이다
‘나만 잘났다’ 아니 ‘나도, 너도 잘났다’
뜨거운 가슴으로 보낸 젊은 나날
인천공항건설 저지투쟁 그리고 뒤늦은 후회
아버지, 아버지 세대에 죄송하다
분노로 세상을 바꿀 수 없다. 나는 반성한다
정치는 결과로 말한다. 책임 윤리의 중요성

Ⅴ 언론인 김기흥에서 이제 언론이 보는 김기흥

시사저널 선정 ‘2023 차세대리더’ 100인 대통령실이 인정한 ‘대통령의 입’
‘尹 원년멤버’ 김기흥 , “내년 총선은 ‘대선 라3운드’…승리 완성하겠다”

추천사




북한의 가야금병창 연구
9788928518814.jpg


도서명 : 북한의 가야금병창 연구
저자/출판사 : 천주미, 민속원
쪽수 : 326쪽
출판일 : 2023-07-28
ISBN : 9788928518814
정가 : 32000

책을 펴내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제1장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3. 선행연구 검토

제2장 북한음악의 변화 및 발전과정
 1. 민주건설시기의 음악(1945~1950)
 2. 전쟁시기와 사회주의 기초건설시기의 음악(1950~1961)
 3. 사회주의 전면건설시기의 음악(1961~1970)
 4. 사회주의 완전승리 표방시기의 음악(1970~1980)
 5. 우리식 사회주의시기의 음악(1980~1994)
 6. 선군정치시기의 음악(1994~2011)
 7. 소결론

제3장 북한 가야금병창의 변화양상
 1. 민주건설시기~사회주의 기초건설시기의 가야금병창(1945~1961) : 제창형식의 가야금병창
 2. 사회주의 전면건설시기의 가야금병창(1961~1970) : 발성, 형식 확장과 연주법의 발전
 3. 사회주의 완전승리 표방시기의 가야금병창(1970~1980) : 가야금 개량과 연주법의 확장
 4. 우리식 사회주의시기의 가야금병창(1980~1994) : 가야금독병창의 대두
 5. 선군정치시기의 가야금병창(1994~2011) : 가야금병창의 보편화와 형식 확대
 6. 소결론

제4장 북한 가야금병창 작품분석
 1. 가사분석
 2. 음악분석
 3. 소결론

제5장 결론

부록 북한의 시기별 가야금병창 예보

표 목차
〈표 1〉 북한사의 시기구분과 시기별 음악정책 변화과정
〈표 2〉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구분
〈표 3〉 시기별 북한 가야금병창의 작품분석 자료목록
〈표 4〉 1945~1961년 북한 가야금병창 창작곡 목록
〈표 5〉 1961~1970년 북한 가야금병창 창작곡 목록
〈표 6〉 1970~1980년 북한 가야금병창 창작곡 목록
〈표 7〉 『조선음악년감』에 나타난 경축행사 가야금병창ㆍ가야금독병창 공연목록
〈표 8〉 1980~1994년 북한 가야금병창 창작곡 목록
〈표 9〉 『조선음악년감』에 나타난 조선인민군협주단 창작곡 목록
〈표 10〉 『조선문학예술년감』에 나타난 가야금독병창 공연목록
〈표 11〉 『조선문학예술년감』에 나타난 병창형식 창작곡 목록
〈표 12〉 〈매봉산타령〉 가사
〈표 13〉 〈물레타령〉 가사
〈표 14〉 〈황금 낟가리 쌓세〉 가사
〈표 15〉 〈귀틀집 실물레〉 가사
〈표 16〉 〈쇠물꽃이 만발했네〉 가사
〈표 17〉 〈빨찌산 방아타령〉 가사
〈표 18〉 〈살기좋은 내고향〉 가사
〈표 19〉 〈그물을 뜨세나〉 가사
〈표 20〉 〈김일성원수님께 충성 다할래요〉 가사
〈표 21〉 〈금수강산 내 조국 수놓아가세〉 가사
〈표 22〉 〈충성의 꽃 붉게 피우자〉 가사
〈표 23〉 〈수령복 인민복 꽃핀 내나라〉 가사
〈표 24〉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별 가창 음구성
〈표 25〉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별 가야금의 음구성
〈표 26〉 북한 가야금병창 시기별 작품의 음계와 조성
〈표 27〉 1945~1961년 가야금병창곡의 분석음계와 조성
〈표 28〉 1961~1970년 가야금병창곡의 분석음계와 조성
〈표 29〉 1970~1980년 가야금병창곡의 분석음계와 조성
〈표 30〉 1980~2011년 가야금병창곡의 분석음계와 조성
〈표 31〉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별 작품의 박자와 장단
〈표 32〉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별 작품의 장단과 박자체계
〈표 33〉 북한 가야금병창의 시기별 작품의 장단 형태
〈표 34〉 1945~1961년 가야금병창곡의 장단과 박자체계
〈표 35〉 1961~1970년 가야금병창곡의 장단과 박자체계
〈표 36〉 1970~1980년 가야금병창곡의 박자체계
〈표 37〉 1980~2011년 가야금병창곡의 박자체계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