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또는 아름다운 인생 여행길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또는 아름다운 인생 여행길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6 0

본문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9788978895323.jpg


도서명 : 한류를 이해하는 33가지 코드
저자/출판사 : 박숙희, 지성사
쪽수 : 512쪽
출판일 : 2023-06-02
ISBN : 9788978895323
정가 : 45000

여는 글

1부 한국인에 대해 알아야 할 몇 가지
#1 비빔밥 정신
비빔밥 정신/ 비빔밥: 개방성, 융통성, 균형과 화합/ 할리우드 장르의 규칙을 깬 봉준호/ 한식의 해체: 구절판, 신선로, 부대찌개, 쌈, 삼합⋯/ 무엇이든 통하는’ 한국 문화

#2 빨리빨리 문화
코로나19, ‘K-방역’의 부상/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빨리빨리’ 민족으로/ ‘잘 살아보세’와 새마을운동/ 8282 공화국/ 한국의 속담과 줄임말: 효율성과 유머/ ‘브라질 출신 한인 세 자매 성공의 비결: 빨리빨리!/ 빨리빨리 정신: 힘인가, 독인가?

#3 눈치의 달인들
한인 2세 유니 홍과 눈치의 힘/ 눈치의 달인이 되는 비결, 처세술 책 홍수/ 눈치 안테나: 성공과 행복의 열쇠/ 오스카상 시상식: 봉준호 감독의 눈치와 재치

#4 저항의 민족
3·1운동에서 촛불혁명까지/ 2016~2017년 촛불혁명/ 저항의 역사/ 3·1독립만세 운동/ 엘리자베스 키스가 본 일제강점기 조선인/ 간디, 네루, 저우언라이와 3·1운동/ 5·18광주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 저항의 문화/ 〈뉴욕타임스〉 2018년 3월, 유관순 사망 기사 보도/ 블랙리스트 감독: 봉준호(「기생충」)와 황동혁(「오징어 게임」)/ 미씨USA 회원들 NYT 에 세월호 참사, 박근혜 정권 비판 광고

#5 한(恨)과 한국 영화 르네상스
트라우마의 나라, 드라마의 문화/ 한국산 웹툰 영화-드라마로, 세계로/ 한국 영화 1: 7080 암흑기/ 한국 영화 2: 뉴웨이브/ 한국 영화 3: 르네상스/ 한국 영화 4: 「기생충」과 그 이후

#6 쇠젓가락 유전자
“한국 여자 양궁 성공 비결은 김치와 젓가락” _로이터 통신/ 쇠젓가락 유전자: 국제기능올림픽/ 반도체, IT(정보통신), 성형수술, 클래식 강국/ 한중일 3국의 젓가락과 테크닉/ 이어령 교수의 ‘젓가락 예찬’/ 미국 한인 이민자 주력 업종: 병아리 감별사, 네일 살롱

#7 세탁의 장인들
한인 이민자, 미국 세탁업계를 장악하다/ 빨래는 백의민족의 장기/ 2020 세계 최고의 세탁기: LG와 삼성/ 백의민족의 세탁 기술/ 다듬이질 문화/ 빨래와 한국 문화: 회화, 무용, 뮤지컬, 영화, 시/ 한인 이민자들의 꿈: 자녀들의 성공을 위하여

#8 복(福)을 싸드립니다: 보자기, 보따리와 보쌈
보자기에 관한 이야기/ ‘보자기 작가’ 이정희/ ‘보따리 작가’ 김수자/ 뉴욕의 ‘보쌈’ 셰프 데이비드 장/ 보자기, 보따리, 보쌈: ‘복(福)’을 기원하는 한민족


2부 조선, 코레아, 코리아

#9 고요한 아침의 나라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의 조선 사람들/ 길쌈, 짚신 기술에서 자동차, 반도체, 스마트폰까지

#10 호머 헐버트와 세계인의 한글 예찬
세계적 작가와 언어학자들의 한글 예찬/ 호머 헐버트의 ‘코리안 오디세이’/ 한글이 세계 최고의 글자인 이유/ 디지털 시대 한글의 힘/ 세계인의 한글 배우기 열풍/ 세계문자올림픽대회와 한글박물관

#11 「오징어 게임」과 ‘놀이의 왕국’
‘게임 한류’, 한류 콘텐츠 수출 1위/ 스튜어트 컬린의 『한국의 놀이』/ 요한 하위징아의 『호모 루덴스』/ 1년 24절기 한국의 세시풍속/ 현대의 한국 풍속놀이/ E스포츠 게임의 슈퍼스타 ‘페이커’ 이상혁/ 놀이 정신과 K-문화

#12 모자의 왕국
킹덤 오브 햇/ 개화기 서양인들의 조선 모자 예찬/ 일제강점기 서양화가들이 포착한 조선인과 모자/ 쇼킹 단발령과 상투의 실종/ 왜 미국 남자들은 모자를 벗었나?/ 나폴레옹 황제 모자를 240만 달러에 구매한 하림기업/ 뉴욕의 스타 모자 디자이너 유지니아 김/ 캐롤리나 헤레라: “갓과 한복은 내 영감”/ 브루클린 미술관 소장 조선 ‘용봉문 두정투구’/ 뉴욕 전시 「조선: 모자의 나라」


3부 음주가무(飮酒歌舞)를 즐기는 민족

#13 먹고
한국계 뮤지션 미셸 자우너, 「H마트에서 울다」/ 「대장금」 신드롬/ 「식객」: 만화에서 영화에서 드라마로/ 비언어 뮤지컬 「난타」/ 영화 「기생충」 속의 음식 코드/ 〈워싱턴포스트〉, 한식의 철학 찬사

#14 마시고
술에 관한 수많은 말, 말, 말/ 「맥주가 애인보다 좋은 일곱 가지 이유」/ 홍상수 영화: 술과 말과 로맨스/ 봉준호 감독의 오스카 수상 소감/ 세계로 간 소주와 막걸리/ 뉴욕 고급 레스토랑 정식, 아토보이의 소주, 막걸리 메뉴

#15 노래하고
한국의 오페라: 판소리/ 일제강점기 동요와 항일 노래/ TV 노래 경연 프로그램/ 전 국민의 가수화, 시위에선 ‘떼창’/ 뉴욕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코리안/ 뮤지컬의 한인들/ 뮤지컬 「케이팝(KPOP)」 브로드웨이로

#16 춤추고
아름다운 우리 춤/ K-발레: 세계 발레단의 K-무용수/ 코리아: 브레이크댄스 강국/ K팝의 매력: 춤, 춤, 춤/ 무용가 김영순과 덤보댄스 페스티벌/ 쿠니 마사미(박영인): 일제강점기 무용수이자 스파이


4부 한국인의 힘

#17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이준구 대사범
미국 태권도의 아버지/ 엘비스 프레슬리, 클린턴, 오바마 태권도 수련/ 최초의 한류 스타, 이준구 대사범의 드라마틱한 삶/ 브루스 리(이소룡)와의 우정/ 무하마드 알리의 코치/ 9월 4일은 세계태권도의 날

#18 김치와 고추장: 발효, 그 느림의 맛
미국 슈퍼마켓마다 김치 진열, 김치 조리법 인기/ “오래 살고 싶다면? 한국으로 가라!”/ 김치와 고추장/ 김치 사업에 투신한 한인 2세들/ 코리안아메리칸 셰프가 뜬 이유/ 쌈장 전도사들/ 중국 ‘김치 종주국’ 주장, 뉴욕 ‘김치의 날’ 제정

#19 한국 여성 속의 여신들
자가 격리의 원조, 웅녀의 끈기/ ‘여왕의 시대’ 신라: 선덕, 진덕, 진성/ 3천 궁녀, 논개와 유관순의 절개/ 현모양처 신사임당, 백인당의 교육열/ ‘아시아의 아마조네스’ 제주 해녀들/ 미국 역사 속 위대한 여성들

#20 도서 한류(K-Book)와 한국 여성 인권
『82년생 김지영』 세계 열풍/ 환자와 화자: 김지영과 정신과 의사/ 코리아: 경제 선진국, 여성 인권 후진국/ 여성가족부와 인권 문제/ 뿌리 깊은 성차별: 여성 비하 속담 15/ 미국과 한국 여성 참정권/ 여성 작가들의 힘: 한강-수잔 최-최돈미-캐시 박 홍-이민진

#21 그린의 여왕들, 골프의 여신들
한국 여자 골프가 세계 최강이 된 일곱 가지 이유

#22 풍자와 해학의 정신: 「강남 스타일」, 「기생충」과 마거릿 조
싸이와 「강남 스타일」의 풍자와 해학/ 봉준호와 「기생충」의 블랙 유머/ 마거릿 조: 미국 스탠드업 코미디의 여왕/ 마거릿 조의 후예들


5부 한국인의 유전자

#23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킹 세종 더 그레이트』/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발명의 천재들/ 음악가로서 세종과 레오나르도/ 세종대왕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최후/ 조선 르네상스와 이탈리아 르네상스

#24 ‘비디오 아트의 대부’ 백남준과 후예들
백남준의 후예 8인방

#25 정경화에서 임윤찬까지, 클래식 강국 코리아
한국 클래식의 수수께끼/ 국제 차이콥스키 콩쿠르/ 레벤트리트 국제 콩쿠르/ 메리웨더 포스트 콩쿠르/ 제네바 국제 음악 콩쿠르/ 퀸 엘리자베스 콩쿠르/ 로스트로포비치 국제 첼로 콩쿠르/ 국제 쇼팽 피아노 콩쿠르/ 리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부소니 국제 피아노 콩쿠르/ 밴 클라이번 국제 피아노 콩쿠르/ 클리블랜드 국제 피아노 콩쿠르/ 윌리엄 카펠 국제 피아노 콩쿠르/ 파가니니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 콩쿠르가 필요 없었던 바이올린 신동 사라 장/ 뉴욕필,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의 한인 연주자들/ 작곡가 진은숙 & 지휘자 김은선/ 그래미상과 한국인

#26 ‘우리 시대의 비틀스’ 방탄소년단(BTS)
비틀스와 BTS 방탄소년단/ 비틀스 vs. 방탄소년단/ 희망의 시대에서 온 BTS/ BTS 솔로 프로젝트

#27 피는 물보다 진하다
성악가 앤드루 갱게스타드(정우근)/ 발레리나 제니퍼 월렌(남지연)/ 비올리스트 리처드 용재 오닐/ 화가 사라 세진 장(장세진)/ 영화감독 디안 보셰 림(강옥진)/ 셰프 대니 보윈/ 〈뉴욕타임스〉 “입양인들, 한식 요리는 궁극적인 한인성의 회복”/ 한국은 여전히 고아 수출국


6부 K-컬처 르네상스

#28 K-푸드: 한식 황홀경
앤디 워홀과 먹방/ 앤서니 보데인과 최불암/ 올인원, 한국인의 밥상/ 절기 음식과 향토 음식/ 뉴욕 K-푸드의 선구자: 한가위/ 세계로 간 한국 사찰음식과 정관 스님/ 코리안 프라이드치킨 열풍/ 조선시대 조리서와 ‘며느리에게 주는 요리책’/ 맛에 관한 한국어 400여 가지/ 미슐랭 스카이의 별을 따고 있는 한식당들

#29 K-아트: 단색화 르네상스
고려청자의 나라에서 단색화의 한국으로/ K-아트, 미국에 이는 단색화 열풍/ 단색화: 기원에서 재발견까지/ 1970년대: 왜 단색화였나?/ 오방색, 백의민족과 단색화/ 컬러-자유의 팔레트/ 한국 미술사와 단색화 연구서 봇물/ 단색화 미술 장르 공인/ 미국 주류 미술관 K-아트 특별전 열풍/ K-아트: 서울, ‘세계 미술 메카’로 부상 중

#30 백의민족에서 글로벌 패셔니스타로
한류 스타들, 럭셔리 브랜드 홍보대사에 임명/ FACON/ KCON: K-드라마, K-팝과 K-패션의 시너지 효과/ K-패션: 뉴욕-런던-밀라노-파리로 가다/ 동대문: 변방에서 ‘패션의 메카’로/ 패스트 패션: 포에버 21의 신화/ 왜 K-패션인가? 유행 민감, 세련미, 개성미/ 토니상 2회, 에미상 1회 수상 의상디자이너 윌라 김/ ‘코리안 기모노’에서 ‘한푸(漢服)’까지

#31 K-뷰티: 한국은 어떻게 화장품 최강국이 되었나?
화장품 수출 세계 3위: K-뷰티/ 글로벌 화장품 기업 K-뷰티 인수 행렬/ 한인 2세와 외국인들, 한국산 브랜드 사업 열풍/ 조선 여성 물광 피부, K-뷰티의 원조/ 한국 미인과 프랑스 미인/ 한국산 화장품 열풍의 이유/ K-뷰티 돌풍의 주역 사총사 히트 메이커/ 한국인은 새 프랑스인

#32 K-사우나: 찜질방, ‘스파의 디즈니랜드’
핀란드 사우나에서 한국 찜질방까지/ 한국의 목욕 문화/ 미국 유명인사들 찜질방에 매료되다/ 미국 언론 찜질방 대서특필

#33 K-방역: 「기생충」, 「킹덤」과 코로나 팬데믹
우리는 봉준호의 디스토피아에 살고 있다 _〈뉴욕타임스〉/ 「킹덤」은 오늘 코로나 팬데믹의 악몽 같다 _〈뉴욕매거진〉/ 「킹덤」은 전염병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이야기/ 세계 언론 K-방역 성공 찬사: 개방성, 투명성, 신속한 대응/ 한국인의 취미는 국난 극복/ 2020 ‘타임 100’ 봉준호와 정은경 선정

# 에필로그: 멋진 신세계, 한류 신드롬은 계속된다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 천국보다 낯선⋯/ 멋진 신세계/ 소셜미디어 시대의 한류/ “다 계획이 있었구나” 1990 문화발전 10개년 계획/ 백범 김구의 소원과 마틴 루터 킹의 꿈

참고한 자료




아름다운 인생 여행길
9788964415061.jpg


도서명 : 아름다운 인생 여행길
저자/출판사 : 이환채, 한림
쪽수 : 167쪽
출판일 : 2023-05-31
ISBN : 9788964415061
정가 : 10000

시인의 말

1부 오는 봄
오는 봄
추억
쪽빛 하늘
장 날
봄비 내리는 날
봄비로 쓰는 편지
봄의 전령
봄 길목
자유에 대하여
인생의 풍랑 속에서
인생은 나를 찾아가는 일
아픔
이팝나무 꽃
영산강
모란
목련꽃 그늘 아래서
세월
그대 그리고 봄비
세월 가고 나이 드니
한 해의 끝자락에서
몸과 마음이 지쳐있을 땐

2부 희망의 목포
희망의 목포, 목포인들!
천년숲길을 걸으며
여름이 끝날 무렵
여름의 끝자락에서
비 오는 날의 회상
비 오는 날의 행복
빈 강가에 서서
장미
울돌목
오월의 장미
영산호
목포대교
간직하고 싶다
다 바람 같은 거야
미황사에서
행복과 불행
동백
아카시아 꽃
고향ㆍ1
고향ㆍ2
내 인생의 벗에게
그리운 옛 시절

3부 축복의 당신
축복의 당신
오늘도 당신의 하루를 응원합니다
영원한 내 사랑
사월에 그대에게 보내는 편지
당신(詩)이 좋아서
달과 그리움
당신 안에 있는 행복
당신 앞에 무릎을 꿇습니다
그림자
반년, 그 이분의 일
그대가 보고싶은 날은
가슴으로 그리는 사랑
거룩한 당신 앞에
스트레스 받지 않는 비결
사랑하는 당신에게
토요일이 다가서는 날이면
하루살이
오늘 하루도
나눔의 빛 '루미나리에'
꽃뱀

4부 아름다운 인생
아름다운 인생
아! 한 맺힌 설움
신축년 새해를 맞아
행복의 땅, 그곳 해남海南

갓바위
강가에 앉아
갈무리
갓바위 등꽃
이제야 알 것 같습니다
이슬
우린 모두 나그네입니다
산수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