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UNION 민소법 변호사시험 기출문제집 1: 기출편 선택형 또는 2024 해커스공무원 노신 교정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2024 UNION 민소법 변호사시험 기출문제집 1: 기출편 선택형 또는 2024 해커스공무원 노신 교정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4 0

본문




2024 UNION 민소법 변호사시험 기출문제집 1: 기출편 선택형
9791155778067.jpg


도서명 : 2024 UNION 민소법 변호사시험 기출문제집 1: 기출편 선택형
저자/출판사 : MGI,메가고시,연구소, 인해
쪽수 : 288쪽
출판일 : 2023-02-06
ISBN : 9791155778067
정가 : 19000

제1편┃총 론 ㆍ 7
제1장 민사소송법 8
제1절 민사소송법의 의의 8
제2절 민사소송법의 성격 8
제3절 민사소송법의 종류 8
제4절 민사소송법의 효력범위 8
제5절 민사소송법의 연혁 8
제2편┃소송의 주체 ㆍ 11
제1장 법 원 12
제1절 민사재판권 12
제2절 민사법원 12
제3절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12
제4절 법원사무관등에 대한 제척·기피·회피 14
제5절 관 할 14
제2장 당사자 23
제1절 총 설 23
제2절 당사자의 확정 23
제3절 당사자의 자격 31
제4절 소송상의 대리인 42
제3편┃제1심 소송절차 ㆍ 53
제1장 소송의 개시 54
제1절 소의 의의와 종류 54
제2절 소송요건 54
제3절 소송물 70
제4절 소의 제기 70
제5절 소장의 심사와 소제기 이후의 법원의 조치 70
제6절 소제기의 효과 71
제7절 소송촉진등에관한특례법상의 배상명령신청 94
제8절 소송구조 94
제2장 변 론(심리(審理)) 94
제1절 변론의 의의 및 종류 94
제2절 변론(심리)에 관한 원칙 94
제3절 사건관리방식의 신모델 111
제4절 변론의 실시 111
제5절 변론조서 111
제6절 전문심리위원제도 111
제7절 변론기일에 있어서의 당사자의 불출석 111
제8절 변론의 내용 118
제9절 기일과 기간 118
제10절 송 달 121
제11절 소송절차의 정지 128
제3장 증 거 131
제1절 총 설 131
제2절 증명의 대상 - 요증사실 131
제3절 불요증사실 134
제4절 증거조사의 개시절차와 실시 143
제5절 자유심증주의 156
제6절 증명책임 156
제4편┃소송의 종료 ㆍ 163
제1장 총 설 164
제2장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종료 166
제1절 소의 취하 166
제2절 청구의 포기·인낙 170
제3절 재판상 화해 170
제4절 조 정 171
제3장 종국판결에 의한 종료 172
제1절 재판일반 172
제2절 판결의 종류 172
제3절 판결내용의 확정·판결의 성립 및 선고 172
제4절 판결의 효력 173
제5절 종국판결의 부수적 재판 197
제5편┃병합소송 ㆍ 203
제1장 병합청구 일반 204
제2장 병합청구소송(청구의 복수) 204
제1절 청구의 병합(소의 객관적 병합) 204
제2절 청구의 변경 212
제3절 중간확인의 소 213
제4절 반 소(反訴) 213
제3장 다수당사자소송(당사자의 복수) 215
제1절 공동소송 215
제2절 선정당사자 230
제3절 집단소송 233
제4절 소송참가 233
제5절 당사자의 변경 245
제6편┃상소심절차 ㆍ 251
제1장 상 소 252
제2장 항 소 258
제3장 상 고 260
제4장 항 고 261
제7편┃재심절차 ㆍ 263
제1장 총 설 264
제2장 적법요건 264
제3장 재심사유 265
제4장 재심절차 265
제5장 준재심 265
제8편┃간이소송절차 ㆍ 267
제1장 소액사건심판절차 268
제2장 독촉절차 268
제3장 공시최고절차 268
제9편┃민사집행관련 문제 ㆍ 271




2024 해커스공무원 노신 교정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9791169995924.jpg


도서명 : 2024 해커스공무원 노신 교정학 단원별 기출문제집
저자/출판사 : 이이수, 해커스공무원
쪽수 : 404쪽
출판일 : 2023-11-01
ISBN : 9791169995924
정가 : 23000

Ⅰ 교정학의 이해
Keyword 01 교정의 범위
Keyword 02 교정의 이념과 목적
Keyword 03 수용자처우모델
Keyword 04 교정의 역사적 발전
Keyword 05 조선시대의 행형
Keyword 06 근대 및 현대의 교정행정
Keyword 07 교정조직
Keyword 08 「교도관직무규칙」
Keyword 09 교정시설
Keyword 10 수용자 구금제도
Keyword 11 교도소 사회
Keyword 12 수용자의 법적 지위와 권리
Keyword 13 수용자의 정보공개청구
Keyword 14 수용자의 권리구제수단
Keyword 15 분류와 누진처우
Keyword 16 수형자자치제도
Keyword 17 과밀수용

Ⅱ 시설 내 처우 1
Keyword 01 형집행법상 용어의 정의
Keyword 02 순회점검, 시찰 및 참관 등
Keyword 03 신입자의 수용절차
Keyword 04 구분수용
Keyword 05 독거수용
Keyword 06 수용자의 이송
Keyword 07 물품지급
Keyword 08 금품관리
Keyword 09 위생과 의료
Keyword 10 접견
Keyword 11 편지수수
Keyword 12 전화통화

Ⅲ 시설 내 처우 2
Keyword 01 종교와 문화
Keyword 02 여성수용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
Keyword 03 노인, 장애인, 외국인, 소년수용자에 대한 특별한 보호
Keyword 04 수형자의 처우, 교정시설의 구분
Keyword 05 처우등급에 따른 처우의 구분
Keyword 06 분류심사
Keyword 07 신입심사와 재심사
Keyword 08 현행법령상 경비처우급에 따른 처우
Keyword 09 교육
Keyword 10 교화프로그램

Ⅳ 시설 내 처우 3
Keyword 01 교도작업
Keyword 02 현행법상 교도작업 관련규정
Keyword 03 현행법상 직업훈련 관련규정
Keyword 04 미결수용자의 처우
Keyword 05 사형확정자의 처우
Keyword 06 보호실과 진정실 수용
Keyword 07 보호장비의 사용
Keyword 08 강제력의 행사(보안장비의 사용)
Keyword 09 무기의 사용
Keyword 10 엄중관리대상자

Ⅴ 시설 내 처우 4
Keyword 01 상우제도와 벌칙
Keyword 02 징벌제도
Keyword 03 가석방
Keyword 04 석방
Keyword 05 사회복귀 전 준비 등
Keyword 06 교정의 민간참여
Keyword 07 「민영교도소 등의 설치, 운영에 관한 법률」

Ⅵ 처우의 사회화
Keyword 01 개방처우
Keyword 02 귀휴제도
Keyword 03 외부통근제도
Keyword 04 가족 만남의 집, 가족 만남의 날, 기타 사회적 처우
Keyword 05 지역사회교정의 장점과 단점
Keyword 06 중간처우와 중간처벌
Keyword 07 사회 내 처우의 범위

Ⅶ 예상문제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