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헌성리설 2 또는 왜 지속가능한 디지털 공동체인가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0
0
본문
여헌성리설 2

도서명 : 여헌성리설 2
저자/출판사 : 장현광, 학자원
쪽수 : 346쪽
출판일 : 2023-06-30
ISBN : 9791162473023
정가 : 28000
일러두기ㆍ4
여헌성리설 제4권
4.1 경위설經緯說ㆍ11
4.1.1 경(經)과 위(緯)가 리(理)와 기(氣)를 비유할 수 있음을 논하다ㆍ11
4.1.2 리(理)와 기(氣)가 경(經)과 위(緯)가 됨을 논하다ㆍ18
4.1.3 최상(最上)의 경(經)과 위(緯)를 논하다ㆍ39
4.1.4 하늘과 땅의 경(經)과 위(緯)를 논하다ㆍ48
4.1.5 사람에게 있는 경(經)과 위(緯)를 논하다ㆍ64
4.1.6 리(理)와 기(氣)의 경(經)과 위(緯)를 거듭 논하다ㆍ75
4.1.7 경전(經傳)을 차례대로 인용하다ㆍ81
여헌성리설 제5권
5.1 경위설총론經緯說總論ㆍ159
여헌성리설 제6권
6.1 경(經)과 위(緯)를 배설한 글에 대한 서 經緯排說帖序ㆍ205
6.2 리(理)가 기(氣)의 경(經)이 됨을 배설(排說)한 첩 理爲氣經排說之帖ㆍ206
6.3 기(氣)가 리(理)의 위(緯)가 됨을 배설(排說)한 첩 氣爲理緯排說之帖ㆍ216
6.4 경(經)과 위(緯)가 하나임을 배설(排說)한 첩 經緯合一排說之帖ㆍ225
6.5 성(性)과 정(情)이 경(經)과 위(緯)가 됨을 배설(排說)한 첩 性情爲經緯排說之帖ㆍ229
旅軒性理說 卷4 校勘ㆍ標點
4.1 經緯說ㆍ239
4.1.1 論經緯可以喩理氣ㆍ239
4.1.2 論理氣爲經緯ㆍ242
4.1.3 論最上經緯ㆍ250
4.1.4 論天地經緯ㆍ254
4.1.5 論在人經緯ㆍ259
4.1.6 中論理氣經緯ㆍ262
4.1.7 歷引經傳ㆍ265
旅軒性理說 卷5 校勘ㆍ標點
5.1 經緯說總論ㆍ299
旅軒性理說 卷6 校勘ㆍ標點
6.1 經緯排說帖序ㆍ325
6.2 理爲氣經排說之帖ㆍ326
6.3 氣爲理緯排說之帖ㆍ331
6.4 經緯合一排說之帖ㆍ337
6.5 性情爲經緯排說之帖ㆍ340
왜 지속가능한 디지털 공동체인가

도서명 : 왜 지속가능한 디지털 공동체인가
저자/출판사 : 현광일, 살림터
쪽수 : 280쪽
출판일 : 2023-03-13
ISBN : 9791159302510
정가 : 17000
서문 몸, 언어, 기계의 삼중주, 지속가능한 삶 _ 4
1부 삶의 발생과 몸의 체험 구조
삶의 발생으로서 개체화 _ 20
인간 개체성의 발견 |
비고츠키와 메를로퐁티의 개체발생
삶의 존재론적 개체화 _ 35
시몽동의 개체화론 |
들뢰즈의 개체화론
몸으로 체험하는 개체화 _ 51
감각, 감정, 정동의 존재론 |
개체화의 체험 구조
2부 언어와 삶의 존재론적 전환
언어와 삶의 발생과정 _ 84
언어와 몸의 개체발생 |
언어활동과 문화 형성
삶의 존재론적 전환 _ 113
하이데거의 존재론적인 삶 |
문화의 존재 방식, 세계-내-존재
언어와 정치적 삶 _ 138
한나 아렌트의 정치적 삶 |
정치적 삶의 공적 영역
3부 디지털 기계 시대 삶의 재구성
삶의 기계 존재론 _ 162
들뢰즈와 가타리의 기계 존재론 |
욕망하는 기계의 배치와 주체성
시몽동의 기술철학
디지털 ‘기계-인간 앙상블’과 삶의 환경 _ 192
디지털‘기계-인간 앙상블’의 세계 |
푸코의 권력과 자유의 실천
정동과 다중의 존재양식
다중의‘온 마을’과 정치적 삶 _ 232
다중의 삶, ‘온 마을’ |
‘온 마을’의 세계-내-존재
정치적 삶의 세계 구성
참고문헌 _ 271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