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또는 회화술의 서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또는 회화술의 서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3 0

본문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9791159302688.jpg


도서명 : 교육사상가의 삶과 사상
저자/출판사 : 김누리 , 박홍규 , 신병현 , 심성보 , 유성상 ,, 살림터
쪽수 : 432쪽
출판일 : 2023-11-30
ISBN : 9791159302688
정가 : 25000

서문 기술지상주의 시대 교육사상의 의미 | 유성상
1장 장 자크 루소: 인정투쟁, 사회정의와 시민교육 | 이기범
2장 요한 페스탈로치: 정치철학, 인간교육 그리고 빈민교육 | 이은선
3장 야누쉬 코르착: 어린이의 권리, 아동 존중 그리고 유엔아동권리협약 | 이은경
4장 알렉산더 닐과 서머힐학교: 자유와 민주주의 기반의 두려움 없는 교육 | 하태욱
5장 안토니오 그람시: 헤게모니, 유기적 지식인, 그리고 변혁적 교육학 | 심성보
6장 이반 일리치: 탈학교론, 생태사회와 학습사회 | 박홍규
7장 레프 비고츠키: 문화역사적 심리학, 정신도구 그리고 교육 | 이성우
8장 에마뉘엘 레비나스: 무한으로서의 책임과 응답하는 말하기 | 이소영
9장 자크 랑시에르: 무지한 스승, 지적 해방과 평등주의 교육 | 신병현
10장 테오도어 아도르노: 반권위주의 교육, 저항 교육, 그리고 비판 교육 | 김누리




회화술의 서
9788940860748.jpg


도서명 : 회화술의 서
저자/출판사 : 첸니노,첸니니츠지,시게루,이시하라,야스오,, 미진사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3-04-28
ISBN : 9788940860748
정가 : 22000

서문에 앞서


서문
1
2 고귀한 영혼의 인도에 따라, 혹은 돈벌이를 위해 이 기술을 추구하는 동기는 여러 가지일 것이다
3 이 기술에 뜻을 둔 사람은 어떤 마음가짐을 지녀야 할까
4 이 기술에서 각각의 과정과 순서는 어떻게 될까
연습판과 첨필
5 연습판에 드로잉을 할 때 밑작업은 어떻게 할까, 그 순서에 대해서
6 다른 종류의 판에는 어떻게 그릴까
7 연습판에 칠하는 뼛가루 재료로는 어떤 뼈가 적당할까
8 첨필로 어떻게 드로잉을 해야 할까, 또 채광은 어찌해야 할까
9 인물상에 빛의 법칙에 따라 명암을 적용해서 입체감을 나타내려면
종이와 첨필
10 양피지나 밤바지나지에 드로잉을 하고 잉크 수용액으로 음영을 넣는 방법과 그 순서
11 연첨필로 어떻게 그림을 그릴까
12 연첨필로 그리다가 망치면 어떻게 고칠까
펜 드로잉
13 펜 드로잉은 어떻게 할까
14 드로잉용 펜을 깎는 방법
염색지에 드로잉하기
15 염색지에 하는 드로잉은 어떻게 연습해야 할까
16 종이를 녹색으로 물들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리고 이 경우 결합제의 사용법
17 양피지에 착색을 하고 광택을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8 종이를 모렐로색 또는 파고나초색으로 물들이려면
19 종이를 남색으로 물들이려면
20 종이를 로시뇨색 또는 복숭아색으로 물들이려면
21 종이를 피부색으로 물들이려면
22 종이를 베렛티노색 또는 비조색으로 물들이려면
투사지
23 투사지를 써서 멋진 인물상이나 드로잉의 주요 부분을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4 투사지를 만드는 첫 번째 방법
25 아교로 투사지를 만드는 두 번째 방법
26 밤바지나지로 투사지를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드로잉의 마음가짐
27 가능하다면 여러 대가의 그림을 따라 그리는 데 정진해야 할 이유
28 대가의 작품 이상으로 끊임없이 자연을 사생하고 이를 습관화하지 않으면 안 되는 이유
29 영혼을 고결하게 하고 손을 양호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생활은 어떻게 절제해야 하는가, 그리고 벽화 인물상을 모사하려면
어떤 동료와 어울려야 하며 어떤 마음가짐을 품어야 할까
드로잉의 마무리
30 종이에 먼저 목탄으로 드로잉을 하고, 인물상의 척도를 재고, 은첨필로 확정하는 방법
31 염색지에 수용액으로 드로잉을 하고 음영을 넣은 후 연백으로 밝은 부분을 처리하는 방법
32 잉크 수용액으로 음영을 넣었듯이 연백 수용액으로 밝은 부분을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33 양질의 완벽하고 곱디고운 드로잉용 목탄은 어떻게 만들까
34 드로잉용 목탄과 같은 성질을 지닌 돌에 대해서


안료의 종류
35 안료를 잘 손질하는 방법
36 천연 안료란 무엇인가, 또 검정을 손질하는 방법에 대해서
흑색 안료
37 여러 종류의 검정을 만드는 방법
적색 안료
38 시노피아라고 하는 붉은 안료의 성질에 대해서
39 벽화에서 피부색으로 쓰는 치나브레제를 만드는 방법과 그 성질에 대해서
40 주 朱 라고 부르는 빨강의 성질과 그것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서
41 연단이라고 하는 빨강의 성질에 대해서
42 적철석 혹은 아마티토라고 부르는 빨강의 성질에 대해서
43 기린혈이라고 부르는 빨강의 성질에 대해서
44 라카라고 부르는 빨강의 성질에 대해서
황색 안료
45 황토라고 부르는 노랑 안료에 대해서
46 지알로리노라고 부르는 노란색 안료의 성질에 대해서
47 석황이라고 하는 노랑의 성질에 대해서
48 계관석이라고 하는 노랑의 성질에 대해서
49 사프란이라고 하는 노랑의 성질에 대해서
50 아르지카라고 하는 노랑의 성질에 대해서
녹색 안료
51 녹토라고 하는 녹색의 성질에 대해서
52 암녹청이라고 하는 녹색의 성질에 대해서
53 석황과 남색으로 녹색을 만드는 방법
54 군청과 지알로리노로 녹색을 만드는 방법
55 울트레마리노를 써서 녹색을 만드는 방법
56 동녹청이라고 하는 녹색의 성질에 대해서
57 연백과 녹토, 또는 비앙코 산조반니로 만드는 녹색에 대해서
백색 안료
58 비앙코 산조반니의 성질에 대해서
59 연백의 성질에 대해서
청색 안료
60 군청의 성질에 대해서
61 다른 여러 가지 안료로 군청과 비슷한 색을 만드는 방법
62 울트레마리노의 성질과 만드는 방법
붓 만드는 방법
63 붓 만드는 방법은 왜 습득해야 할까
64 회색다람쥐털로 붓을 만드는 방법
65 돼지털 붓을 만드는 방법
66 회색다람쥐 꼬리털을 벌레 먹지 않게 보존하는 방법


프레스코 화법
67 프레스코 벽화에서 젊은이의 얼굴색 곧 피부색을 입히는 방법과 순서
68 프레스코에서 노인의 얼굴을 채색하는 방법
69 프레스코에서 여러 종류의 수염과 머리카락을 채색하는 방법
70 완벽한 인체가 가져야 할 척도
71 프레스코에서 의복을 채색하는 방법
세코 화법
72 벽에 세코로 채색하는 방법과 그 결합제에 대해서
벽화 채색의 여러 가지
73 비포색 만드는 방법
74 비포색을 프레스코에 쓰려면
75 프레스코에서 울트레마리노와 비슷한 색을 나타내려면
76 프레스코에서 파고나초색 또는 모렐로색으로 의복을 채색하려면
77 프레스코에서 빛나는 비단벌레색 의복을 채색하려면
78 프레스코에서 회색다람쥐색 바탕에
비단벌레색 의복을 채색하려면
79 세코에서 라카 바탕에 비단벌레색을 채색하려면
80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황토색 바탕에 비단벌레색을 채색하려면
81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베렛티노로 의복을 채색하려면
82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나무색에 해당하는 또 다른 베렛티노로 의복을 채색하려면
83 군청이나 울트레마리노로 의복 또는 성모의 망토를 칠하려면
84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수도승의 검은 의복을 그리려면
85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산을 채색하는 방법
86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초목이나 녹색을 채색하는 방법
87 프레스코나 세코에서 건물을 채색하는 방법
88 산을 직접 사생하는 방법
유채화법
89 벽, 패널, 쇠 등 원하는 곳에 유채로 그리는 방법
90 벽에 유채로 그릴 때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91 결합제나 모르덴테로 쓸 기름을 불을 지펴서 만드는 방법
92 햇볕에 쬐어 양질의 완벽한 기름을 만드는 방법
93 유화용 안료는 어떻게 반죽하고 사용해야 할까
94 쇠, 패널, 돌에 유채로 어떻게 그릴까
금박과 석박
95 벽을 금이나 주석으로 장식하는 방법
96 언제나 순금이나 고품질 안료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
97 금니스 석박을 잘라 장식에 쓰는 법
98 장식용으로 녹색 석박을 놓는 방법
99 금니스 석박을 만드는 방법 혹은 금니스로 금박을 올리는 방법
100 별 모양을 만들어 벽면에 올리는 방법
101 금 붙인 석박으로 벽화에서 성인의 후광을 드리우는 방법
102 벽화의 후광을 회반죽으로 도드라지게 하는 방법
103 벽화를 배우고 패널화로 옮겨가면 어떤 결과를 낳을까


패널화를 배우는 사람의 마음가짐
104 패널화 제작술을 익히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접착제
105 밀가루풀 만드는 방법
106 돌을 붙이는 접착제는 어떻게 만들까
107 유리 항아리를 붙이는 접착제는 어떻게 만들까
108 어교는 어떻게 녹이고 어디에 사용할까
109 산양교는 어떻게 만들고 어디에 사용할까
110 제단화나 패널화의 석고 바탕칠에 사용하는 완벽한 아교
111 청색이나 그 외 안료의 결합제로 적합한 아교
112 석회와 치즈로 아교를 만드는 방법
석고 바탕칠
113 패널화, 즉 제단화 제작은 어떻게 시작할까
114 패널에 천은 어떻게 붙일까
115 패널 면에 거친 석고를 주걱으로 바르는 방법
116 패널화의 석고 바탕칠에 사용하는 마감용 석고는 어떻게 만들까
117 마감용 석고를 패널화에 칠하는 방법과 이를 위해 아교를 섞는 방법
118 거친 석고로 바탕칠을 하는 첫 단계를 건너뛰어 마감용 석고만으로 바탕칠을 하는 방법
119 입체감을 주기 위해 마감용 석고를 개어 반죽하는 방법
120 마감용 석고를 칠한 패널을 평평하게 깎아내기 위해 먼저 해야 할 일
121 마감용 석고의 평평한 부분은 어떻게 깎을까, 또 그 깎아낸 가루는 어디에 도움이 될까
밑그림과 석고로 입체감 표현하기
122 패널에서 처음에 목탄으로 드로잉을 하고서
잉크로 확정하는 방법
123 금박을 올리기 전에 상 象 의 윤곽을 어떻게 표시해야 할까
124 마감용 석고로 패널에 입체감을 더하고 보석으로 상감하는 방법
125 패널화의 장식 부조를 만들기 위해 틀을 사용하는 방법
126 벽에 회반죽을 써서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
127 패널에 석고로 입체감을 나타내듯이 벽에 석회로 입체감을 더하는 방법
128 돌틀을 써서 벽이나 패널에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
129 바니시를 써서 벽에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
130 밀랍을 써서 벽에 입체감을 나타내는 방법
금박 입히기와 연마
131 패널에 보로를 칠하는 방법과 그에 따른 결합제 사용법
132 금박을 올리기 위해 패널에서 보로를 개는 또 다른 방법
133 녹토를 써서 패널에 금박을 올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34 패널에 금박을 올리는 방법
135 패널에 올린 금박을 연마하려면 어떤 돌이 적당할까
136 금박 연마봉은 어떻게 만들까
137 금박 연마에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연마 작업을 할 수 없다면 어떻게 처치해야 할까
138 평평한 부분은 어떤 방향으로 연마해야 할까
139 금박의 적절한 두께는 연마하는 경우, 그리고 모르덴테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 어떻게 다를까
각인 장식과 금비단 문양
140 금바탕에 먼저 후광을 표시해서 각인을 하고 형상의 윤곽을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41 금바탕에 빨강朱이나 그 밖에 원하는 색을 써서 금비단을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42 금비단이나 은비단을 그릴 때 세게 긁어서 각인을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43 화려한 금비단이나 은비단, 울트레마리노 비단을 그리는 방법, 그리고 금니스 석박을 벽에서 사용하는 방법
144 벨벳이나 모직 또는 비단을 벽에나 패널에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패널화 채색법
145 패널에 채색하는 방법과 안료를 개는 방법
146 청색이나 금색, 자색의 의복을 그리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47 얼굴, 손, 발, 그 밖에 피부색은 어떻게 채색할까
148 남자 시체, 그 털과 수염을 채색하는 방법
149 부상당한 남자와 그 상처 부위는 어떻게 채색할까
150 벽이나 패널에서 물고기가 있는 연못과 강은 어떻게 채색할까
모르덴테와 바니시
151 천 바탕이나 장식 문양에 금박을 올릴 때 사용하는 양질의 모르덴테를 만드는 방법
152 금박을 좀 더 빨리 놓으려면 모르덴테를 어떻게 조합해야 할까
153 마늘을 원료로 하는 또 다른 모르덴테의 제조법과 이것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부분
154 바니시 칠에 대해서
155 패널화에 바니시 칠을 하는 시기와 방법
156 바니시 칠을 한 그림처럼 보이게 하는 빠른 방법


채색필사본
157 종이 채색필사본에 금박을 올리는 방법
158 종이에 금박을 올리는 또 다른 방법
159 금과 비슷한, 포르포리나라고 하는 안료를 만드는 방법
160 금니와 은니는 어떻게 만들고 잎이나 장식 문양에 어떻게 사용할까
161 종이에 그릴 때 쓰는 안료에 대해서
천에 그리는 법
162 마포나 젠다도에 그리는 방법
163 장막과 같은, 검은색이나 파란색 마포에 그리는 방법
164 자수 장인을 위한 밑그림을 마포나 젠다도에 그리는 방법
165 젠다도에 천개, 단체나 교회 깃발 등을 그리고 후광이나 바탕에 금박을 올리는 방법
166 벨벳에 채색하고 금박을 올리는 방법
167 모직 바탕에 그리는 방법
각종 화법
168 행렬이나 기마 시합을 위한 마의나 제복에 문장을 붙이는 방법
169 행렬용 또는 장관의 관 장식이나 투구를 만드는 방법
170 손궤나 금고에 장식을 넣거나 색을 입히는 방법
171 창유리에 그림을 그리는 방법
172 성유골함을 창유리 그림 또는 모자이크로 장식하는 방법
173 천에 틀염색하는 방법
174 석상에 금박을 입히고 문질러 광을 내는 방법
175 그림을 그릴 벽의 습기를 없애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176 위와 같은 효과를 내는 또 다른 두 가지 방법에 대해서
177 녹토를 사용해 세코로 실내나 발코니에 그리는 방법
178 패널에 녹토를 쓰고 바니시를 칠하는 방법
179 인물의 얼굴을 채색한 후 그 색을 닦아 없애는 방법
180 여자들은 왜 맨살에 화장수 쓰기를 조심해야 할까
본뜨는 법
181 자연물의 본뜨기는 얼마나 유익할까
182 남자나 여자의 실제 얼굴로 본뜨기를 하는 방법
183 얼굴 본뜨기를 할 때 그 사람의 호흡을 유지하게 하는 방법
184 얼굴에 석고를 부어 본을 뜨고 그것을 떼어내 보존하는 주조법
185 남녀의 전신 나체상이나 동물의 전신상을 본뜨고 주조하는 방법
186 자신의 몸을 본뜨기해서 주조하는 방법
187 납으로 작은 상을 본떠서 석고틀 뜨기로 복제하는 방법
188 밀랍이나 석고로 화폐를 본뜨는 방법
189 재 반죽으로 봉인이나 화폐를 본뜨는 방법

부록(용어해설, 색명표, 참고문헌 약호)
편역 후기
번역 후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