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조여사 - 조선 여성의 숨은 역사 또는 효명작명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97
0
본문
본조여사 - 조선 여성의 숨은 역사

도서명 : 본조여사 - 조선 여성의 숨은 역사
저자/출판사 : 김상집, 보고사
쪽수 : 364쪽
출판일 : 2023-10-13
ISBN : 9791165875343
정가 : 26000
머리말
일러두기
해제: 조선의 여성, 역사가 되다
1. 김상집, 여성의 역사를 통해 미래를 전망하다
2. 현모에서 기녀까지, 열행에서 복수까지
3. 숨은 여성의 복원: 여성 중심의 서술
4. 여성 욕망의 긍정
5. 근대 여성 정체성 형성과 여성 인물의 지식 생산
서문
현모
1. 시와 그림에 뛰어난 신사임당
2. 과거 보지 않는 아들을 이해한 평산 한씨
3. 명종의 병환 중에 어머니를 보러온 아들을 꾸짖은 여산 송씨
4. 아들을 엄히 가르치고 사돈집의 흥망을 예견했던 흥양 유씨
5. 안평대군의 패망을 예견한 순흥 안씨
6. 옷 한 벌로 네 아들을 가르친 장씨
7. 눈물의 힘을 보여 준 어머니
8. 의를 격려한 이서의 어머니
9. 나라를 먼저 생각하라고 권유한 정씨
10. 아들에게 일을 주지 말라고 부탁한 최술의 어머니
11. 세 아들을 문장가로 키운 고성 이씨
12. 벼슬보다 학문에 매진할 것을 권유한 남양 홍씨
13. 아들에게 《소학》을 가르친 심봉원의 어머니
14. 아들의 충직함을 믿은 정희등의 어머니
15. 전란에 아들을 잃고도 의연했던 남이흥의 어머니 류씨
16. 아들의 뜻을 지키도록 독려한 김평묵의 어머니 장수 황씨
17. 가난에 굴하지 않고 바른 도리로 손자를 키운 평산 신씨
열녀
1. 사육신의 난에 남편을 기다리며 자결하려 한 무송 윤씨
2. 부관참시 당한 시아버지의 시신을 거둔 며느리 조씨
3. 남편이 잡혀가며 부탁한 신주를 끝까지 지킨 영일 정씨
4. 맨손으로 호랑이를 잡아 남편을 구한 김씨
5. 개를 감화시켜 내보내고 남편 제사를 지킨 이씨
6. 여진족 앞에서 강물에 빠져 죽은 이씨
7. 손을 잡히자 죽음을 택한 여인
8. 왜적을 피해 함께 죽은 올케와 시누이
9. 효와 열을 다한 여인
10. 절개로 오랑캐도 감동 시킨 김씨
11. 병자호란 때 남편을 따라 죽은 여성들
12. 임진왜란 때 죽은 여성들
13. 충신의 아내로 남고자 한 이씨
14. 왜적에게 저항하다 죽은 임씨
15. 복수할 때까지 십 년 동안 상복을 벗지 않은 정씨
16. 죽은 남편의 신뢰를 끝까지 지킨 우씨
17. 남편 제사를 정결하게 지낸 성이
18. 허벅지 살을 베어 먹여 남편의 병을 낫게 한 아내
19. 남편을 살린 율곡의 외할머니 용인 이씨
20. 율곡의 부인 곡산 노씨의 열행
21. 개가를 거부하고 죽은 한조이
22. 남편을 죽인 범인을 밝히고자 한 나계문의 아내 윤씨
23. 남편을 죽인 죄를 호소한 홍윤성의 숙모
24. 전란에 잡혀간 아들을 기다리다 목매어 죽은 양성 이씨
25. 왜적에게 저항하다 죽은 창녕 성씨
26. 역적에 협조한 시아버지의 잘못을 깨우친 며느리
27. 남편을 죽인 자에게 복수하고 임금의 인정을 받은 최씨와 딸
28. 남편에게 넓적다리 살을 잘라 먹이고 생전에 정려를 받은 이씨
29. 팔을 자르고 자결하여 정려를 받은 과부 이씨
30. 정려를 받은 두 여종 홀개와 불관
31. 남편의 복수를 한 것이 참작되어 감형된 옥례
32. 손가락을 자르고 발가락이 다 닳도록 남편의 원수를 갚은 김씨
33. 죽은 남편의 바람대로 시어머니를 정성껏 모신 신씨
34. 칼날을 무릅쓰고 왜적을 꾸짖은 민씨
35. 정성껏 제사를 지내 집안을 지킨 엄씨
36. 시가를 위해 평생 고생해야 했던 황씨
효부
1. 시아버지를 위해 기도한 임씨
2. 시조부를 살려 낸 오씨
절부
1. 남편이 참형을 당하자 식음을 전폐하고 죽은 정씨
2. 자신을 예우한 남편이 죽자 따라 죽은 박씨
3. 의리를 지켜 굶어 죽은 김씨
4. 남편이 신원된 후 죽은 김씨
5. 절명사를 남기고 죽은 정씨
6. 왜란으로 남편이 죽자 함께 굶어 죽은 고부 오씨와 정씨
7. 시아버지 봉양 마치고 남편 따라 죽은 오씨
8. 남편 죽은 후 굶어 죽음을 선택한 이씨
9. 왜적이 오자 스스로 찔러 죽은 박씨
10. 남편 장례 후 따라 죽은 임씨
11. 남편 장례 치르고 죽은 신씨
12. 남편 죽자 스스로 자결한 오씨
13. 바다에서 죽은 남편을 만나고 온 듯한 문씨
14. 왜적이 손을 잡자 손을 자르고 죽은 박제의 아내 송씨
15. 남편의 원수를 깊은 시말을 글로 써서 남기고 죽은 이씨
16. 남편의 상을 치르고 죽은 함평의 나씨
현처
1. 남편의 덕을 기려 관리들의 부의를 받지 않은 경연의 아내
2. 병졸이 보낸 달걀을 거절한 강경서의 아내
3. 부모의 상례를 철저히 지킨 정씨
4. 첩의 입장을 헤아려주고 남편의 시묘살이를 함께 한 이씨
5. 말타기 연습을 하고 남편의 유배지에 따라간 강씨
6. 유배 간 남편을 쫓아 마천령을 넘어가며 시를 지은 송씨
7. 남편 가르침을 따라서 예법을 알게 된 이원익의 아내
8. 남편에게 참된 덕을 권한 강정일당
9. 우여곡절 끝에 태어나 어진 부인으로 성장한 이씨
10. 부인이라도 성인에 이를 수 있음을 깨달은 임윤지당
11. 손님 대접을 위해 하룻밤에 열 번이나 밥을 새로 지은 평산 신씨
12. 가난 속에서 아들 교육을 시킨 선산 곽씨
13. 남편과 뜻을 같이해 어려운 사람을 도운 한씨
혜식
1. 안평대군의 패망을 예견한 성간의 어머니
2. 아들의 위험을 예견한 류씨
3. 남편과 아들들의 죽음을 예견한 이세좌의 아내
4. 선견지명으로 동생들의 목숨을 구한 허씨
5. 승정원의 기록을 들어 정실이 된 홍윤성의 아내
6. 목말라 하는 선비에게 버들잎을 따 물에 띄워준 고리장이의 딸
7. 목소리만 듣고도 남편감을 알아본 김씨
8. 반정을 예견하고 적극적으로 도운 박씨의 아내
9. 시로 앞일을 예견한 류씨
10. 앞일을 예견해서 남편을 출세시킨 아내
11. 함께 살기로 한 약속을 지킨 세 여자
12. 사람을 알아보는 데 뛰어났던 나씨
13. 영창대군의 탄생을 근심한 정씨
14. 남편의 역모에 앞서 나쁜 징조를 두려워한 아내
처녀
1. 세자빈 간택을 피하기 위해 미친 척한 권씨
2. 아버지 상을 당해 슬퍼하다 몸이 상해 죽은 이지남의 딸
3. 자신을 사모한 남자가 죽자 평생 시집가지 않은 매분구
4. 결혼을 약속한 남성이 죽자 술을 만들어 팔며 혼자 산 성가
5. 피난 중 노승이 주는 밥을 끝내 먹지 않고 굶어 죽은 처녀
6. 겁박을 당한 후 자결한 매향
7. 손가락을 베어 어머니를 살려낸 안씨의 두 딸
8. 두 차례나 손가락을 잘라 부모님을 구하려 한 최조이
9.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묘를 파헤친 박효낭
10. 아버지 산소에서 강도에게 겁탈당하려 하자 자결한 강처자
시인
1. 이옥봉
2. 허난설헌
3. 남추의 누이
4. 조씨
5. 서숙옥
6. 황옥진
7. 양사언의 접
8. 여종 취죽
9. 가겟집 여자
첩
1. 남편의 진정한 벗을 알아본 오씨
2. 정처와 첩의 본분을 아는 이현달의 첩
3. 용꿈을 꾸고 첩이 된 충주 호장의 큰딸
4. 전당 잡힌 도포를 돌려주어 첩이 된 주모의 딸
5. 노인의 예언을 그대로 지켜 재상의 첩이 된 송도의 여자
6. 양사언의 첩
7. 절개를 지켜 죽은 송상현의 첩
8. 김준을 따라 죽은 첩 김씨와 딸
9. 정발을 따라 죽은 첩 매향
10. 의리를 지킨 노수신의 첩
11. 사대부의 정치적 소신을 강조한 박홍구의 첩
12. 스승의 첩을 넘본 무인, 그를 무시한 첩
여종
1. 자식을 바꿔 주인의 대를 이은 여종
2. 상전을 위해 복수하고 죽은 갑
3. 무과에 급제한 아들에게 과거의 신분을 밝힌 여종
4. 남성을 유혹해서 상전을 위해 복수한 종
5. 주인에 끌려가다 시를 짓고 낙동강에 빠져 죽은 여종
6. 시를 잘 지었던 여종 취죽
7. 남편을 위해 복수하고 정려를 받은 여종 춘옥
8. 주인의 신주를 끝까지 모시고 후사를 이어준 여종 부부
기녀
1. 지조 없는 정승을 부끄럽게 만든 설매
2. 문신과 무신 동시에 희롱한 기개를 가진 소춘풍
3. 장수의 통솔력을 비판하다 죽은 늙은 기생
4. 왜장을 껴안고 함께 죽어 충절 세운 논개
5. 관서 기생 진이
6. 벼슬아치를 서슴없이 비판한 가련
7. 시화첩으로 생계를 꾸리며 절개를 지킨 춘절
8. 율곡의 3년 상을 치른 유지
9. 김수항을 그리워하다 죽은 금랑
10. 실상을 냉정하게 말한 서울 창기
11. 문과 급제자의 잘못을 꼬집은 늙은 기생
12. 재치 있게 응대한 기생
13. 적에게 살해된 홍림의 장례를 치르고 면천된 해월
14. 전란 중에 최경창의 시문집을 지킨 홍량
15. 절개와 충절을 지킨 능화
16. 창암정에서 풍취를 읊은 추향
17. 기생의 처지를 시로 읊은 매창
18. 〈백마강 회고〉 시를 남긴 설죽
19. 윤계선과 이별하며 시를 지은 의주 기생
20. 유배 가는 윤선도를 정성껏 돌보아 준 홍원의 기생 조생
부록
1. 꿈에서 전실부인의 칭찬을 들은 이씨
2. 정승 부인이면서도 검소했던 권씨
3. 계실로서의 권리를 당당하게 선언한 부인
4. 원호에게 감화되어 개가 않고 절개 지킨 과부
5. 102세까지 장수한 김씨
6. 103세까지 장수한 채씨
7. 문행과 지행지감을 갖추고 102세까지 장수한 허종의 누나
8. 43세에 아들 낳고 122세까지 장수한 조씨
9. 예양과 비견될 만한 재훈녀 홍씨
10. 풍수에 밝아 본인의 무덤 자리를 따로 정한 최항의 아내
11. 80세 홍유손과 결혼해 두 아들을 낳은 여성
12. 63세에 아들을 낳은 토정의 아내
13. 기녀 대신 수청을 들게 한 남편의 요구를 거부한 아내
14. 중전 유씨의 언문 상소
15. 강홍립의 아내 소씨
본조여사 발문
찾아보기
효명작명

도서명 : 효명작명
저자/출판사 : 효명 최화복, 밥북
쪽수 : 312쪽
출판일 : 2023-05-15
ISBN : 9791158588977
정가 : 27000
저자의 말/추천사 1, 2/자서(自序)
1단원 10천간(天干)
1강 기초 입문하기/2강 한자의 변천 과정과 갑목(甲木) 을목(乙木)/3강 병화(丙火) 정화(丁火)와 무토(戊土) 기토(己土)/4강 경금(庚金) 신금(辛金)/5강 임수(壬水) 계수(癸水)
2단원 12지지(地支)
6강 봄 여름의 지지(地支)/7강 가을 겨울의 지지(地支)/8강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필순 바로 알기/9강 오행(五行)의 상생(相生)과 상극(相克)/10강 28宿(수) 별자리와 천간합(天干合)
공개특강1. 이것만 알아도 사주 보기가 쉬워진다/공개특강2. 내 사주는 어떨까?-실전사주분석
3단원 지장간(支藏干)·육친(六親)
11강 방합(方合)과 삼합(三合)의 기초 원리/12강 나의 진짜 속마음-지장간(支藏干)/13강 지장간 날수 계산, 아주 쉽게 하기/14강 육친(六親)의 형성과정/15강 상생 상극으로 보는 육친/16강 육친은 참고사항일 뿐/
핵심요약1. 음양오행, 천간 지지, 합(合)과 충(沖)/핵심요약2. 삼합과 반합, 지지육합, 지지충, 지장간
4단원 한자 자원오행(漢字 字源五行)·한난조습(寒暖燥濕)
17강 자원오행1. 甲乙木/18강 자원오행2. 丙丁火/19강 자원오행3. 戊己土(1)/20강 조후-한난조습(寒暖燥濕)/21강 자원오행3. 戊己土(2)/22강 자원오행4. 庚辛金/23강 자원오행5. 壬癸水, 생명론의 근원(1)/24강 생명론의 근원(2)/25강 생명론의 근원(3)/26강 생명론으로 풀어보는 사주풀이
5단원 오행(五行)의 왕쇠강약(旺衰强弱)·훈민정음해례본
27강 사주에 木이 너무 많으면?/28강 사주에 火가 너무 많으면?/29강 사주에 土가 너무 많으면?/30강 사주에 金이 너무 많으면?/31강 사주에 水가 너무 많으면?/32강 이름+아호+두인의 3박자로 나만의 수호신장 만들기/33강 소리 오행의 진실-해례본과 운해본의 차이/34강 사주와 좋은 이름의 두 톱니바퀴
6단원 사주(四柱)와 건강
35강 간심비폐신/36강 간, 담-乙木, 甲木/37강 심장, 소장-丁火, 丙火(1)/38강 四柱+心柱/39강 자연은 대우주, 인체는 소우주(1)/40강 자연은 대우주, 인체는 소우주(2)/41강 심포, 삼초-丁火, 丙火(2)/42강 실전사주분석-심장병/43강 비, 위-己土, 戊土/44강 실전사주분석-위장병/45강 폐, 대장-辛金, 庚金/46강 실전사주분석-폐, 대장병/47강 신장, 방광-癸水, 壬水/48강 실전사주분석-신장, 방광
7단원 용신론(用神論)
49강 調候(조후)의 중요성/50강 조후용신과 억부용신에 대하여/51강 水病神, 土藥神/52강 통관용신에 대하여/53강 작명으로 통관용신 쓰는 법/54강 사주와 이름의 상관관계/55강 한난조습론(寒暖燥濕論)(1)/56강 한난조습론(2)/57강 천간의 뿌리, 통근 보는 법/58강 사주의 병과 약, 아주 쉽게 보기/59강 병약론 실전사주/60강 중용(中庸)으로 보는 중화론/61강 개두론(蓋頭論)과 가용신(假用神)
8단원 명(命)과 리(理)
62강 명리특강1. 명(命)과 리(理)의 소인수분해(1)/63강 명리특강2. 명(命)과 리(理)의 소인수분해(2)
9단원 격국론(格局論)
64강 나는 무슨 격일까? 격국 이해하기/65강 외격 아주 쉽게 이해하기/66강 종격 아주 쉽게 이해하기
편집 후기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