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해역과 산업화 또는 개발연대의 정책 이야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또는 개발연대의 정책 이야기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57 0

본문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9791159057564.jpg


도서명 : 동북아해역과 산업화
저자/출판사 : 부경대 인문한국플러스사업단 편역 · 왕매향 , 이상원, 소명출판
쪽수 : 423쪽
출판일 : 2023-10-30
ISBN : 9791159057564
정가 : 36000

발간사
엮은이 서문

김대래
전후 동아시아에서의 산업화-역사적 회고와 전망
1. 바다의 헤게모니
2. 바다의 역전-‘해금’의 바다
3. 미국-일본-동아시아의 3각 경제순환-냉전의 바다
4. 중국의 부상-세계화의 바다
5. 어떤 바다를 만들 것인가?

제1부
항구

서광덕
탈냉전이후 중국의 산업화와 해역의 변화-광둥성의 항구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개혁개방정책과 중국 해양인식의 변화
3. 광저우와 주변 항구의 개발 및 산업화
4. 나가며

양민호
마산 수출자유지역의 선정과정에 관한 연구-교통지리학적 입장에서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3. 마산 수출자유지역 선정
4. 마산 수출자유지역 입주
5. 나가며

백두주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부산항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기존 논의
3. 항만도시의 성장
4.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5. 나가며

공미희
요코하마항구의 변천과정과 특징 연구-공간특성과 이동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개항장 요코하마에서 도시 요코하마로의 변화
3. 1960년대 항구도시 요코하마의 재발견과 문화적 특징
4. 항구문화와 도시발전의 상관성
5. 나가며

이나요시 아키라
근대 일본 항만 도시의 아포리아-쓰루가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근세 근대 이행기의 항구 도시 변화
3. 쓰루가敦賀 사례
4. 나가며

제2부
원조

김경아
개혁개방 이후, 푸젠성 마조신앙媽祖信仰의 부흥과 중국 전통문화의 재건
1. 신중국 성립과 마조신앙의 단절
2. 개혁개방 이후, 마조신앙의 부흥 전략
3. 마조신앙의 복원과 중국 전통문화의 재건
4. 다시 마조신앙으로

권의석
1960~1970년대 영국의 대한對韓기술지원-울산공과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영국의 대한국 원조 채널
3. 영국 원조에 의한 기술학교 설립 동의
4. 울산공과대학 설립 협정 개정 및 연장
5. 나가며

왕매향
타이완에 대한 미국의 문화원조-1950~1969년까지 타이완 해양도시 가오슝高雄의 서민문화를 중심으로
1. 미국공보원United State Information Service을 통한 문화수입
2. 비정부기구의 문화협력
3. 민간의 미국문화 흡수-가오슝高雄의 사례

이상원
군항도시 사세보佐世保와 시민 저항-1968년 미국의 ‘엔터프라이즈 호’ 입항 문제를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일본 구舊 4군항과 사세보 군항
3. ‘엔터프라이즈 호’ 입항과 사세보 시민의 저항
4. 나가며

제3부
사람

최민경
어업이민을 통한 해방 후 해외이주정책의 이해
1. 들어가며
2. 선행연구 검토
3. 어업이민의 등장과 계획-1977~1982년
4. 어업이민의 전개와 결과-1983~1987년
5. 나가며

고바야시 소메이
낙농으로 본 한일관계의 일단면-1960년대 후반-지역 간(홋카이도-경기도) 교류에 주목하여
1. 들어가며
2. 홋카이도 낙농 연수의 실시
3. 낙농연수에 대한 당사자들의 반응
4. 나가며

주현희
원양 실습일지에 나타난 실습선원들의 해양인식 고찰
1. 들어가며
2. 한국 원양어업 개척기의 개관
3. 원양실습일지에 나타난 해양인식
4. 이문화의 수용 양상
5. 나가며


초출일람
필자 소개




개발연대의 정책 이야기
9791130316741.jpg


도서명 : 개발연대의 정책 이야기
저자/출판사 : 김적교, 금융투자협회
쪽수 : 268쪽
출판일 : 2023-01-20
ISBN : 9791130316741
정가 : 19000

01 부흥부 시절_2
1. 촉탁직으로 공직생활시작 2
2. 원조와 국민경제 4
3. 문교부와 체신부담당 7
4. 해외훈련에 선발되다 9

02 경제기획원 시절_11
1. 제1차5개년계획에 참여 11
2. 자의반 타의반으로 기획원을 떠나다 13

03 유럽 유학시절_17
1. 네덜란드유학 17
2. 독일유학과 Kraus 교수와의 만남 20

04 KDI와 청와대 근무 시절_26
1. 수출산업의 생산성분석 26
2. 청와대 파견근무 30
3. 예산제도 개편 40
4. 15개년 장기경제사회발전(1977-1991) 43
5. 자동차산업 육성정책 52
6. 근대화과정에서의 재정의 역할 59
7. 중화학공업육성과 인플레이션문제 61
8. 인덱세이션조사 차 브라질 방문 63

05 국제경제연구원 부원장으로 가다_67

06 한양대학교 교수시절_69
1. 한양대학교 교수가 되다 69
2. 경제연구소를 활성화시키다 70
3. 개도국 중견관리자 연수교육 실시 72

07 1980년대 경제상황과 정책문제_76
1. 안정화정책 76
2. 자유화·개방화와 기술혁신정책 81
3. 경제력집중과 재벌문제 83
4. 재벌규제와 업종전문화정책 85
5. 소득분배문제 87

08 경제체제문제_95
1.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95
2. 독일의 사회적 시장경제 100

09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시절_117
1. 초대원장에 취임 117
2. 전문성과 능력중심의 인재채용 119
3. 우루과이라운드 집중연구 122
4. 대미 홍보 차 미국방문 123
5. 북방정책연구 125
6. 동·서독통합조사단장으로 독일방문 126
7. 노태우 대통령에 보고 127
8. 중국 방문 131
9. 소련 방문 134

10 한양대학으로 돌아가다_137
1. 이공계 연구를 활성화시키다 137
2. 초대형구조센터설립 140

11 정년퇴직 이후_141
1. 대학강의와 저술활동 141
2. 대개도국 자문활동 142
부록_157
01 개발연대의 경제정책과 개발계획 158
02 박정희 경제정책의 정신적 배경 177
03 한국경제의 개방화정책과 전망 185
04 감속성장, 왜 바람직한가 198
05 빈곤층과 비빈곤층간의 소득분배 205
06 시장경제의 윤리적 기초 23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