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시가 형성·전승의 미학 또는 삼국유사가 품은 식물 이야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고전시가 형성·전승의 미학 또는 삼국유사가 품은 식물 이야기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57 0

본문




고전시가 형성·전승의 미학
9791165874797.jpg


도서명 : 고전시가 형성·전승의 미학
저자/출판사 : 이현정, 보고사
쪽수 : 498쪽
출판일 : 2023-04-28
ISBN : 9791165874797
정가 : 30000

들어가며

/ 제1부 / 고대시가의 형성 국면과 존재 의의

1장 기존 연구 검토와 논의의 전제
1. 관련 연구 동향과 논의 방향
2. 시가(詩歌)와 가요(歌謠)의 개념
3. 서정(抒情)의 정의와 유형

2장 작품별 분석
1. 〈구지가〉: 제의ㆍ신화가 된 기우 주술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수로왕 탄강담의 제의성
3) 〈구지가〉 전승의 형성 단서
〈구지가〉계 노래와 기우 주술
풍요 제의와 청배 무가
〈가락국기〉의 윤색 경위와 수로(首露)의 의미
4) 〈구지가〉 출현과 전승 의의
2. 〈공무도하가〉: 진혼 제의에서 새롭게 불린 상장요(喪葬謠)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공무도하가〉 전승서사의 제의성
3) 〈공무도하가〉 전승의 형성 단서
씻김굿과 상여소리
4) 〈공무도하가〉 출현과 전승 의의
3. 〈황조가〉: 풍요 제의가(祭儀歌)가 된 서정 민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유리왕〉조의 제의성
3) 〈황조가〉 전승의 형성 단서
동이(東夷)의 새토템과 주몽신화
고구려 패수(浿水) 제의와 제주도 입춘굿
〈새타령〉의 제의적 결합과 전통 민요
4) 〈황조가〉 출현과 전승 의의
4. 〈헌화가〉ㆍ〈해가〉: 별제(別祭)에서 불린 제의가
들어가며

/ 제1부 / 고대시가의 형성 국면과 존재 의의

1장 기존 연구 검토와 논의의 전제
1. 관련 연구 동향과 논의 방향
2. 시가(詩歌)와 가요(歌謠)의 개념
3. 서정(抒情)의 정의와 유형

2장 작품별 분석
1. 〈구지가〉: 제의ㆍ신화가 된 기우 주술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수로왕 탄강담의 제의성
3) 〈구지가〉 전승의 형성 단서
〈구지가〉계 노래와 기우 주술
풍요 제의와 청배 무가
〈가락국기〉의 윤색 경위와 수로(首露)의 의미
4) 〈구지가〉 출현과 전승 의의
2. 〈공무도하가〉: 진혼 제의에서 새롭게 불린 상장요(喪葬謠)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공무도하가〉 전승서사의 제의성
3) 〈공무도하가〉 전승의 형성 단서
씻김굿과 상여소리
4) 〈공무도하가〉 출현과 전승 의의
3. 〈황조가〉: 풍요 제의가(祭儀歌)가 된 서정 민요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유리왕〉조의 제의성
3) 〈황조가〉 전승의 형성 단서
동이(東夷)의 새토템과 주몽신화
고구려 패수(浿水) 제의와 제주도 입춘굿
〈새타령〉의 제의적 결합과 전통 민요
4) 〈황조가〉 출현과 전승 의의
4. 〈헌화가〉ㆍ〈해가〉: 별제(別祭)에서 불린 제의가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수로부인〉조의 제의성
3) 〈헌화가〉ㆍ〈해가〉 전승의 형성 단서
양구(陽口) 의 성황제(城隍祭)와 신화ㆍ제의 속 꽃의 주술성
통일 신라의 용신 신앙과 명주(溟州)의 대령산신제大(大嶺山神祭)
4) 〈헌화가〉ㆍ〈해가〉 출현과 전승 의의
5. 〈도솔가〉: 일월제치제의(日月除治祭儀 )에서 불린
중세 주술ㆍ제의가
1) 기존 연구 검토와 문제 제기
2) 〈월명사 도솔가〉 조의 제의성
3) 〈도솔가〉 전승의 형성 단서
신라의 일월제(日月祭)와 이일병현(二日並現)
유리왕대 〈도솔가〉와 화랑계 향가
4) 〈도솔가〉 출현과 전승 의의

3장 고대시가 양식 전승의 시가사적 함의
1. 고대시가 전승과 시가 양식의 체계화
1) 형식적 측면: 언술 방식과 인식 지향의 지속과 변화
2) 이념적 측면: 제의와 가악(歌樂)을 통한 문화적 조응
2. 고대시가 전승의 미학적 패러다임: 이질적 요소들의 길항
3. 맺음말

/ 제2부 / 향가 형성ㆍ전승과 밀교의 상관성
4장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헌화가〉ㆍ〈해가〉
1. 들머리에
2. 성덕왕 기사의 서술ㆍ편제 목적
3.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수로부인 전승
4. 『금광명최승왕경』 신앙과 〈헌화가〉ㆍ〈해가〉
5. 맺음말

5장 다라니인단법과 향가 〈도솔가〉
1. 들머리에
2. 이일병현(二日並現) 해괴제(解怪祭)의 밀교적 특성
3. 〈도솔가〉 노랫말의 밀교론적 해석
4. 맺음말

6장 밀교의 치병 신앙과 향가ㆍ고려가요 〈처용가〉 전승
1. 들머리에
2. 『관정소룡대신주경』과 〈처용가〉 전승
3. 『불설안택신주경』, 『공작왕주경』 신앙과 〈처용가〉 전승
4. 맺음말

참고문헌
논물출처




삼국유사가 품은 식물 이야기
9788994242873.jpg


도서명 : 삼국유사가 품은 식물 이야기
저자/출판사 : 안진흥, 지오북
쪽수 : 256쪽
출판일 : 2023-06-15
ISBN : 9788994242873
정가 : 16000

머리말 4

1부 위대한 탄생은 나무 아래에서
환웅이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로 내려와 12
신단수
이것을 먹으며 100일 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15
마늘, 쑥
여뀌 잎처럼 협소하지만, 수려하고 기이하니 24
여뀌
목련으로 만든 키와 계수나무로 만든 노 30
목련, 계수나무
아름다운 한 낭자가 난과 사향 향기를 풍기면서 35

대추를 찾아 바다 끝까지, 반도가 있는 하늘 끝까지 43
대추나무
무왕이 어렸을 때 이름을 서동이라 하였고 47

모란꽃이 피었다가 질 때까지 그 말과 다름이 없었다 51
모란

2부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것을
대나무는 합친 후에야 소리가 나게 되어 있으니 58
대나무
소나무 위에서 파랑새 한 마리가 만류하길 74
소나무
잣나무 가지 높아 서리 모르실 화랑 92
잣나무
화가 난 왕이 대나무를 베고 산수유를 심었는데 98
산수유
왕은 노하여 갈대를 베어 그 위를 걷게 하였다 103
갈대
버드나무 꽃 피는 봄을 몇 번이나 헛되이 보냈을까 108
버드나무
흰 옷을 입은 여인이 벼를 베고 있었는데 116


3부 속세에서 깨달음으로 인도하니
두 승려는 나뭇잎을 엮어 옷을 만들어 입었는데 128
피나무, 갈나무
부들자리 깔고 누워 잠이 드니 세상에 얽매이지 않아 137
부들, 둥굴레
남쪽 고개로 올라 향나무를 태워 천신에게 공양을 141
향나무
궁중의 회화나무가 곡을 하듯 울었고 148
회화나무
재상은 한 꿈속에서 내세와 현세를 오갔네 153
느티나무, 원추리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158
철쭉
하늘의 사자는 이무기 대신 배나무에 벼락을 내리고 166
배나무
명아주국 같은 변변한 끼니, 띠풀로 엮은 집 171
명아주, 띠

4부 꽃이 피어난 자리에 절을 지어
모랑의 집 매화를 먼저 꽃피웠네 180
매화
장사를 지내자 무덤 위에서 연꽃이 피어 186

나에게도 차 한 잔 나누어줄 수 있겠는가 198
벚나무, 차나무
오솔길에 봄이 깊어 양쪽 언덕에 꽃이 피네 204
복숭아나무, 살구나무
원효대사의 모친이 밤나무 아래를 지나다가 211
밤나무
뽕나무밭이 몇 번이나 푸른 바다를 이루었지만 217
뽕나무, 박
은그릇 속 흰콩이 흰 갑옷의 군대로 변해 226
콩, 기장, 망고, 치자나무
꿈에 한 노인이 삼베 신발과 칡 신발 한 켤레씩 235
길상초, 삼, 칡

참고문헌 248
찾아보기 250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