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Union 국제거래법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기출문제집 또는 한중일 현대 한자음의 대응 양상에 대한 연구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2024 Union 국제거래법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기출문제집 또는 한중일 현대 한자음의 대응 양상에 대한 연구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89 0

본문




2024 Union 국제거래법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기출문제집
9791155778227.jpg


도서명 : 2024 Union 국제거래법 변호사시험 선택과목 기출문제집
저자/출판사 : MGI 메가고시 연구소, 인해
쪽수 : 616쪽
출판일 : 2023-05-01
ISBN : 9791155778227
정가 : 35000

국제사법-기출쟁점ㆍ009

제1편┃국제사법 총론ㆍ011
쟁점 1 국제사법 적용대상ㆍ011
쟁점 2 국제재판관할의 판단ㆍ012
쟁점 3 국제재판관할합의ㆍ012
쟁점 4 전속관할과 선결문제ㆍ013
쟁점 5 준거법 지정의 예외ㆍ014
쟁점 6 반정(反正)ㆍ014
쟁점 7 사회질서에 반하는 외국법의 규정ㆍ016

제2편┃국제사법 각론ㆍ017
쟁점 8 실종선고의 관할권과 준거법ㆍ017
쟁점 9 행위능력의 준거법ㆍ018
쟁점 10 법률행위 방식의 준거법ㆍ019
쟁점 11 물권의 준거법ㆍ020
쟁점 12 지식재산권의 보호ㆍ020
쟁점 13 계약의 준거법ㆍ021
쟁점 14 신용장대금 상환의 법률관계에 관한 준거법ㆍ023
쟁점 15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상 이율ㆍ024
쟁점 16 소비자계약의 준거법ㆍ025
쟁점 17 근로계약의 준거법ㆍ026
쟁점 18 계약의 성립 및 유효성의 준거법ㆍ028
쟁점 19 불법행위의 준거법ㆍ029
쟁점 20 채권양도의 준거법ㆍ030
쟁점 21 법률에 의한 채권의 이전ㆍ030
쟁점 22 혼인의 성립ㆍ031
쟁점 23 이혼의 준거법ㆍ032
쟁점 24 파양의 준거법ㆍ032
쟁점 25 부양의 준거법ㆍ033
쟁점 26 상속의 준거법ㆍ033
쟁점 27 유언의 방식의 준거법ㆍ034
쟁점 28 선적국법주의ㆍ035

국제사법-기출해설ㆍ037
변호사시험ㆍ039
[23년도 제12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41
[22년도 제11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51
[21년도 제10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61
[20년도 제9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71
[19년도 제8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81
[18년도 제7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091
[17년도 제6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01
[16년도 제5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13
[15년도 제4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23
[14년도 제3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33
[13년도 제2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43
[12년도 제1회 변호사시험 제1문]ㆍ153

변호사시험 모의시험ㆍ161
[22년도 제3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163
[22년도 제2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173
[22년도 제1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183

[21년도 제3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195
[21년도 제2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05
[21년도 제1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15

[20년도 제3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25
[20년도 제2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35
[20년도 제1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43

[19년도 제3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53
[19년도 제2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63
[19년도 제1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73

[18년도 제3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81
[18년도 제2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293
[18년도 제1차 변호사시험 모의시험 제1문]ㆍ305




한중일 현대 한자음의 대응 양상에 대한 연구
9791169190817.jpg


도서명 : 한중일 현대 한자음의 대응 양상에 대한 연구
저자/출판사 : 나운연, 한국문화사
쪽수 : 300쪽
출판일 : 2023-02-10
ISBN : 9791169190817
정가 : 25000

머리말
표 차례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선행 연구
1.3 연구 대상 및 방법

2. 한자음의 형성 및 음운체계의 대조
2.1 한·중·일 한자음의 형성
2.1.1 중국어 음운체계의 통시적 변화
2.1.2 한국 한자음의 형성 및 통시적 변화
2.1.3 일본 한자음의 형성 및 통시적 변화
2.2 한·중·일 현대 음운체계의 대조
2.2.1 자음체계의 대조
2.2.2 모음체계의 대조

3. 한·중·일 현대 한자음 자음의 대응
3.1 초성 자음의 대응
3.1.1 초성 자음의 출현 빈도
3.1.2 파열음의 대응
3.1.3 파찰음의 대응
3.1.4 마찰음의 대응
3.1.5 공명음의 대응
3.1.6 초성 대응의 종합 검토
3.2 종성 자음의 대응
3.2.1 종성 자음의 출현 빈도
3.2.2 종성의 대응
4. 한·중·일 현대 한자음 모음의 대응
4.1 단모음의 대응
4.1.1 단모음의 출현 빈도
4.1.2 단모음의 대응
4.2 복모음의 대응
4.2.1 복모음의 출현 빈도
4.2.2 이중모음의 대응
4.2.3 삼중모음의 대응
4.3 모음 대응의 종합 검토

5. 한·중·일 현대 한자음 음절의 대응
5.1 C(G)V(G) 음절의 대응
5.1.1 C(G)V(G) 음절의 유형 및 출현 빈도
5.1.2 C(G)V(G) 음절의 대응
5.2 (G)V(G)C 음절의 대응
5.2.1 (G)V(G)C 음절의 유형 및 출현 빈도
5.2.2 (G)V(G)C 음절의 대응
5.3 C(G)V(G)C 음절의 대응
5.3.1 C(G)V(G)C 음절의 유형 및 출현 빈도
5.3.2 C(G)V(G)C 음절의 대응
5.4 음절 대응의 종합 검토

6. 결론

참고문헌
부록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