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출판역사의 연구방법 또는 지역 매니지먼트 효과와 재원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국출판역사의 연구방법 또는 지역 매니지먼트 효과와 재원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34 0

본문




한국출판역사의 연구방법
9788965114222.jpg


도서명 : 한국출판역사의 연구방법
저자/출판사 : 이두영, 시간의물레
쪽수 : 416쪽
출판일 : 2023-02-22
ISBN : 9788965114222
정가 : 35000

책머리에
제1장 서론-역사를 통해 배우는 지혜
1. 역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2. 기록되지 않으면 그것은 역사가 아니다
3. ‘역사의식’이 망각된 현실을 언제까지 방치할 것인가
제2장 출판역사 연구방법론
1. 시작하는 말
1) ‘출판의 역사’와 그 대상
2) 출판역사 연구의 목적
2.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1) 연구 방향
2) 연구범위와 구조
3) 출판기저 변용과 출판혁명
4) 출판기저 변용의 사례
3. 어떻게 쓸 것인가
1) 서술방법과 역사의식
2) 문명으로서의 출판역사
3) 문화로서의 출판역사
4) 산업으로서의 출판역사
4. 역사의식과 현실적 과제

제3장 출판사료 발굴과 연구방향
1. 왜, 새삼 역사인가
2. 근대출판의 사적연구 성과
3. 사료발굴과 역사연구의 과제
1) 출판역사 연구과제
2) 근대출판의 주요논점
3) 사료의 범위와 대상
4. 결 론

제4장 일제강점기 출판연구 노트
1. 일제강점기의 출판연구자료를 찾아서
1) 일본 고서적상 오끼다 씨와의 만남
2) 쏟아진 일제강점기 조선의 서점자료들
2. 일제강점기 출판연구의 사정(射程)
1) ‘일제강점기의 출판역사’를 쓰고 싶다
2) 강점기 출판역사 연구의 쟁점과 과제는 무엇인가
3) 식민통치는 무엇을 남겼는가
4)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3. 정가판매제 시행의 연원
1) 오끼다 씨를 통해 입수한 자료의 가치
2) 우리나라의 정가판매제는 1920년부터 실시되었다

4. 「한국출판의 역사」를 편찬해야 한다
1) 출판문화인에 대한 연구의 절실성
2) 고조되는 한국출판의 역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좌표

제5장 근대출판유통시스템 형성과정 연구
1. 시작하는 말
2. 기본 개념에 관한 논구
1) 출판의 ‘근대’를 보는 눈
2) ‘서적업’의 개념
3) 근대출판유통시스템의 개념과 영역
3. 근대출판유통시스템의 형성과정
1) 전국 서점망 형성과정
2) 사진으로 읽는 서적업의 발전사
3) 서점 공간구조의 발전
4) 경성 서적업의 조선인 대 재조일본인의 경쟁력
4. 균질한 ‘전국 독서권’ 탄생과 동시성의 실현
1) 문해력과 구매력
2) 철도와 통신발달과 출판발전
3) 독서대중의 형성과 출판
4) 도서관의 등장과 독서생활 증진
5. 결 론

제6장 「한국출판산업사」 편찬방법과 전개
1. 시작하는 말
2. 왜 ‘출판산업사’인가?
1) ‘출판산업사’의 개념과 본질
2) 출판시장시스템의 틀과 특징
3) ‘출판산업사’는 ‘출판문화사’와 어떻게 다른가
4) ‘출판산업사’의 필요성
3. 「한국현대출판산업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
1) 한국현대출판산업사는 ‘자랑스러운 성공의 역사’이다
2) ‘성공한 역사’의 배경과 요인
3) ‘살아있는’, ‘우리 시대’의 역사이다
4.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1) 「한국출판산업사」 편찬의 목적과 목표
2) 「한국출판산업사」의 연구방법과 전개
5. 한국출판문화진흥재단의 프로젝트에 대한 의견
1) 「한국출판산업사」 편찬사업의 보완되어야 할 사항
2) 이 사업에 대한 개인적 입장과 견해
6. 결 론

제7장 출판인 연구론
1. 왜 출판인 연구인가
2. 출판인이란 어떤 사람인가
3. 출판인의 품격, 권위, 명예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4. 바람직한 출판인상(像)

■참고문헌
■찾아보기




지역 매니지먼트 효과와 재원
9791188602605.jpg


도서명 : 지역 매니지먼트 효과와 재원
저자/출판사 : 모리기념재단 , 고바야시 시게노리, 미세움
쪽수 : 250쪽
출판일 : 2023-05-25
ISBN : 9791188602605
정가 : 18000

제1장 지역 매니지먼트 제도의 시스템과 재원, 과세
1-1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 재원의 실제
1-2 지역 매니지먼트 재원 확보 방법
1-3 해외 지역 매니지먼트의 재원과 실제
1-4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에 대한 과세 방법과 과제
제2장 지역 매니지먼트 활동의 효과를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
2-1 기대되는 효과
2-2 효과를 보는 시점
2-3 해외 BID 단체의 활동효과의 전달방식
2-4 지역 매니지먼트 단체의 활동내용과 효과의 전달방식
2-5 활동의 효과측정에 관한 조사·연구
제3장 효과를 내는 조직과 공민 연계의 방향
3-1 효과를 내는 조직의 바람직한 방향
3-2 효과를 높이는 공공과 민간의 연계 방향

column 1 미도스지 파크렛
column 2 에도 여름밤 모임: 옛 시바리큐온시 정원
column 3 주변의 성공이 방아쇠로: 함부르크 중심부의 BID
column 4 타임즈 스퀘어 광장화와 BID
column 5 신토라 거리의 ‘DESIGN ACADEMY’ 활동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