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의 군주상 또는 앨프리드와 에밀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정조의 군주상 또는 앨프리드와 에밀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92 0

본문




정조의 군주상
9788961474276.jpg


도서명 : 정조의 군주상
저자/출판사 : 김백철, 이학사
쪽수 : 485쪽
출판일 : 2023-04-28
ISBN : 9788961474276
정가 : 28000

서문

연구 서설

1장 현재적 시선: 1990년대 ‘정조신드롬’의 등장 배경

1. 18세기사를 평가해온 시선
1) 학계의 연구 동향
2) 일반 대중의 시선
2.‘정조신드롬’의 대두
1) 새로운 모색
2) 대중매체로의 확산
3. 패러다임의 변화와 추세
1) 재조명되는 정조시대
2) 18세기사의 역사적 가치
3) 20세기 패러다임의 전환
4) 21세기 해외 연구의 흐름
4. 현대인이 선망한 탕평군주

2장 선왕의 유산: 17-18세기 대동·균역의 위상

1. 경제구조의 전환 배경
1) 전세의 간편화
2) 신역의 화폐가치 환산
3) 공물의 간접 금납화
2. 대동의 파급력
1) 전세의 원용
2) 재원의 확보
3) 화폐의 연동
3. 균역의 추진 배경
1) 군역 개혁의 필요성
2) 재정추계의 현실화
3) 국가정책의 순문
4. 세제 개혁의 여파

제1부 탕평의 계승자

3장 정조 초반 왕권의 실상과 ‘청의淸議’의 공인

1. 『명의록』의 서술방식
1) 「존현각일기」의 핍박받는 왕세손
2) 『명의록』의 척신 토역
3) 『속명의록』의 범궐 계획 분쇄
2. 현실 속 정국 주도 과정
1) 공론의 주도
2) 척신의 일소
3) 청류의 규합
3. 의리명변서의 상징성

4장 정조 전반 시파의 등장과 ‘황극 皇極’의 회복

1. 두 편의 정조 윤음
1) 판본 현황
2) 구성 방식
2. 송덕상 사건: 노론 청류의 부침
1) 산림의 화려한 출사(정조 2-3, 1778-1779)
2) 홍국영과 동반 몰락(정조 3-4, 1779-1780)
3. 사건의 파장: 시파·벽파의 분기
1) 생전 반발 여론
2) 사후 정국 변동
4. 윤음 반포 후 변화상

제2부 국법의 수호자

5장 법치주의하 통치 체제의 재정비

1.『대전통편』의 편찬 사업
1) 법제의 통합
2) 증보의 특징
2. 국법 체계의 재구축
1) 법제 일원화
2) 상시 관리 체계
3. 법제 정비의 지향

6장 국왕 중심의 군제 개편

1. 융정의 이해 방향
2.「병전」의 탄생
1) 구성 방식
2) 관무재와 시사
3. 군제 개혁의 성격
1) 무신 선발의 특징
2) 균형 선발 정책
3) 국왕의 신변 강화

제3부 탕평시대의 기억 전쟁

7장 영남 ‘반역향’ 담론의 재검토

1. 차별 담론의 검토
1) 다양한 차별론
2) 영남 ‘반역향’의 등장
2. 영남 출사자의 실상
1) 영남인의 등과 현황
2) 영조-정조 연간 등용책
3. 가문 중심주의 문제점
1) 집단 구조화의 맹점
2) 당파성론 출현 배경
4. 차별 담론의 허상

8장 ‘실학’ 담론의 파급효과

1.『경세유표』의 등장 배경
1) 정약용의 편찬 의도
2) ‘실학’ 담론하의 재조명
2. 제도 개혁의 청사진: 서주에서 북학까지
1) 중앙·지방의 관제 개편
2) 관료제 운영의 변화
3) 재정 개혁과 신물물 수용
3. 개혁안의 지향

결론

1. 관점의 환기
2. 정조시대의 사회경제적 배경
3. 정조의 군주상: 탕평의 계승자와 국법의 수호자
4. 후대의 기억 전쟁

부표
참고문헌
수록 원고 출전




앨프리드와 에밀리
9788954691536.jpg


도서명 : 앨프리드와 에밀리
저자/출판사 : 도리스 레싱, 문학동네
쪽수 : 344쪽
출판일 : 2023-03-31
ISBN : 9788954691536
정가 : 16000

서문 7

제1부 중편소설 「앨프리드와 에밀리」 9
제2부 앨프리드와 에밀리: 두 인생 175

감사의 말 319

해설 | 도리스 레싱이라는 거대하고 울창한 숲 321
도리스 레싱 연보 331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