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수의 바다 이야기 또는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찬수의 바다 이야기 또는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35 0

본문




찬수의 바다 이야기
9791192945941.jpg


도서명 : 찬수의 바다 이야기
저자/출판사 : 전찬수, 명성서림
쪽수 : 128쪽
출판일 : 2023-10-20
ISBN : 9791192945941
정가 : 10000

1부 늙은 소년의 바다

늙은 소년의 바다 ● 10
일기장을 넘기며 ● 11
늙은 소년이 살아온 백발 ● 12
팔베개하고 안목 바다에 눕다 ● 14
하찮은 일로 아픈 마음 ● 16
잠가 둔 것을 누구인가 ● 17
사랑을 말할 사람 ● 18
등대를 찾았다 ● 19
사랑은 파도 넘어 ● 20
갈매기처럼 운다 ● 21
늙은 소년의 일기 ● 22
삶의 휴식처 안목 바다 ● 23
누군가 말했다 ● 24
혼자가 아니다 ● 25
사랑이 빛나는 바다 ● 26
고독한 늙은 소년 ● 27
피할 수 없는 시련을 ● 28

2부 안목 바다는 내 친구

안목 바다는 내 친구 ● 30
늙은 소년 인생살이 ● 31
추억이 숨 쉬는 안목 바다 ● 32
안목 바다는 내 친구 ● 33
영화 주인공처럼 ● 34
구겨진 마음의 하얀 몸부림 ● 36
바다와 갈매기 ● 37
웃음은 고아한 늙음 ● 38
품위 있는 안목 바다 ● 40
나를 느끼게 하는 안목 바다 ● 41
그럴까요? 대답 ● 42
표현하며 뱉으라 하네 ● 44
연습은 예방주사이다 ● 46
살아있다는 거친 호흡 소리 ● 47
불행은 눈물로부터 시작된다 ● 48
감정은 돈으로 느낄 수 없다 ● 49
낚시꾼 두 사람이 술에 취해 ● 50
팔자가 혼자 사는 업보다 ● 52

3부 바다에 안긴 후 늙은 소년은

늘 마음속에서 그리워하는 ● 54
눈이 뒤집혀 착란에 빠져다 ● 55
바다에서 꽃길을 찾을 수 없듯이 ● 56
마음도 같이 늙어가고 싶다 ● 58
마지막인 것처럼 등 돌려가지만 ● 60
밥그릇 챙겨야겠습니다 ● 61
세월 잃었던 신세타령 ● 62
이런 친구 만나고 싶네 ● 63
불빛을 밝혀 줄까 말까 ● 64
사랑을 얻기 위한 글을 ● 65
삶의 질곡에서 멈추는 것은 ● 66
갈매기 등에 업혀 날고 싶어라 ● 67
자신의 안에서 인연이라면 ● 68
마음에 색깔을 가진 것들 ● 69
안목 바다야! ● 70
생각을 수술하면 될까? ● 71
일출의 알사탕을 입속에 ● 72
인생 길목에서 완성은 없다 ● 73
바다에 안긴 후 늙은 소년은 ● 74


4부 등대에 욕하지 말라

빨간 알사탕을 먹다 ● 76
바다에서 무엇 해 줄 것보다는 ● 77
가을 ● 78
간지러운 미소를 머금네 ● 80
빨강 잎은 가슴에 붙여 심장 ● 81
마음도 촉촉이 적셔서 줄 때 ● 82
가을비가 내리면 ● 83
작은 몸 가누고 숨소리 거두던 꽃잎 ● 84
등대에 욕하지 말라 ● 85
보석 보자기 풀어 보라고 한다 ● 86
누가 함께 느낄 수 있다고 할까? ● 88
생명은 장난감이 아니므로 ● 89
갈매기처럼 울었다 ● 90
가을이 오는 문턱에 ● 91
인생의 길에 물약은 처방전 ● 92
내가 사는 안목 바다 ● 94
햇살 퍼지는 알사탕 숲으로 ● 95
삶에 절묘한 쇼 같은 인생길 ● 96
웃음 생화 꽃을 만들지 말자 ● 98

5부 바다에 오면 주인 되어라

바다에 오면 주인 되어라 ● 100
어떤 열매를 맺었느냐고 ● 102
엉뚱한 길을 찾는가 ● 104
가진 마음을 모두 잃기 전에 ● 106
네 숨결이 뜨거워진다 ● 108
나락에 떨어질 때 ● 109
사랑을 느끼는 순간 ● 110
바다의 혼과 나의 혼이 ● 111
또다시 빈손으로 떠나는구나 ● 112
꼭 지키며 살아가고 싶다 ● 113
바다에서 혼자 청승인지 ● 114
계속 말을 하는 곳은 여기뿐 ● 116
비양심적인 얄팍한 마음 ● 118
만나야 할 사람 ● 119
조용하게 앉아 내 말 들어봐 ● 120
바다야 너는 힘이 세니 ● 122
안목 바다에 오는 것은 ● 124
품에 있을 때 초록빛 인생 ● 126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
9791169191111.jpg


도서명 : 공자와 미국의 건국(상)
저자/출판사 : 황태연, 한국문화사
쪽수 : 896쪽
출판일 : 2023-04-10
ISBN : 9791169191111
정가 : 69000

▶머리말
▶서론


제1장 공자와 미국의 국부들

제1절 “유교적 혁명가” 벤저민 프랭클린의 공자 학습과 중국연구
1.1. 프랭클린의 유교적 수신과 공자철학의 보급 활동
■ 프랭클린의 중국학습 노력
■ 프랭클린의 「자유와 필연, 쾌락과 고통에 관한 논고」
■ 프랭클린의 최초의 유교적 수신 시도
■ 「중국철학자 공자의 도덕(The Morals of Confucius, a Chinese Philosopher)」의 내용분석
■ 자기도야를 위한 프랭클린의 13개 덕목 리스트
■ 식민지 주민에 대한 프랭클린의 도덕·정치철학 교육과 수신기술의 보급
■ 유교적 덕성주의에 대한 프랭클린의 확신과 덕성철학의 보급 노력
■ ‘미국유생’ 프랭클린의 ‘효제·효자’·‘신상紳商’으로서의 삶
1.2. 공자의 “정자정야政者正也”와 프랭클린의 “정직은 최선의 정치다”
■ “Honesty is the best policy”의 유교적 전의: ‘진실’에서 ‘도의’로
■ “Honest is the best policy”는 개신교 윤리인가?
1.3. 프랭클린의 중국통치제도 연구와 활용
■ 「중국으로부터의 편지(A Letter from China)」(1788)
■ 중국사법司法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중국법전 입수를 위한 외교 구상
■ 중국의 국가통계제도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통계제도 도입 촉구
■ 중국의 영예상향 원칙을 활용한 프랭클린의 ‘귀족공화국’의 저지
■ 중국의 경제정책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도입 노력
■ 노예해방의 원칙수립과 관철노력
1.4. 프랭클린의 중국농업·산업기술 연구와 보급
■ 프랭클린의 중국식물 도입
■ 도자기와 도예기술에 대한 프랭클린의 관심과 연구
■ 중국 양잠기술의 연구와 도입
■ 중국식 난방시스템의 도입과 개량
■ 중국 항해·제지기술의 연구와 만리장성의 축성 계획 및 중국 연鳶의 모방

제2절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 시누아즈리
2.1. 토마스 제퍼슨의 공자철학과의 접촉
■ 토마스 제퍼슨의 정치철학과 공자철학의 연속성과 친화성
■ 제퍼슨과 공자철학의 이른 조우와 활용
2.2. 공자철학과 제퍼슨의 계몽철학 간의 구체적 연관
■ 공자의 “정자정야”와 제퍼슨의 “통치의 전 기술은 정직함의 기술에 있다”
■ 대통령 취임연설에서 개진된 유교적 도덕원칙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관
■ 제퍼슨의 유교적 종교자유론
■ “A Benign Religion”의 정체
■ 제퍼슨의 유교적 선정善政 개념
■ 제퍼슨의 유교적 행복국가론
■ 대통령 제퍼슨의 스크랩북과 「아주 오래된 중국 송시」
2.3. 중국 신사제도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개념 및 교육이론
■ 중국의 ‘신사’와 제퍼슨의 ‘자연적 귀족’
■ 신시내티협회의 귀족제 도입 기도에 대한 제퍼슨의 저지
■ 제퍼슨의 중국식 근대 교육제도 법안
■ 제퍼슨의 버지니아대학교 설립
■ 제퍼슨의 근대적 학교제도 법안의 전위적 성격과 사후적 실현
2.4. 봉건적 장원 청산과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분투
■ 제퍼슨이 읽은 르콩트와 뒤알드의 중국론: “노비 없는 소농사회”
■ 17-18세기 중국의 “노예 없는 소농사회”, 그 형성과 발전
- 노비해방과 이중소유권: 소농경제와 경자유전 원칙의 확립
■ 버지니아 토지개혁과 소농체계 수립을 위한 제퍼슨의 분투
■ 노예제 폐지를 위한 제퍼슨의 입법화 투쟁
2.5. 제퍼슨의 시누아즈리와 중국정원의 애호
■ 제퍼슨의 시누아즈리 건물과 정원
■ 시누아즈리 농작물 코친차이나산 산도(밭벼)의 도입

제3절 다른 국부들의 공자숭배와 시누아즈리
3.1. 조지 워싱턴과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심과 시누아즈리
■ 조지 워싱턴의 대對중국 직접교역과 중국모방적 고립주의 및 시누아즈리
■ 위싱턴의 중국적 미감과 시누아즈리
■ 존 애덤스의 중국애호주의와 공자철학 지식
3.2. 존 제이와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과 공자숭배
■ 존 제이의 은연한 공자숭배와 중국관심
■ 알렉산더 해밀턴의 중국중시론
3.3. 제임스 매디슨, 토마스 페인과 벤저민 러시의 중국열광
■ 제임스 매디슨의 중국지식과 공자 추앙
■ 토마스 페인의 공자 숭배
■ 벤저민 러시의 공자숭배와 중국애호

제4절 건국 전후 미국 철학자·과학자·문인들의 공자추앙
4.1. 바트램, 로건, 발로우, 모스, 드링커의 공자숭배
■ 식물학자 바트램의 공자숭배
■ 책을 사랑한 철학자 제임스 로건의 공자숭배
■ 시를 쓴 법조인 조엘 발로우의 공자 존숭
■ 인문지리학자 제디디아 모스의 공자 찬양
■ 엘리자베스 드링커의 공자 찬양
■ 익명 또는 가명 필자들의 공자숭배
4.2. ‘미국의 공자’ 랄프 왈도 에머슨의 유교철학
■ 랄프 에머슨의 초월주의와 공자철학의 결합
■ 공맹철학과 중국 정치제도에 대한 에머슨의 찬양과 추종
■ 에머슨의 최초의 저서 「자연본성」에 스며있는 공자 논지들
■ 에머슨의 공자주의적 우정友情 이론
■ 에머슨의 총괄적 공자상
4.3. ‘미국 유자’ 헨리 데이비드 소로와 공자철학
■ ‘미공간 초고’ 속의 96개 공맹어록의 영역문에 대한 분석
■ 「시민불복종」의 유교적 본질: ‘무도은둔無道隱遁’으로서의 ‘시민불복종’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제1절 공맹의 자유·평등·혁명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1.1. 공자의 태생적 자유철학과 극동의 백성자치 사회
■ 치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 이념: 백성의 소극적 자유의 전제
­ 공자의 ‘덕치’로서의 ‘무위이치’와 노자의 ‘무위자연’의 차이
■ 백성의 적극적 자유로서의 ‘백성자치’ 이념과 자치제도
■ 무위無爲경제와 자유교역: 자유시장의 이념과 제도
1.2. 공자의 태생적 평등철학과 귀천 없는 중국사회
■ 공자의 자연적·태생적 평등이념(무생귀자無生貴者·무류균등無類均等)
■ 교육과 관직의 기회균등(有敎無類·士無世官) 원칙
■ 노비제의 철폐와 완전 평등사회의 구현
■ 남녀·부부·부자·군신 간의 구별과 평등
■ 선후관계·상하관계·지배관계의 구분
■ 경제적 불평등 문제와 균제均齊정책

하권



제2장 공자철학과 미국 독립사상의 형성

1.3. 공맹의 민유방본·득민득국론과 반정·혁명론
■ 민유방본론과 득민득국론
■ 공맹의 왕권민수론王權民授論과 반정·역성혁명론
1.4. 공자와 중국의 자유·평등 이념과 제도의 서천西遷
■ 명대 중국에 대한 포르투갈·스페인·이탈리아인의 보고
■ 퍼채스에서 뒤알드까지 자유·평등한 중국문화의 확산
■ 공자경전의 출판과 공자철학의 확산

제2절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자유·평등·혁명권의 선언
2.1. 영국 청교도혁명과 왕정복고기 자유·평등·관용이념의 왜곡과 망실
■ 서구 자유·평등사상과 폭군방벌론의 발아
■ 청교도혁명과 그 한계
■ 뷰캐넌·벨라르민·수아레즈·밀턴에 대한 격렬한 반동
2.2. 명예혁명과 그 한계, 그리고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 명예혁명의 의미와 그 역사적·정치적 한계
■ 로크의 위선적 자유·평등론
2.3. 무왕의 혁명선언문 「태서」와 「독립선언문」 간의 논법적 일치
■ 중국과 미국의 법철학적 친화성
■ 「미국 독립선언문」은 ‘네덜란드 독립선언문들’(1320, 1581)의 모방작?
■ 「독립선언문」과 「태서」의 논변구조의 동일성과 유사성
2.4. 「독립선언문」과 유교적 평등·자유·행복·혁명론
■ 유교적 만인평등의 선언: 성서의 불평등창조론에 대한 부정
­ 자연발생적(진화적) 자연창조론을 통한 기독교적 불평등창조론의 분쇄
■ 유교적 자유권
■ 백성의 혁명권(저항권)
■ 유교적 행복추구권의 선언

제3장 유교적 민주공화국 미국의 탄생

제1절 흄과 매디슨의 대국大國민주주의 기획과 미국의 건국
1.1. 중국 영토·인구의 방대성과 절제·자유 간의 연관에 대한 인식
■ 소국=민주정, 대국=군주정이라는 유럽의 전통적 정치공식
■ 영토와 인구가 방대한 대국에서의 인민결사체들의 중도적 절제와 자유
1.2. 흄의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과 북미 민주공화국연합의 기획
■ 「완벽한 공화국의 이념」의 내용분석
■ 작은 공화국들의 연합으로서의 대국민주공화국론과 역사적 의미
1.3. 제임스 매디슨의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 기획과 미국의 건국
■ 매디슨의 「제10 페더럴리스트 페이퍼」 분석
■ 방대한 민주공화국연합에 관한 이론의 세계사적 의미와 역할

제2절 건국 초 미국의 정치위기와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극복
2.1. 독립전쟁 참전장교들의 귀족칭호 요구와 ‘민주공화국’의 위기
■ 신시내티 장교단의 쿠데타 기도와 신시내티의 귀족제 창설 음모
■ 시민사회의 민감한 반발과 워싱턴의 고민
2.2. ‘귀족 없는 중국’ 모델을 통한 귀족제 요구의 분쇄
■ 중국의 평등모델을 통한 프랭클린의 신시내티 음모의 분쇄
■ 프랭클린과 제퍼슨에 의한 신시내티협회의 귀족제 창설 기도의 분쇄
■ 유럽에서 귀족제 폐지의 어려움과 귀족제의 끈질긴 잔존: 프랑스의 경우
2.3. 노예제와 미국의 정치적 위기: ‘민주정’이냐, ‘참주정’이냐?
■ 미주 노예제의 개관
■ 흑백분리(세그리게이션)제도
■ 혁명프랑스의 노예제 문제
■ 천민 없는 중국 평등사회 모델과 미국의 노예제 철폐

제3절 중국과의 직접통상과 미국 경제위기의 타개
3.1. 미국의 파산위기와 구명선 Empress of China 호의 출항
■ 엠프리스 오브 차이나호의 출항
■ 엠프리스호의 제원과 선원 구성, 그리고 선적화물
3.2. 대對중국 직접무역의 타개와 경제파탄 상태의 미국의 구조
■ 미중무역의 번창과 미국경제의 회복
■ 제퍼슨과 중국무역의 지속적 확대

제4장 미국의 유교적 국가제도와 시장경제

제1절 중국의 3단계 학교제도와 근대적 미국 학교의 탄생
1.1. 중국의 교육제도와 3단계 교육제도의 서천西遷
■ 중국의 공립초등학교 사학社學과 사립 초등교육기관 사숙私塾(학숙學塾)
■ 중고등학교로서의 부학府學·주학州學·현학縣學
■ 대학교로서의 국자감
■ 중국의 신사제도
■ 중국 학교제도의 서천西遷
■ 토마스 제퍼슨의 근대적 교육혁명 시도
■ 제퍼슨에 의한 버지니아대학교의 창립과 운영
■ 버지니아주의 3단계 교육제도의 확립

제2절 중국 민병제도와 미국 민병대 및 시민의 총기소유권
2.1. 중국의 농병일치農兵一致 민병제도
■ 공자의 민병일치 군제
■ 중국의 병농일치 징병제
■ 조선의 오가작통제와 병농일치 징병제
2.2. 미국의 민병대와 개인의 총기소유권
■ 중국 민병제도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흄의 분석과 민병대 강화방안
■ 흄의 중국 민병대 분석과 강화방안에 대한 토마스 제퍼슨의 숙지
■ 흄의 민병대론과 상비군 비판의 미국적 적용

제3절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와 문관우위 군사원칙의 확립
3.1.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 관료제는 서양 고유의 제도인가?
■ 필기시험의 도입
■ 중국 과거제와 영국 공무원임용고시의 도입
■ 미국의 중국식 관료제의 도입
3.2.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확립
■ 군軍에 대한 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중국적 기원
■ 영국으로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이식
■ 미국의 중국식 문관우위·문민통제 군사원칙의 전면적 관철

제4절 유럽의 유교적 ‘계몽군주정’을 본뜬 미국 대통령제
4.1. 중국 황제정의 유럽적 리메이크로서의 계몽군주정의 발전
■ 중국의 제한군주정에 대한 유럽인들의 인지와 중국의 철인치자론
■ 신新존왕주의와 절대주의(절대군주제)
■ 중국 제한군주정을 모방한 절대군주제 개혁 모델로서의 계몽군주제
4.2. 유럽 계몽군주제의 공화제적 리메이크로서의 미국 대통령
■ 미국의 공화제적 신존왕주의: 대통령제의 확립
■ 프랑스 대통령제

제5절 공자의 ‘무위이치無爲而治’와 미국의 자유시장제도
5.1.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미국 전파
■ 공맹의 무위시장론과 다르장송의 중농주의적 자유방임경제론의 확산
■ 벤저민 프랭클린과 조지 웨이틀리: 프랑스 자유방임경제론의 도입
5.2. 미국헌법의 자유교역 규정과 미국정부의 자유방임 시장경제론
■ 미국헌법의 자유경제 조항들
■ 토마스 제퍼슨의 자유방임경제론

▶결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