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또는 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34
0
본문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도서명 :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저자/출판사 :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추수밭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3-06-28
ISBN : 9791155402177
정가 : 17000
들어가는 글: 에메랄드처럼 맑고 아름다운 ‘녹색 쾌락주의자’의 행복에 관하여
1장 음식: ‘자연의 버터’ 아보카도는 인공 버터와 얼마나 다를까?
요양소에서 배운 짜릿한 단식 생활 | 누구나 알고 있지만 지키지 않는 원칙 | 그냥 체중 관리를 했을 뿐인데 | 아보카도보다 친환경적으로 버터를 즐기는 법
2장 자동차: 요란스럽고 뚱뚱한 차를 꼭 가져야만 할까?
돈 많은 허풍선이를 위한 위험한 장난감 | 자동차 없는 미래는 가능할까? | 새로운 이동 수단이 가져올 낙원 같은 세상 | 허황된 꿈에서 현실이 된 모빌리티
3장 여행: 그렇게 빨리 날아갈 필요가 있을까?
퇴폐적 사치가 된 비행기 여행 | 관광여행보다 우아한, 사치의 포기 | 여행을 떠나기 위해 사들이는 수상한 면죄부 | 지구에 미안하지 않은 여행을 하는 방법
4장 패션: 지구를 생각해서 에코백 하나를 더 사야 할까?
마크 제이콥스의 헌 옷 수거함 컬렉션 | 럭셔리 친환경 백화점에서 행복한 쇼핑을 | 패스트패션이 일으키는 참을 수 없는 소유욕 | 답은 간단하다, 적게 구매하라
5장 전자제품: 썩어 없어지는 아이폰을 만들 순 없을까?
이 에어프라이어도 곧 아프리카로 가겠지 | 먹어도 아무 문제 없는 핸드폰 | 비행기 모드를 켜놓고 책을 읽자
6장 주거: 다시 벽난로에 불을 땔 순 없을까?
인간의 품위에 어울리는 인테리어 | 단열 시공이 불러올 탄소 폭탄 | 오래된 삶의 방식 되살리기 | 벽난로, 꽃, 양초라는 골치 아픈 인테리어 | 기후변화 시대의 진정한 사치품
7장 쓰레기와 플라스틱: 좀비보다 질긴 것들을 어떻게 처리할까?
종이봉투는 비닐 대용품이 될 수 있을까? | 베이클랜드 일가의 비극적 운명 | 플라스틱에 점령당한 바다와 인체 | 플라스토칼립스에서 벗어날 길은 없을까? | 인간에 대한 예의로서의 분리수거
8장 동물 사랑: 왜 개와 고양이는 되고, 소와 돼지는 안 될까?
개보다 고양이가 지구에 덜 해롭다 | 도축되는 동물들의 끔찍한 비명 | 고등동물 돼지와 친구가 되는 법
9장 스포츠: 자연친화적으로 즐길 만한 품격 있는 운동은 없을까?
우아하고 생태학적인 스포츠, 승마 | 즐기기엔 너무 잔인한 자연 체험 | 유난 떨지 않고 몸을 움직이기
10장 깨끗한 공기: 건물 외벽을 이끼로 채우면 공기 정화가 될까?
옛날보다 좋아졌다지만 | 대기오염의 최대 위험, 미세먼지 | 너무 작아서 위험한 문명병의 주범 | 깨끗하고 신선한 공기를 마실 수 있는 곳으로
나오는 글: 거창한 구호 없이, 바로 지금 여기에서부터
용어 설명
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도서명 : 글로벌 거버넌스: 도전과 과제
저자/출판사 : Thomas G. Weiss , Wilkinson, , 명인문화사
쪽수 : 484쪽
출판일 : 2023-07-25
ISBN : 9791161930701
정가 : 30000
간략목차
1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를 이해하기
1부 지구적 차원
2장 글로벌 거버넌스와 인류세: 글로벌 위기의 확산에 대한 설명
3장 전쟁: 폭력에 대한 거버넌스와 거버넌스의 폭력
4장 지정학: 공유하는 글로벌 위협의 시대에서의 경쟁
5장 문명: 융합 혹은 충돌?
6장 지역과 지역주의: 새로운 형태의 연결성에 대응하기
7장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이해
2부 분열과 격차
8장 탈서구의 인권: 그 모든 것이여 안녕
9장 2050년의 이주 거버넌스: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10장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 220
11장 인종: 글로벌 규모의 새로운 아파르트헤이트
12장 인민: 누가 통치하고 누가 통치받는가?
3부 도전
13장 식량: 덥고 배고픈 지구의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
14장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미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각 개념에 대한 성찰
15장 기후 행동: 파리협정 이후
16장 생물다양성: 지구 생명의 연결망 보호
17장 원조: 코로나19 위기와 그 이후
18장 데이터: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들
19장 불법 약물: 약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세부목차
역자서문
약어
1장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를 이해하기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 사고의 틀
글로벌 거버넌스의 역사
글로벌 거버넌스의 공간적 측면
글로벌 거버넌스의 부침
당면 과제
1부 지구적 차원
서론
2장 글로벌 거버넌스와 인류세: 글로벌 위기의 확산에 대한 설명
인류세의 황폐화
환경 거버넌스의 취약한 설계
기업의 자율 거버넌스의 가치에 대한 과대평가
신기술의 가치에 대한 과대평가
결론: 2050년을 바라보며 위기에 대응하기
3장 전쟁: 폭력에 대한 거버넌스와 거버넌스의 폭력
전쟁 거버넌스의 제도들
전쟁과 거버넌스의 차원
전쟁 거버넌스의 미래
결론
4장 지정학: 공유하는 글로벌 위협의 시대에서의 경쟁
지정학적 패러다임
미국과 중국
다극체제와 지역화
지정학과 글로벌 거버넌스
결론
5장 문명: 융합 혹은 충돌?
새로운 현실의 무시
다자적 리더십의 통제
일방주의의 증가
결론
6장 지역과 지역주의: 새로운 형태의 연결성에 대응하기
용어 정의와 그 역할에 대한 평가ㆍ
현대의 지역 연결성의 대안적 형태
결론
7장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이해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부상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네트워크화
글로벌 도시 거버넌스의 광범위한 시각
국제적 도시이주와 코로나19
결론
2부 분열과 격차
서론
8장 탈서구의 인권: 그 모든 것이여 안녕
인권의 간단한 역사
도덕적, 정치적 인권
국가체제의 변형
자유주의 사회계약의 붕괴
인권의 정치화
결론
9장 2050년의 이주 거버넌스: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이주의 추세
거버넌스 시나리오
결론: 유토피아, 디스토피아, 아니면 헤테로토피아?
10장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
글로벌 거버넌스와 빈곤
글로벌 거버넌스와 불평등
결론: 빈곤과 불평등의 글로벌 거버넌스의 미래 탐구
11장 인종: 글로벌 규모의 새로운 아파르트헤이트
제1부 미셸 들라니
제2부 조이스 모요
제3부 테드로스 마코넨
제4부 씨시 반구, 부디 반구
12장 인민: 누가 통치하고 누가 통치받는가?
포용적인 21세기와 그 ‘새로운’ 이야기
‘국내’와 ‘해외’에서의 폭력에 의한 민주주의 ‘외부’의 생성
통치받는다는 것
결론
3부 도전
서론
13장 식량: 덥고 배고픈 지구의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
기아, 영양실조, 식량시스템의 위기
미래 거버넌스 수요를 형성할 주요 식량시스템의 추세
코로나19와 식량시스템에 대한 충격
미래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에 대한 경쟁하는 비전
결론ㆍ316
14장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의 미래: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각 개념에 대한 성찰
‘글로벌리티’의 도전
‘보건’의 한계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결론
15장 기후 행동: 파리협정 이후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기후 거버넌스와 변화하는 세계질서
기후 관련 세 가지 공백: 적응, 삼림, 이주
결론
16장 생물다양성: 지구 생명의 연결망 보호
육상 생명체
생물다양성을 위한 법적 레짐: 생태계, 종, 이용, 혜택
환경협약과 SDG15
지속가능발전의 이행
결론
17장 원조: 코로나19 위기와 그 이후
글로벌 개발원조와 코로나19: 개발의 잃어버린 10년?
코로나19와 새로운 부채 함정
글로벌 개발원조의 미래
결론
18장 데이터: 글로벌 거버넌스가 직면한 도전들
데이터 흐름의 중요성
미국의 접근: 데이터 농장으로서의 개인
중국의 접근: 데이터를 통한 통치
EU의 접근: 불가능한 일
글로벌 데이터 거버넌스의 미래
결론
19장 불법 약물: 약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약물금지 이전의 삶
약물금지와 국제약물통제레짐: 우리는 어떻게 여기까지 왔는가?
약물금지와 약물통제의 어두운 면
타성의 힘
변화의 힘
결론
찾아보기
저자소개
역자소개
도해목차
도표
5.1 세계 GDP 점유 비율
9.1 글로벌 불경기가 실향민 발생의 원인, 결과, 대응에 미치는 영향
10.1 국가별/지역별 빈곤 인구 비율 1981~2015년
10.2 빈곤 축소 관련 AIIB 투자, 2015~2019년
10.3 상위 인구의 부의 점유 비율, 미국 대 유럽, 1810~2010년
10.4 글로벌 불평등과 성장의 코끼리 커브, 1980~2016년
10.5 젠더 불평등 지수
표
16.1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환경협정
16.2 생물다양성협약들로부터의 전략적 장치들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