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식 기행, 소울푸드를 만나다 또는 시간의 아르페지오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7
0
본문
탐식 기행, 소울푸드를 만나다

도서명 : 탐식 기행, 소울푸드를 만나다
저자/출판사 : 최원준, 산지니
쪽수 : 304쪽
출판일 : 2023-10-20
ISBN : 9791168611788
정가 : 20000
들어가며
1장 소울푸드, 지친 몸과 마음을 위로하다
소박한 칼국수가 주는 위로 시장칼국수
경남의 메밀 음식을 찾아서 진주냉면, 의령소바
모자람 없이 넉넉했던 그 시절의 기억 김칫국
팔팔 끓는 시락국에 밥 한 덩이 척 시래기와 시락국
찬바람 불면 생각나는 포장마차의 밤 홍합(담치)
오랜 추억의 주전부리 영도 조내기 고구마와 빼때기죽
젯밥에 관심이 갈 만허네 제삿밥과 전찌개
소고기를 대신했던 그 시절 고래의 맛 울산 장생포 고래탕
몰래 뒤로 빼돌려 먹던 돼지고기 김해 돼지 뒷고기와 뒷통구이
생고기의 미학, 양념은 거들 뿐 울산 봉계한우
통영 바다를 한 상에 올리다 통영 다찌
뭘 내놓을지는 주인장 맘이라오 진주 실비
상다리가 휘어지는 풍경 창원 마산 통술
2장 소울푸드, 몸과 마음을 따뜻하게 녹이다
경상도식 장터 소고기국밥 한 그릇 함안 소고기국밥
노포의 구들방을 차지한 가마솥에서 끓여내는 국밥의 맛이란 의령·합천 장터국밥
12가지 맛을 품다 울산 언양 소머리국밥
총쟁이국밥 먹으러 장터에 간다 고성 총쟁이국밥
산채음식과 절밥의 오묘한 조화 양산 약선밥상
뚝배기 한 그릇에 몸도 마음도 스르르 녹는다 통영 쫄복과 도톨복
우포늪의 넉넉한 품이 내어주는 식탁 창녕 우포늪 붕어밥상
한옥고택서 내온 200년 비법의 술상 합천 고가송주(古家松酒) 술상
맹독 속에 숨겨진 맑고 시원한 맛 통영 쑤기미탕
술꾼 아재는 이 못난이를 사랑한다네 창원 마산 탱수국
3장 소울푸드, 바다와 강이 차려낸 식탁
달콤쌉쌀한 멍게의 맛 통영 멍게
벚꽃 흐드러질 때 벚굴도 만개한다 섬진강 벚굴
볼이 미어지도록 봄 바다 크게 한 쌈 영도 곰피와 기장 다시마
짭조름한 낙동강 봄의 별미 낙동강 갱갱이젓
향토음식의 재발견, 맛깔난 수어秀魚 가덕숭어
봄이면 거제 밥상에 피어나는 바다 붉은 꽃 거제 씸벙게(왕밤송이게)
입천장이 데어도 포기할 수 없다 창원시 진동 미더덕
바다에서 건져낸 칼국수 면발(?) 남해·삼천포 앵아리
여름 해조류, 푸른 바다의 맛 해초밥상
기장 아지매의 수고로움을 먹다 기장 까시리
수조기 짝 찾는 울음소리 서낙동강 수조기
밥상 위에 조개꽃이 피었습니다 서낙동강 하구 갯벌조개
백사장에서 만난 여름 밥도둑 금게
낙동강 사람들 여름 입맛 돋우는 짭조름함 을숙도 밀기
욕지 앞바다는 고등어를 키운다 통영 욕지도 고등어
청마가 사랑한 ‘토영’의 소울푸드 통영 볼락
4장 소울푸드, 싱그러운 산과 들의 식탁
유년 시절 붉게 물들였던 빨간 맛의 추억 김해 산딸기
지리산 흑돼지구이도 조연이 된다 지리산 봄나물
밥상에서 맞이하는 생동하는 봄 푸새 남새 구첩반상
허기진 옛 추억을 채우는 보리밥 한상 밀양 보리밥
가지마다 줄기마다 매달린 농익은 봄 나무순 나물
햇빛과 바람이 만든 슬로푸드 묵나물
‘파김치’된 당신에게 봄이 내린 선물 기장 쪽파
오메, 밥상에 단풍 들었네 양산 단풍콩잎장아찌
겨울 난 몸을 파릇하게 일깨우다 양산 곰취와 곤달비
시간의 아르페지오

도서명 : 시간의 아르페지오
저자/출판사 : 김진희, 소명출판
쪽수 : 435쪽
출판일 : 2023-03-15
ISBN : 9791159057618
정가 : 32000
서문
삶과 언어가 만드는 시간의 화음
제1부
희망의 기원과 서정의 힘
김수영 | 인류의 미래를 추동하는 힘, 자유와 사랑
황동규 | 우주적 삶과 생명의 리듬
허영자 | 간절하고 정직한, 투명의 정신
김초혜 | 자연과 생명을 꿈꾸는 꽃의 여정
정희성 | 시인 존재론의 탐구와 그리움의 시학
오규원 | 인간에서 언어로, 그리고 자연에 이르는 길
고정희 | 시로 쓰는 여성의 이야기
이우걸 | 현대시조의 서정과 격조
김준오 | 문학사의 지평과 서정의 시대성
도정일 | 역사·인간·공생을 향한 실천비평
제2부
문학사의 지평과 생성의 시학
공감(共感)의 시학과 서정의 윤리
베트남전(戰)을 기억하다
모던·도시·영화로 읽는 한국시
산문시의 변주와 미학
동일성의 시학과 그 이후
21세기 여성시학의 탐구
제3부
기억의 연대와 미래의 언어
희망과 공존을 찾아가는 생(生)의 노래 | 오성호
그 푸르른, 영원한 것 하나 | 전동균
시간을 사는 존재와 언어 | 강기원·최하연
시의 ‘먼 나무’에 피어나는 얼굴들 | 조말선
소곤거리는 기억의 말들 | 강윤후
미래의 언어로 살아오는 추억들 | 박미산
평론의 출처와 원제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