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건축이론(1673-1968) 또는 학교과학교육담론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01
0
본문
근대건축이론(1673-1968)

도서명 : 근대건축이론(1673-1968)
저자/출판사 : 해리 프랜시스 몰그레이브, 시공문화사
쪽수 : 824쪽
출판일 : 2023-06-26
ISBN : 9788955924725
정가 : 38000
도판목록
서문
목차
제1장 서론
1. 프랑수아 블롱델과 프랑스 아카데미 전통
2. 클로드 페로와 루브르
3. 고대인과 현대인의 다툼
4. 생트 쥬느비에브 교회를 위한 첫 번째 프로젝트
제2장 계몽운동과 신 고전주의 이론
1. 프랑스의 계몽운동
2. 수플로와 생트 쥬느비에브 교회
3. 마크 앙투안 로지에
4. 그리스의 “재발견”
5. 빙켈만의 역사 기록학
6. 그리스-로마 논쟁
7. 신고전주의와 성격
제3장 18세기 영국이론
1. 존스와 렌의 유산
2. 팔라디오 운동
3. 픽처레스크와 숭고의 기원
4.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의 계몽운동
5. 픽처레스크 이론
6. 존 소안
제4장 신 고전주의와 역사주의
1. 듀랑과 콰트르메르 드 켕시
2. 다색 논쟁
3. 사회주의, 낭만주의, 그리고 ‘작은 혁명’
4. 영국의 고전주의와 고딕 부흥
제5장 독일 이론의 부상
1. 독일 계몽운동
2. 프리드리히 길리와 카를 프리드리히 슁켈
3. 바인브렌너, 몰러, 클렌체, 게르트너
4. 어떤 스타일로 지어야 하는가?
5. 카를 뵈티허와 스타일 논쟁
제6장 세기 중반의 상충되는 노선들
1. 영국의 스타일 논쟁 1 840-1860
2. 비올레 르 뒤크와 프랑스의 논쟁
3. 고트프리트 젬퍼와 스타일에 대한 생각
제7장 미국의 역사주의
1. 미국 고전주의의 전통
2. 세기 중반의 스타일상의 다원론
3. 에머슨과 그리노
4. 데이비스와 다우닝
5. 리처드슨과 설리번
제8장 미술공예운동
1. 영국 미술공예운동
2. 유럽 대륙에서의 국내 개혁들
3. 미국에서의 개혁운동들
4. 카밀로 지테와 에버니저 하워드
제9장 20세기 독일 모더니즘의 몇 가지 개념적 토대에 관한 설명
제10장 모더니즘 1889-1914
1. 오토 바그너
2. 리얼리즘과 Sachlichkeit
3. 엔델과 반 데 벨데
4. 올브리히, 호프만, 로스
5. 베를라헤와 라이트
6. 가르니에, 페레, 잔느레, 산텔리아
7. 무테지우스와 베렌스
제11장 유럽 모더니즘 1917-1933
1. 슈펭글러주의 대 테일러주의
2. 소비에트 합리주의와 구축주의
3. 데 스틸과 네덜란드 모더니즘
4. 표현주의와 바우하우스
5. 르코르뷔지에와 기디온
6. 초기 모더니즘 운동의 외연
7. 바이센호프와 CIAM
제12장 미국 모더니즘 1917-1934
1. 미국의 마천루
2. 라이트: 잃어버린 날들
3. 쉰들러와 노이트라
4. 멈퍼드와 풀러
5. 인터내셔널 스타일 전시회
제13장 불황, 전쟁 그리고 여파 1934-1958
1. 독일과 이탈리아의 전체주의
2. 유럽 여타 지역의 전쟁 전 이론
3. 미국의 실무와 아카데미 개혁, 1 934-1941
4. 1940년대와 1950년대의 미국
5. 남아메리카, 아시아, 유럽의 전후 모더니즘
제14장 유럽에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도전들, 1959-1967
1. CIAM과 팀 X
2. 근대운동에서 이탈한 이탈리아의 “후퇴”
3. 밴험, 아키그램, 메타볼리즘 및 기타 유토피아주의
4. 현상학, 구조주의, 기호학
5. 웅거스, 스털링, 스카르파, 로시
제15장 미국에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도전들
1. 멈퍼드, 제이콥스, 그리고 미국 도시의 실패
2. 패턴 언어에서 역경까지
3. 루이스 칸
4. 콜린 로우, 피터 아이젠만, C ASE
5. 건축의 복합성과 대립성
맺는말
주석
찾아보기
학교과학교육담론

도서명 : 학교과학교육담론
저자/출판사 : 이선경,신명경, 북스힐
쪽수 : 279쪽
출판일 : 2023-04-20
ISBN : 9791159715044
정가 : 16000
Chapter 1 과학교육의 본질과 가치
Chapter 2 과학의 본질
Chapter 3 과학에 대한 다양한 관점
Chapter 4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핵심 역량
Chapter 5 지식의 인식론적 관점과 과학학습
Chapter 6 논변과 개념변화
Chapter 7 과학 수업에서의 담화
Chapter 8 비형식 과학학습이란 무엇인가?
Chapter 9 과학탐구를 위한 과학 글쓰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