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해커스공무원 패권 국제정치학 기본서 사상 및 이론 또는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53
0
본문
2024 해커스공무원 패권 국제정치학 기본서 사상 및 이론

도서명 : 2024 해커스공무원 패권 국제정치학 기본서 사상 및 이론
저자/출판사 : 이상구, 해커스공무원
쪽수 : 484쪽
출판일 : 2023-09-07
ISBN : 9791169994552
정가 : 29000
제1편 국제정치학 총론
제1장 국제정치학 서설
제1절 국제정치학의 개념
제2절 국제정치학의 학문적 영역
제3절 국제정치관
제2장 국제정치의 행위자
제1절 서설
제2절 국가
제3절 비국가행위자(Non - State Actors)
제4절 다국적기업(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
제3장 국제체제의 역사적 흐름
제1절 근대 이전의 국제체제
제2절 근대 국제체제[웨스트팔리아(Westphalia)체제]
제4장 외교론
학습 점검 문제
제2편 국제정치사상
제1장 현실주의 전통
제1절 마키아벨리(NiccolóMachiaveli)
제2절 홉스(Thomas Hobbes)
제3절 루소(Jean Jacques Rousseau)
제2장 자유주의 전통
제1절 존 로크(John Locke)
제2절 칸트(Immanuel Kant)
제3장 근대 변환기 동아시아 국제정치사상
제1절 서설
제2절 중국 국제정치관
제3절 일본의 국제정치관
제4절 조선의 국제정치관
학습 점검 문제
제3편 국제정치이론
제1장 총론
제1절 국제정치학 방법론
제2절 국제정치이론 논쟁
제2장 현실주의
제1절 총론
제2절 고전적 현실주의(classical realism)
제3절 게임이론
제4절 억지이론
제5절 미국 핵전략의 변천
제6절 국제체제이론(international system theory)
제7절 구조적 현실주의
제8절 세력균형론
제9절 동맹이론
제10절 세력전이이론(power transition theory)
제11절 패권안정론(Hegemonic Stability Theory)
제12절 국제체제변화론
제13절 권력론
제14절 연성권력론
제15절 전쟁론
제16절 지정학설
제17절 공격적 현실주의(offensive realism)
제18절 신고전적 현실주의
제19절 연성균형론
제20절 공격 - 방어균형이론
학습 점검 문제
제3장 자유주의
제1절 총론
제2절 이상주의
제3절 외교정책론
제4절 통합이론
제5절 상호의존론
제6절 연계이론
제7절 양면게임이론
제8절 신자유제도주의
제9절 글로벌 거버넌스
제10절 민주평화론
제11절 선출인단이론(Selectorate Theory)
제12절 구조균형이론
제13절 세계사회론(World Society Theory)
제14절 이슈 패러다임
학습 점검 문제
제4장 마르크스주의
제1절 총론
제2절 종속이론
제3절 비판이론
제4절 신마르크스주의
제5절 세계체제론(World System Theory)
학습 점검 문제
제5장 탈냉전 국제관계이론
제1절 구성주의(Constructivism)
제2절 문명충돌론(The Clash of Civilizations)
제3절 탈근대주권론
제4절 포스트모더니즘
제5절 전망이론
제6절 복잡계이론
학습 점검 문제
제4편 이슈 영역별 국제정치이론
제1장 국제정치경제론
제1절 총론 3
제2절 현실주의
제3절 자유주의
학습 점검 문제
제2장 안보론
제1절 총론
제2절 집단안보
제3절 협력안보
제4절 다자안보
제5절 인간안보
제6절 바이오안보
제7절 기타 안보 개념
학습 점검 문제
제3장 군비통제 및 군축이론
제1절 군비통제론
제2절 군축이론
학습 점검 문제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도서명 : 미술과 교재 연구 및 교수법
저자/출판사 : 류재만 , 손지현, 교육과학사
쪽수 : 456쪽
출판일 : 2023-02-25
ISBN : 9788925417561
정가 : 24000
2판 머리말 3
머리말 5
Chapter_1 미술교육의 목적과 목표 15
1. 미술교육의 목적 17
1) 미적 안목 육성·17 / 2) 창의성 계발·18
3) 시지각의 계발·19 / 4) 시각적 문해력 육성·21
5) 감성의 함양·22
2. 미술교육의 목표 23
1) 미술교육자들의 견해·23 / 2) 구성주의 학자들의 견해·24
3) 창의·인성과 융합인재 교육적 견해·27 / 4) 미술과 교육 목표·31
Chapter_2 미술교육사조의 변천 39
1. 표현기능 중심 미술교육 41
1) 중세와 르네상스 시기의 미술교육·41
2) 산업혁명 시기의 미술교육·43
3) 바우하우스·44
2. 창의성 중심 미술교육 47
3. 학문 중심 미술교육 49
4. 시각문화 미술교육 53
1) 시각문화의 이해·53
2)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목표와 방법·55
5. 다문화 미술교육 58
1) 다문화 교육·58 / 2) 다문화 미술교육·61
Chapter_3 어린이 미술의 이해 67
1. 어린이 미술을 보는 관점 69
1) 인지발달 관점·70 / 2) 지각발달 관점·73
3) 정신분석적(psychoanalytic) 관점·78 / 4) 사회문화적 관점·81
2. 미술표현 발달 단계 86
1) 로웬펠드의 단계·86 / 2) 허위츠와 데이의 단계·95
Chapter_4 미술과 교육과정 101
1. 교육과정의 개념과 유형 103
1) 교육과정의 개념·103 / 2) 교육과정의 분류·105
3) 교육과정의 유형·109
2.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 112
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113
2)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123
3)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129
Chapter_5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135
1. 미술 교수-학습의 특성 137
2. 미술 학습의 원리와 발상 전략 138
1) 미술 학습의 원리·138 / 2) 창의적 발상 전략·144
3. 미술과 교수-학습의 모형 149
1) 귀납적 사고법·149 / 2) 직접 교수법·151 / 3) 창의적 문제 해결법·152
4) 반응 중심 학습법·153 / 5) 펠드만의 비평 모형·155
6) 앤더슨의 미술 비평 모형·156 / 7) 프로젝트 학습 모형·159
Chapter_6 미술과 교수-학습 설계 167
1. 학습 목표의 의미 169
2. 학습 목표의 진술 170
3. 미술과 학습 목표의 설정과 진술 173
1) 미술과 행동적 진술 용어·173 / 2) 학습목표와 학습문제의 진술의 예·175
4. 학습 요소, 교수-학습 방법 및 유의 사항 177
1) 체험·177 / 2) 표현·177 / 3) 감상·178
5. 미술과 교수-학습의 설계 179
1) 교수-학습 설계의 필요성과 고려 사항·179
2) 교수-학습 과정안의 예·180
Chapter_7 미적 체험교육 193
1. 미학과 미술교육 195
1) 미학의 개념과 미술교육에서 의미·195 / 2) 예술론·198
2. 미적 체험의 미술교육적 함의 205
1) 미적 체험에서 미적 태도·205 / 2) 듀이의 미적 체험·207
3.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 210
1)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미적 체험교육·210
2) 미적 지각을 통한 사고력 교육·212
Chapter_8 회화·조소 교육 221
1. 조형 요소와 원리 223
1) 조형 요소·223 / 2) 조형 원리·228
2. 드로잉 교육 230
1) 드로잉 교육의 의의·230 / 2) 드로잉 교육의 종류·231
3) 드로잉 교육의 내용·232
3. 회화 교육 233
1) 회화 교육의 의의·233 / 2) 회화 교육의 종류·234
3) 회화 교육의 내용·237
4. 한국화 교육 239
1) 한국화 교육의 의의·239 / 2) 한국화 교육의 종류·240
3) 한국화 교육의 내용·244
5. 판화(printmaking) 교육 249
1) 판화 교육의 의의·249 / 2) 판화 교육의 종류·250
3) 판화 교육의 내용·252
6. 조소 교육 253
1) 조소 교육의 의의·253 / 2) 조소 교육의 종류·254
3) 조소 교육의 내용·255
Chapter_9 디자인, 공예, 서예, 영상 미술교육 263
1. 디자인 교육 265
1) 디자인 교육의 의의·265 / 2) 디자인의 종류·266
3) 디자인 교육의 내용·267
2. 공예 교육 269
1) 공예 교육의 의의·269 / 2) 공예의 종류·270
3) 공예 교육의 내용·272
3. 서예 교육 274
1) 서예 교육의 의의·274 / 2) 서체와 서예도구·275
3) 서예 교육의 내용·276
4. 영상 미술교육 277
1) 영상 미술교육의 의의·277 / 2) 영상 미술의 종류·278
3) 영상 미술교육의 지도 내용·279
Chapter_10 미술사 교육 285
1. 미술사 교육의 의의 287
2. 교육과정에서 미술사 교육 288
1) 2009 개정 교육과정·288 / 2) 2015 개정 교육과정·291
3) 2022 개정 교육과정·293
3. 한국 미술사 295
1) 선사 시대 미술·295 / 2) 삼국 시대 미술·296
3) 통일 신라 시대 미술·297
4) 고려 시대 미술·297 / 5) 조선 시대 미술·298
6) 근대 미술·299 / 7) 현대 미술·299
4. 서양 미술사 300
1) 선사 시대 미술·300 / 2) 고대 미술·300
3) 중세 미술·301 / 4) 르네상스 미술·302
5) 바로크·로코코 미술·303 / 6) 근대 미술(19세기 미술)·304
7) 현대 미술·307
Chapter_11 미술 감상학습에서 발문 315
1. 미술 감상의 관점 318
1) 기호학적 측면·318 / 2) 미학적 측면·321
3) 사회·문화적 측면·324
2. 미술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과 발문 325
1) 발문의 목적·325 / 2) 발문의 기술·326
3) 감상 학습에서 발문의 관점·327 / 4) 발문의 실례·332
Chapter_12 미술관과 교육 341
1. 미술관의 역사 343
1) 미술관의 의미·343 / 2) 미술관의 역사·344
2. 온라인 미술관 347
1) 온라인 미술관의 개념·347 / 2) 온라인 미술관의 전시 유형·349
3) 온라인 미술관의 특성·349 / 4) 주요 온라인 미술관·350
5) 온라인 미술관의 교육적 가치·353
3. 미술관 학습 방안 354
1) 사전 학습·354 / 2) 현장 학습·356
3) 사후 학습·358
4. 미술관 교육 방향·362
Chapter_13 미술교육의 평가 369
1.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개념과 특성 371
1) 평가의 개념·371 / 2) 미술과 평가의 특성·373
2. 미술교육에서 평가의 목표와 내용 376
1) 평가의 목표·376 / 2) 평가의 내용·378
3. 교육과정과 평가 387
1) 국가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387
2) 미술과 교육과정과 평가·389
4. 과정중심평가의 개념과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 392
1) 과정중심평가의 개념·392 / 2) 미술과 수행평가의 방법·394
Chapter_14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와 방향 403
1.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과제 405
1) 미술과에 대한 편견의 극복·405
2) 다양한 미술 교수 방법의 개발·408
2. 미술과 교수법 및 교재 개발의 방향 410
부록: 미술과 교육과정
일러두기 417
미술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 419
1. 성격 및 목표 421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423
3. 교수·학습 및 평가 440
찾아보기 448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