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 도시 또는 불길하면서도 매혹적인 메타버스와 ChatGPT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2
0
본문
식물의 도시

도서명 : 식물의 도시
저자/출판사 : 헬레나 도브 , 해리 아데스, 터치아트
쪽수 : 176쪽
출판일 : 2023-05-25
ISBN : 9791187936541
정가 : 28000
윌리엄 커티스와 《런던 식물상》
들어가는 말
이 책의 사용법
식물 해부학의 기초
[EAT] 영양가 높은 식물
서양민들레 / 꽃냉이 / 광대수염 / 들다닥냉이 / 큰갓버섯 / 헨리시금치 / 어스너트 / 와일드로켓 / 말뚝버섯 / 애기괭이밥 / 솔나물 / 서양쐐기풀 / 동의나물 / 샐비어 베르베나카 / 느타리 / 쓴살갈퀴 / 마늘냉이 / 방가지똥 / 개양귀비 / 오레가노 / 당아욱 / 느릅터리풀
[MAKE] 수공예를 위한 식물
큰잎빈카 / 노랑꽃창포 / 서양백리향 / 큰메꽃 / 비누풀 / 클레마티스 비탈바 / 개장미
[GROW] 기르기 좋은 식물
사두패모 / 전호 / 골고사리 / 옐로래틀 / 워터바이올렛 / 바스타드밤 / 꿀벌난초 / 더치인동 / 셈페르비붐 텍토룸 / 좁은잎해란초 / 디프사쿠스 풀로눔 / 자주꿩의비름 / 뚜껑별꽃 / 부토무스 움벨라투스 / 아이비 / 백조목초롱이끼
[KILL] 독을 품은 식물
나도독미나리 / 유럽은방울꽃 / 라눈쿨루스 불보수스 / 아트로파 벨라돈나 / 꿩복수초 / 흰독말풀 / 헬레보루스 비리디스 / 까마중 / 아룸 마쿨라툼 / 숲바람꽃 / 유럽독미나리
[HEAL] 치유의 식물
프리물라 베리스 / 크나우티아 아르벤시스 / 돌소리쟁이 / 둥근빗살현호색 / 미역고사리 / 데이지 / 저먼캐모마일 / 흰무늬엉겅퀴 / 설령쥐오줌풀 / 분홍바늘꽃 / 작은땅빈대 / 컴프리 / 서양고추나물 / 제라늄 로베르티아눔 / 질경이 / 큰톱풀 / 꿀풀
이 책을 만든 사람들
18세기 주요 후원자들
21세기 후원자들
찾아보기
불길하면서도 매혹적인 메타버스와 ChatGPT

도서명 : 불길하면서도 매혹적인 메타버스와 ChatGPT
저자/출판사 : 이용욱 , 윤형섭 , 황요한 , 백진우, 글누림
쪽수 : 352쪽
출판일 : 2023-05-15
ISBN : 9788963277103
정가 : 25000
제1부 불길하면서도 매혹적인 인공자연
1장 인공자연의 등장
2장 인공자연의 4원소와 아르트라
3장 인공자연의 공진화-‘추인’과 ‘공조’의 〈상호강화경험〉
4장 제3 기술과 인공자연
제2부 메타버스와 교육
1장 실감 미디어 시대에서 메타버스 시대로
1. 노동의 종말에서 인공 인간의 시대로
2. 현실보다 더 현실 같은 가상시대로
3. 가상의 욕망을 채워줄 메타버스 시대로
2장 메타버스와 교육
1. 메타버스 시대의 교육의 활용
2. 메타버스 시대의 교육의 변화
3. 메타버스를 이용한 효과적 교육 방법
3장 메타에듀와 인문교육
1. 메타에듀의 개념
2. 메타에듀와 인문교육
3. 메타에듀의 비전과 인재상
4. 메타에듀의 실천적 방법
제3부 ChatGPT와 교육
1장 AI 기반 사회의 도래와 미래 교육
1. 이제는 N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2. 식별 AI의 시대에서 생성 AI의 시대로
3. 생성 AI 시대의 새로운 인재상의 필요성
4. 프롬프트 리터러시 시대의 도래
5. 생성 AI 시대의 새로운 교사의 역할
2장 ChatGPT와 생성 AI 시대의 도래
1. 생성 AI의 종류와 모델
2. 생성 AI의 교육적 활용 및 시사점
3. 생성 AI의 교육적 사용의 제한점과 주의사항
3장 ChatGPT의 등장, 그리고 메타버스는 어디로 가는가?
1. ChatGPT와 메타버스 열풍의 차이
2. 메타버스 시대를 앞당기는 생성형 AI 기술
4장 GPT 시대의 교육 활용
1. 단순 노동의 인공지능 대체화?
2. 예술 창작의 자동화
제4부 ChatGPT로 글쓰기
1장 똑똑한 비서인가? 능청스러운 거짓말쟁이인가?
1. 논문 공장 돌리는 교수님
2. 똑똑한 비서
3. 능청스러운 거짓말쟁이
4.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오류
5. Credit where credit is due
2장 ChatGPT로 글 써보기
1. 글쓰기의 시작을 ChatGPT가 대신해 줄 수 있을까?
2. 주제 좁혀가기
3. 개요 작성
4. 집필하기
5. ‘내’가 없는 ‘나’의 글쓰기
에필로그 - 촘스키에게 보내는 편지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