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뇌사고 또는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전뇌사고 또는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4 0

본문




전뇌사고
9788925576688.jpg


도서명 : 전뇌사고
저자/출판사 : 간다 마사노리, 알에이치코리아
쪽수 : 364쪽
출판일 : 2023-04-28
ISBN : 9788925576688
정가 : 25000

추천의 말
개정판 서문
프롤로그

1장 보이지 않는, 만질 수 없는, 느낄 수 없는 세계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솥
종잡을 수 없는 485개의 기획안
미래 부가가치를 낳을 비즈니스
더 이상 하늘을 짊어지지 않을 때
지적 게 가공선 시대
지식사회로 가는 틈새에서

2장 논리적으로 올바른 제안이 왜 실행되지 않는가?
어떤 사고 모델을 선택했는가?
전략 수립의 정석이 통하지 않을 때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를 잘 사용하기 위한 4가지 조건
사고를 체계화하는 ‘U 이론’
본질적인 문제까지의 4단계
블랙박스에서 드림박스로

3장 알아서 고객이 모이는 절대 원칙 5가지
성공하는 회사의 신기한 특징
도쿄마라톤에 출전하고 싶다는 충동
이 시대의 사업 성공 5원칙

4장 전뇌사고 모델
진공의 힘
스토리를 무기로 만드는 힘의 원천
전뇌사고 모델로 할 수 있는 것
참여하고 싶은 회의로 만드는 기술
전뇌사고 5단계(퀵버전)
소프트웨어 판매 계획 입안의 사례
U자 커브의 밑바닥에서

5장 성공을 만드는 스토리 법칙
논리 + 스토리 =∞
전략 수립 프레임워크 vs. 전뇌사고 모델
제1구조 [발상]: 즐거움으로 뇌를 활성화시켜라
제2구조 [행동]: 스토리에 빨려 들어가게 하라
제3구조 [결과]: 곡선을 통해 피드백하라

6장 실행을 부르는 논리적 사고
생각은 피곤하다?
목적과 도구가 불일치할 때
가설 실행 과정의 요점
행동하는 논리적 사고 ②: 납득하게 한다
행동하는 논리적 사고 ①: 이해하게 한다
행동하는 논리적 사고 ③: 응원하게 한다

7장 벽을 뛰어넘는 기술
고등학생과 함께한 주말 회의
미래를 만드는 환경을 찾아라
이미지를 사고하는 습관을 만들어라
비즈니스에서 CPS를 활용하라
CPS의 6단계
실험: CPS 체험
응용: 기업 전략을 이미지로 생각하는 실험과 해석
확산사고와 수렴사고의 통합
전뇌사고 모델에서 CPS를 활용하는 법

8장 세상을 뒤흔드는 마케팅
순간을 표현하라
이면의 배경을 주목하라
움직임은 속삭임에서 태어난다
움직임을 일으킨 편지 한 통의 힘
고객이 모이지 않는 이유
만남의 심층 배경을 확인하라
통찰력을 높여라
예외가 움직임을 일으킨다
이 책을 통한 우리의 심층 배경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9788999728860.jpg


도서명 : 한국에서 장애학 하기
저자/출판사 : 조한진 , 김경미 , 강민희 , 정은 , 곽정란 , , 학지사
쪽수 : 400쪽
출판일 : 2023-03-30
ISBN : 9788999728860
정가 : 20000

제2판 서문
제1판 서문

제1부 장애와 장애학

제1장 장애학의 개관
Ⅰ. 서론
Ⅱ. 왜 장애학이 필요한가
Ⅲ. 장애학의 발전
Ⅳ. 장애학이란 무엇인가
Ⅴ. 장애학의 원칙
Ⅵ. 장애학의 접근법
Ⅶ. 결론
참고문헌

제2장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Ⅰ. 서론
Ⅱ. 개념적 틀
Ⅲ. 개념적 틀의 적용: 장애의 정의·분류·측정
Ⅳ. 결론
참고문헌

제3장 장애의 이론적 틀
Ⅰ. 서론
Ⅱ. 장애의 개별적 모델
Ⅲ. 장애의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Ⅳ. 장애 이론을 위한 네 가지 패러다임과 그 변형
Ⅴ. 페미니스트 장애 이론
Ⅵ. 상대적 상호작용론 관점
Ⅶ. 결론
참고문헌

제4장 장애 연구 방법: 질적 연구 방법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연구 방법의 철학적 가정과 연구 패러다임의 유형
Ⅲ. 질적 연구의 접근 방법
Ⅳ. 질적 연구 방법의 절차 및 관련 이슈
Ⅴ. 발달장애인과 함께 연구하기
Ⅵ.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장애의 맥락

제5장 장애의 정치경제학
Ⅰ. 서론
Ⅱ. 정치·경제의 결과물로서의 장애
Ⅲ. 통제와 배제의 메커니즘으로서의 사회 정책
Ⅳ. 사회 정책의 의도하지 않은 결과
Ⅴ. 결론
■ 참고문헌

제6장 장애 정체감·자부심, 그리고 장애 문화의 가능성의 탐색
Ⅰ. 서론
Ⅱ. 장애 정체감에 대한 이해
Ⅲ. 장애 정체감을 둘러싼 논의들
Ⅳ. 장애 자부심에 바탕을 둔 장애 문화의 가능성
Ⅴ. 결론
참고문헌

제7장 장애와 문화: 그 역사적 질곡과 복원에의 염원
Ⅰ. 서론
Ⅱ. 장애 문화의 지역적 다양성과 역사적 굴곡
Ⅲ. 농문화와 이에 대한 관점
Ⅳ. 종래의 관점에 대한 반동으로서의 장애 문화 운동
Ⅴ. 문화 향유의 객체 내지 주체로서의 장애인
Ⅵ. 결론
참고문헌

제8장 장애의 윤리학에 관한 소고
Ⅰ. 서론
Ⅱ. 윤리적 인식에 있어서 패러다임의 전환
Ⅲ. 우생학
Ⅳ. 장애 예방
Ⅴ. 안락사
Ⅵ. 21세기 새로운 우생학: ADHD에 대한 현대 사회의 대처
Ⅶ. 결론
참고문헌

제9장 근·현대 장애인복지 제도를 통해 본 한국 장애인의 역사
Ⅰ. 서론
Ⅱ. 일제 강점기: 방치와 격리 수용 그리고 훈육의 시작
Ⅲ. 한국전쟁: 충성을 둘러싼 장애인의 구분
Ⅳ. 1960∼1970년대: 산업 발전, 그리고 장애인에게 강요된 인내
Ⅴ. 1980∼1990년대: 복지 수혜자로서의 장애인
Ⅵ. 2000년대: 중증장애인, 세상 밖으로 나오다
Ⅶ. 결론
참고문헌

제10장 한국 장애인운동의 역사
Ⅰ. 서론
Ⅱ. 부모와 전문가에 의한 운동(1960∼1985년)
Ⅲ.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준비(1986∼1987년)
Ⅳ. 사회 변혁적 장애인운동의 실천(1988∼1989년)
Ⅴ. 사회 변혁 운동의 유지를 위한 조직 통합과 해체(1990∼1998년)
Ⅵ. 중증장애인 운동과 장애인운동의 대통합(1999∼2007년)
Ⅶ. 결론
참고문헌

제3부 장애여성과 장애아동

제11장 장애여성의 생애 경험: 억압과 자기재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한국 장애여성의 사회적·경제적 현황
Ⅲ. 장애여성의 경험과 관련된 이론적 설명
Ⅳ. 한국 장애여성의 경험들
Ⅴ. 결론
참고문헌

제12장 장애아동과 교육
Ⅰ. 서론
Ⅱ. 특수교육학의 장애 이해 관점에 대한 비판적 성찰
Ⅲ. 장애인 교육관의 재정립
Ⅳ. 결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