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법치 100년의 경로 또는 혈관영상생리매뉴얼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중국 법치 100년의 경로 또는 혈관영상생리매뉴얼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8 0

본문




중국 법치 100년의 경로
9791167425805.jpg


도서명 : 중국 법치 100년의 경로
저자/출판사 : 궈다오휘,쟝핑,천광중,허친화,양하이쿤,장첸판,저자,글, 역락
쪽수 : 656쪽
출판일 : 2023-10-16
ISBN : 9791167425805
정가 : 56000

저자서문
역자서문

제1장 중국 근현대법의 탄생과 성장

1. 아편전쟁과 서법동점
2. 청조 말기의 수율과 서방법의 계수
3. ‘육법전서’의 제정과 근대 법체계의 확정
4. 신중국 현대법의 발족
5. 신중국 창립초기 법치건설의 좌절
6. 개혁개방이후 중국법치건설의 봄

제2장 당대 중국의 입법제도

1. 신중국 입법의 발전역정
2. 중국적 특색이 있는 사회주의법률체계의 보완
3. 입법체제의 개혁과 보완
4. 민주입법과 공민의 입법참여
제3장 당대 중국의 헌법제도-회고 및 전망

1. 현행 헌법의 기본구조
2. 입법기구
3. 행정기구
4. 사법기관
5. 중앙과 지방의 관계
6. 선거제도
7. 헌법에서의 기본권-언론자유를 예로 하여
8. 헌법제도의 한계와 개혁

제4장 행정법치를 향하여 매진하다

1. 행정법치를 향한 중국 법치정부건설의 발전과정
2. 법치정부건설에 대한 행정법학계의 이론적 공헌
3. 법치정부로 향한 과정중의 문제 및 대책
4 행정법치의 새로운 과제

제5장 중국 민상법치의 구조, 성과, 한계 및 미래의 개혁방향

1. 민법과 경제법의 논쟁
2. 민사법의 개략적인 상황과 미래의 발전전망
3. 상법의 발전상황과 미래의 발전전망

제6장 당대 중국형법과 형사정책의 현실과 전망

1. 형사입법의 배경과 현황
2. 당대 형법의 한계에 관한 분석중국 법치 100년의 경로 14
3. 형사법의 변혁에 관한 전망

제7장 중국 형사소송법치의 구조, 성과와 한계, 미래의 개혁방향

1. 전환과 회복: 1978-1982년
2. 곡절과 발전: 1983-1996년
3. 심화와 진보: 1996-2012년
4. 향후 형사소송제도의 개혁전망




혈관영상생리매뉴얼
9791170680291.jpg


도서명 : 혈관영상생리매뉴얼
저자/출판사 : 혈관영상생리연구회, 군자출판사
쪽수 : 420쪽
출판일 : 2023-07-14
ISBN : 9791170680291
정가 : 100000

PART Ⅰ INTRAVASCULAR ULTRASOUND, IVUS

01 좋은 IVUS Image 얻기: 여러 오류 및 허상(Artifact)해결방법
1. 허상(Artifact)의 종류
2. 좋은 영상 얻기
3. 요약

02 IVUS의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ssessment)
1. 개요
2. IVUS에서 보이는 관상동맥의 구조
3. Lumen(내강) 측정
4. 외탄력막(External elastic membrane, EEM) 측정
5. 죽상경화반(Atheroma) 측정
6. 참조혈관(Reference segment) 측정
7. 칼슘(Calcium) 측정
8. 혈관 재형성(Remodeling)
9. 길이 측정
10. 요약

03 IVUS의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ssessment)
1. 정상 혈관벽 영상
2. 죽상경화반의 IVUS 영상
3. 관상동맥 동맥류(Angiographic aneurysm)
4. 관상동맥 조영학적으로 모호한 병변(Angiographically ambiguous lesions)
5. 심근교(Myocardial bridge)
6. 자연 관상동맥 박리(Spontaneous dissection)
7. 요약

04 IVUS를 이용한 취약성 죽상반(Vulnerable Plaque)의 진단
1. 취약성 죽상반이란
2. IVUS를 이용한 취약성 죽상반 진단

05 IVUS를 이용한 PCI 최적화(PCI Optimization)방법
1. 혈관내 초음파 유도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의 목적과 스텐트 최적화
2. 적절한 크기의 스텐트 선택
3. 스텐트 시술 후 발생한 문제점의 진단과 교정

06 다양한 복잡 병변(Complex Lesions)에서의 IVUS의 실제활용:
PartⅠ- 좌주간부 병변, 분지 병변 및 석회화 병변
1. 좌주간부 병변(Left main coronary artery lesion)
2. 분지 병변(Bifurcation lesion)
3. 석회화 병변(Calcified lesion)

07 다양한 복잡 병변(Complex Lesions)에서의 IVUS의 실제활용:
Part Ⅱ - 긴 관상동맥 병변, 만성폐색 및 재협착 병변
1. 긴 관상동맥 병변(Long coronary lesion)
2. 만성폐색(Chronic total occlusion, CTO)
3. 재협착(In-stent restenosis, ISR)
4. 향후 연구

08 INOCA/MINOCA 진단에서의 IVUS의 실제 활용
1. Myocardial infarction with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 (MINOCA)
2. Ischemia with nonobstructive coronary arteries(INOCA)

09 NIRS의 적용 및 해석: 임상활용에 대한 모든 것
1. NIRS system
2. Outcomes 예측
3. 시술 전후 심근경색증(Periprocedural myocardial infarction, PPM)의 예방
4. 중재시술의 최적화(Optimization)
5. 지질 강하 치료의 효과 판정
6. 기술적 한계

PART Ⅱ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01 좋은OCT Image 얻기: 준비 및 여러 오류, Artifact 해결방법
1. 좋은 OCT image의 정의
2. OCT 장비의 이해
3. OCT 촬영순서
4. OCT 촬영의 pitfall
5. OCT의 artifact

02 OCT의 정량적 분석(Quantitive Assessment)
1. 횡단면 측정과 길이 및 용적 측정
2. Lesion assessment
3. Stent assessments
4. 결론

03 OCT의 정성적 분석(Qualitative Assessment)
1. 동맥경화성 죽상반의 정성적 분석
2.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을 유발하는 죽상반의 특징
3. OCT를 통한 추후 연구의 동향
4. OCT를 이용한 PCI
5. 결론

04 OCT를 이용한 취약성 죽상반(Vulnerable Plaque)의 진단
1. 취약성 죽상반(Vulnerable plaque)이란?
2. OCT에서 관찰되는 취약성 죽상반의 특징 및 함께 관찰될 수 잇는 소견
3. 결론

05 OCT를 이용한 PCI최적화(PCI Optimization)방법
1. 서론
2. PCI 최적화
3. 결론

06 다양한 복잡 병변에서의 OCT의 실제활용
1. 서론
2. Calcified lesion
3. Bifurcation lesion
4. Stent failure lesion
5. 결론

07 OPCI 최적화에서의 OCT와 IVUS의 비교
1. OCT와 IVUS 영상 기법의 비교
2. PCI 최적화를 위한 OCT와 IVUS 사용법 비교
3. OCT와 IVUS를 비교한 임상 연구
4. 결론

08 INOCA/MINOCA 진단에서의 OCT의 실제활용
1. 서론
2. MINOCA의 진단
3. OCT의 역할
4. 임상적 전망
5. 결론

09 FD-OCT와 3D-OCT의 실제활용
1. Frequency Domain-Optical Coherence Tomography (FD-OCT)
2. 관상동맥 조영술(Coronary angiography)상 모호한 병변의 평가 및 치료 가이드로서의 활용
3. 분지 병변(Bifurcation lesion)에서의 활용
4. Bifurcation lesion에서 main vessel stenting 후 side branch의 평가
5. Side Branch stent implantation 시 3D OCT의 활용
6. 3D-OCT를 통한 고정밀 stent strut 맵핑
7. 고해상ㆍ고정밀 3차원 영상을 위한 초고속 OCT 이미징
8. 동맥경화증 연구 및 취약성 죽상반 특성화를 위한 3D-OCT의 활용
9. 3차원 광단층 영상을 활용한 혈관내 전단응력 영상화
10. 결론

PART Ⅲ PHYSIOLOGY

01 Hyperemic or Non-hyperemic FFR Incides:여러 종류 및 해석의 차이
1. 서론
2. 비충열 압력비(Non-hyperemic pressure ratio, NHPR)
3. 요약 및 결론

02 좋은 FFR data 얻기: Hyperemia 준비 및 여러 오류, artifact 해결방법
1. FFR 측정 전 환자 선별
2. FFR 측정 표준화
3. 압력차이 역전(Reversed pressure gradient)
4. 카테터 관련 문제
5. 압력 이동(Pressure drift)

03 중등도 협착 병변(Intermediate Lesions)에서 FFR의 활용
1. 중등도 협착 병변(Inetermediate lesion)의 정의와 특성
2. 중등도 협착 병변에서 조영술의 제한점
3. 다양한 중등도 협착 병변들에서 서로 분획혈류예비량의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
4. 중등도 협착 병변에서 분획혈류예비량의 역할
5. 중등도 협착 병변에서 FFR의 예후 예측 능력을 보여 준 대표적 임상시험들
6. 충혈유도를 생략하려는 노력들
7. 컴퓨터 기반의 기법들
8. 결론

04 분지부 병변(Bifurcation Lesions)에서의 FFR의 활용
1. 분지부 병변의 생리학적 평가 시에 고려해야 할 점
2. 어떤 병변에서 FFR을 측정해야 하는가?
3. 분지부 병변에서 FFR의 측정
4. 분지부 병변에서 비충혈 압력비의 사용
5. 분지부 병변에서 FFR 기반 치료 전략의 임상 성적

05 좌주간부 및 다혈관질환에서의 FFR의 실제활용
1. 좌주간부 질환에 대한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의 현 주소
2. 좌주간부 질환의 진단
3. 좌주간부 질환에서 FFR의 측정
4. 임상연구
5. 다혈관 질환에서의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시술의 현주소
6. 다혈관질환에서의 FFR의 사용

06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에서의
분획혈류예비력(Feactional Flow Reserve)의 실제활용
1. 서론
2. STEMI 환자에서 완전재관류 전략과 원인혈관만 치료하는 전략의 비교
(Complete Revascularization versus Culprit-only Revascularization in STEMI)
3. 최적의 완전재관류 시기(Timing of Complete Revascularization After STEMI)
4. 완전재관류를 위한 비원인혈관 치료의 기준(Selection of Non-Culprit Lesions for Complete Revascularization)
5. 비원인혈관 시술의 결정을 위한 관상동맥 조영술상의 협착과 생리학적 지표
(Angiography-versus Physiology-guided Revascularization of the Non-Culprit Vessel)
6. 결론 및 향후 연구의 진행방향(Conclusions and Future Directions)

07 FFR을 이용한 Post-PCI 최적화(Post-PCI FFR Optimization) 방법
1. 서론
2. 시술 후 생리학적 평가의 필요성
3. 시술 후 해부학적인 결과와 기능적 결과와의 관계
4. 시술 후 FFR과 환자의 예후와의 관계
5. 시술 후 FFR의 적절한 기준
6. 시술 후 FFR의 임상에서의 활용
7. 맺음말

08 CT-FFR, QFR, and Other Non-invasive Physiology의 실제활용
1. 서론
2. CT-derived FFR의 활용
3. Angiography-derived FFR의 활용
4. 결론 및 미래 전망(Conclusions and future perspectives)

PART Ⅳ CT, MRI & NUCLEAR STRESS TESTING

01 Coronary CTA 유용성의 임상증거와 전망
1. Coronary CT angiography의 유용성
2. CT-FFR의 역할
3. CT myocardial perfusion imaging
4. CAD-RADS

02 Coronary CTA의 반정량적 분석(Semiquantiative Analysis)
1. Window width/level 조정
2. Coronary segmentation
3. Plaque의 정의
4. Plaque의 길이(Length) 및 성상(Composition)
5. High risk plaque
6. Coronary stenosis 평가
7. Coronary CTA의 반정량적 평가의 report

03 Coronary CTA의 정량적 분석(Quantitative Analysis)
1. 서론
2. 침습적 혈관내 영상 대비 coronary CTA의 장점
3. 3차원 체적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coronary CTA의 정량적 분석
4. 정량적 coronary CTA 분석의 임상적 의의
5. Perivascular adipose tissue의 분석을 통한 혈관 염증(vascular inflammation)의 정량적 평가
6. 정량적 coronary CTA 분석의 제한점
7. 결론

04 CT Perfusion and FFR-CT의 실제활용
1. 서론
2. 전산화단층촬영 심근관류검사(CT perfusion, CTP)
3. FFR-CT
4. 기능적 분석 기법의 장단점과 선택
5. 결론

05 Stress Nuclear Imaging (Including PET)의 실제활용
1. 부하가 심근관류와 관상동맥혈류 예비력
2. 심근관류 SPECT 영상장비
3. SPECT용 방사성의약품 및 검사프로토콜
4. 심근관류 SPECT의 해석
5. 심근관류 SPECT의 임상적 활용
6. 심근관류 PET
7. 심근관류 PET의 임상적 활용

06 Stress Cardiac MRI의 실제활용
1. 서론
2. Stress CMR의 원리 및 검사방법
3. Stress CMR의 진단 정확도
4. 예후 예측 및 치료방침 결정에서 stress CMR의 유용성
5. Stress CMR의 판독방법 - 육안분석
6. Stress CMR의 판독방법 - 반정량 및 정량분석
7. 결론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