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사상사 또는 AIㆍDX 기술기반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인도사상사 또는 AIㆍDX 기술기반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45 0

본문




인도사상사
9788957467336.jpg


도서명 : 인도사상사
저자/출판사 : 존 M. 콜러, 운주사
쪽수 : 792쪽
출판일 : 2023-05-25
ISBN : 9788957467336
정가 : 55000

책머리에ㆍ5
감사의 말씀ㆍ7

제1장 서론: 다양성, 변화, 연속성ㆍ17
1. 다양성 18
2. 중심적 이념들 34
3. 전형들과 과정들 47

제2장 ‘인도인 길’의 뿌리들: 인더스와 베다의 시초들ㆍ53
1. 인더스 문명 56
2. 베다 61
3. 남녀 제신 71
4. 남녀 제신을 초월하여 76
5. 존재 79

제3장 베다에서의 창조와 축의ㆍ91
1. 존재의 기원 91
2. 희생축의犧牲祝儀 96
3. 원인(原人, Puruṣa: Cosmic Person)의 희생축의 104
4. 야즈냐의 의도성 112
5. 리타(Ṛta, 天則), 존재의 근본법칙 122

제4장 해탈의 진리: 우파니샤드ㆍ129
1. 베다에서 우파니샤드로의 이행 133
2. 브라만을 모색함 143
3. 아트만의 모색 154
4. 탓 트밤 아시(Tat Tvam Asi) 162

제5장 자아와 사회: 삶의 규범들ㆍ177
1. 베다의 가치들 178
2. 고전적 가치들 182
3. 사람의 목적들 188
4. 사회 계급들 206
5. 인생의 제 단계 213
6. 정치적 통치 219
7. 성사적聖事的 의례들 222

제6장 자이나교의 비전ㆍ231
1. 개관 232
2. 역사적 맥락 235
3. 속박 245
4. 해탈의 길 257
5. 자이나교 사유의 영향 272

제7장 붓다의 길ㆍ279
1. 최초의 설법(初轉法輪) 281
2. 배경 284
3. 붓다(佛) 288
4. 해탈의 가르침(다르마, 法) 299
5. 불교 공동체의 발전-SAṄGHA 僧伽 329

제8장 요가ㆍ347
1. 존재를 변화시키는 힘 347
2. 고전요가 360
3. 훈련과 제어의 기술들 368

제9장 바가바드기타ㆍ379
1. 서론 379
2. 경전과 그 메시지 380
3. 아르주나의 딜레마 385
4. 크리슈나 389
5. 자아와 육신 392
6. 제의적 행위 402
7. 지식을 통한 해탈 405
8. 박티(bhakti)-신애信愛의 길 409
9. 신 414

제10장 신애의 힌두교: 환희, 사랑, 아름다움의 신ㆍ425
1. 배경 426
2. 크리슈나 434

제11장 신애의 힌두교: 칼리와 시바ㆍ465
1. 칼리 465
2. 시바 481
3. 관점들 495

제12장 철학 체계들: 속박, 해탈, 인과율ㆍ507
1. 인도 철학 체계들의 특성 507
2. 철학적 물음들과 체계들 514
3. 속박의 사슬과 자유로 가는 길들 523
4. 인과율 528

제13장 철학 체계들: 지식과 실재ㆍ555
1. 실재 555
2. 지식 579

제14장 인도의 이슬람교ㆍ597
1. 이슬람교의 도래 598
2. 이슬람교의 의미 605
3. 종교적 사유와 수피의 길 615
4. 교류 627

제15장 시크교도들의 신앙ㆍ645
1. 기초적 비전 646
2. 구루 나낙과 시크교 공동체 647
3. 구루 나낙의 사상에 미친 전통의 영향 653
4. 구루 나낙의 가르침들 659
5. 인간의 본성 664
6. 신의 실현 668
7. 구원에로의 길 674

제16장 인도의 르네상스ㆍ685
1. 서구의 출현 687
2. 인도의 대응 693
3. 람 모한 로이와 브라모 협회 694
4. 다야난다 사라스와티 704
5. 간디 714
6. 오로빈도 722

제17장 미래에 대한 전망ㆍ735

용어 해설ㆍ765
옮긴이 후기ㆍ775
찾아보기ㆍ777




AIㆍDX 기술기반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9788998366643.jpg


도서명 : AIㆍDX 기술기반 스마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저자/출판사 : 이슈퀘스트,편집부, 이슈퀘스트
쪽수 : 731쪽
출판일 : 2023-10-17
ISBN : 9788998366643
정가 : 440000

Ⅰ. 재난안전사고와 재난안전산업 동향과 전망 35

1. 재난안전사고 개요와 동향 35
1-1. 재난의 정의 및 분류 35
1) 재난의 정의 35
(1) 재난의 정의 및 범위 36
(2) 재난관리 체제 36
2) 재난의 분류 및 특징 37
(1) 재난의 분류 37
(2) 재난의 특징 39
1-2. 기후변화 위기와 국내외 자연재해 40
1) 전 지구 이상기후 발생 주요 원인 40
(1) 지구온난화 40
(2) 라니냐 종료 이후 라니냐 재발달 40
(3) 북극 해빙면적의 지속적인 감소 41
(4) 유라시아 대륙의 눈덮임 변화 42
2) 주요국 이상기후 발생과 피해 현황 43
(1) 유럽·아프리카 43
(2) 아시아 44
(3) 오세아니아 47
(4) 아메리카 48
3) 국내 이상기후 발생과 피해 현황 51
(1) 국내 이상기후 발생 현황 51
(2) 국내 자연재해 피해 현황 53
4) 주요 자연재해 유형별 현황 57
(1) 호우 57
(2) 태풍 59
(3) 지진 61
(4) 폭염 64
1-3. 국내 사회재난 및 사고발생 현황 66
1) 국내 주요 유형별 사회재난 66
(1) 산불재난 68
(2)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 69
(3) 해양선박사고 70
(4) 가축질병 71
(5) 사업장 대규모 인적사고 72
2) 국내 주요 사회재난 사고발생 현황 73
(1) 도로교통사고 74
(2) 화재사고 75
(3) 붕괴사고 76
(4) 수난(익사 등) 사고 77
(5) 등산사고 78

2. 재난안전산업 동향 및 전망 79
2-1. 재난안전산업 개요 및 분류 79
1) 재난안전산업 개요 79
(1) 정의 79
(2) 필요성 81
(3) 재난안전 분야 Value Chain 82
2) 재난안전산업의 분류 82
(1)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의 분류 82
(2) 재난안전 단계별 분류 83
2-2. 국내 재난안전산업 실태 현황 85
1) 사업체 현황 85
(1) 사업체 수 85
(2) 연도별 사업체 설립 분포 현황 87
(3) 조직형태 88
2) 인력 현황 89
(1) 재난안전산업 분야 종사자 수 89
(2) 직무별 재난안전산업 분야 종사자 수 90
(3) 2021년 재난안전산업 분야 신입 및 경력별 채용인원 91
(4) 2022년 재난안전산업 분야 채용(예정) 인원 92
3) 매출 현황 93
(1) 재난안전산업 분야 매출현황 및 공공기관 판매 비중 93
(2) 재난안전산업 세부분야별 매출액 비중 95
(3) 손익분기점 도달여부 및 도달시기 96
4) 수출 및 수입 현황 97
(1) 수출 여부 및 수출 현황 97
(2)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형태 98
(3)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국가 및 수출액 99
(4) 재난안전산업 분야 수출경로 100
(5) 수입 여부 및 수입 현황 101
5) 연구개발 및 지적재산권 현황 102
(1) 재난안전산업 관련 연구개발 현황 102
(2) 재난안전산업 관련 지적재산권 현황 103
(3) 재난안전산업 관련 보유 지적재산권 종류 104
2-3. 국내외 재난안전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05
1) 세계 시장 현황과 주요기업 동향 105
(1) 세계 시장 동향 및 전망 105
(2) 해외 주요기업 기술개발 동향 106
2) 국내 시장 현황과 주요기업 동향 113
(1)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113
(2) 국내 주요기업 기술개발 동향 114
3) 국내 기술 개발 동향 120
(1) COVID-19로 진화한 감염병 대응 관련 ICT 기술 120
(2) 자연재해 예측 및 대응 기술 121
(3) 화재 등 사건 사고 예측 및 대응 기술 123
(4)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도구 124
4) 국내 재난안전 R&D 투자 동향 126
(1) 2022년도 투자 실적 126
(2) 2023년도 투자 계획 128
5) 한국의 안전보고서 2022 131
(1) 위해·환경요인 132
(2) 취약요인 134
(3) 대응역량 136
(4) 피해(영향)요인 138
2-4. 국내외 재난안전 정책 동향과 전략 141
1) 해외 주요국 정책 동향 141
(1) 미국 141
(2) 유럽 142
(3) 중국 144
(4) 일본 144
2) 국내 정책 동향과 추진전략 147
(1) 국내 재난안전 관련 법제도 147
(2) 제4차 국가안전관리 기본계획(2020∼2024) 148
(3)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안)(2023∼2027) 150
(4) 제1차 재난안전통신망 기본계획(2022∼2026) 154
(5) ‘중대 재해 감축 로드맵’ 발표 157
(6) 제5차 과학기술기본계획(2023∼2027) 161
(7) 제5차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 기본계획(2023∼2027) 165
2-5. 제4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2023년도 시행계획) 169
1) 2023년도 전략별 주요 추진계획 169
(1) (전략Ⅰ) 현장 임무 중심의 촘촘한 대응체계 구축 170
(2) (전략Ⅱ) 일상이 안전한 국민 행복 맞춤형 R&D 196
(3) (전략Ⅲ) 첨단과학을 활용한 미래사회 위기 극복 213
2) 2023년도 혁신과제 이행 계획 244
(1) 재난안전 R&D 협업체계 강화 244
(2) 국민 참여형 재난안전 R&D 오픈 플랫폼 구축 246
(3) 재난안전기술의 산업화 연계고리 강화 247
3) 향후 중기(’24~’27) 전망 248

Ⅱ. ICT 기반 스마트 재난안전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51

1. 재난안전 인프라 기술 동향 및 전망 251
1-1. 차세대 이동통신 기반 재난안전관리 251
1) 차세대 이동통신 개요 251
(1) 정의 251
(2) 필요성 253
(3) Value Chain 254
(4) 분류 254
2) 국내외 5G 시장 동향과 전망 256
(1) 세계시장 256
(2) 국내시장 258
3)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동향 259
(1) 5G 259
(2) 6G 261
4) 국내 PS-LTE 기반 재난안전통신망 265
(1) 재난안전통신망 소개 265
(2) 세계 최초 전국 단일 통신망 구축 268
(3) 중단없는 서비스 제공 및 운영 269
(4) 재난대응을 위한 통신서비스 제공 269
(5) 응용서비스 활용·확산 지원 270
5) 차세대 이동통신, 재난안전관리 최근 동향 272
(1) 부가통신사업자, 데이터센터 사업자 등 - 재난관리 의무 부과 272
(2) 통신3사-포스코, 제철소 내 재난안전통신 체계 확보 273
(3) 삼성전자, 5G·위성 잇는 표준기술 확보 - 재난 때도 통신 제공 274
(4) 한수원, 5G 특화망 활용 - 원전 재난대응 275
(5) 6G 저궤도 위성통신 - 재난상황 ‘통신 장애’ 극복 276
(6) LGU+·AWS·삼성전자, 클라우드 기반 5G 재난망 구축 277
1-2. 인공지능(AI) 기반 재난안전관리 278
1) 인공지능(AI) 개요 278
(1) 정의 278
(2) 인공지능(AI) 기술 발전 과정 279
(3) 인공지능(AI) 기술 관련 용어 282
(4) Value Chain 283
2) 국내외 인공지능(AI) 시장 동향과 전망 284
(1) 세계시장 284
(2) 국내시장 287
3) 인공지능(AI) 주요 기술 동향 290
(1) 인공지능(AI) 모형의 확장 290
(2) 생성적 인공지능(Generative AI) 293
(3) 데이터 중심 인공지능과 독점화 296
4) 2023년 주요 인공지능(AI) 기술 트렌드 299
(1) 제너레이티브 AI 중심 299
(2) 임베디드 AI와 향상된 사용자 경험 299
(3) 더욱 엄격해진 규정 준수 및 윤리 기준 300
(4) AI의 민주화 및 접근성 향상 300
(5) AI 기반 사이버 보안의 발전 301
(6) 제조 분야의 컴퓨터 비전과 초자동화 301
5) 인공지능(AI) 재난안전관리 최근 동향 302
(1) 과기정통부, 충청권 4개 지자체와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구축 추진 302
(2) LH, 첨단 AI기술 적용한 ‘재난관리 플랫폼’ 구축 303
(3) 행정안전부, ‘선진화된 재난안전 관리체계 구축’ 추진 303
(4) SIA, 인공지능(AI)으로 기상재해(태풍·홍수 등) 대응 305
(5) AI와 센서로 재해 방지·사고 예방 306
(6) AI, 산업 현장·재난 상황에 안전 해결사 핵심역할 수행 308
1-3. 사이버보안(정보보안) 안전관리 312
1) 정보보호산업 개요 312
(1) 정의 312
(2) 특성 313
(3) 분류 314
2) 국내 정보보안산업 현황 315
(1) 기업 현황 315
(2) 수출 현황 317
(3) 인력 및 채용 현황 319
(4) 기술개발 및 동향 321
3) 2023년 주요 사이버 보안 이슈 323
(1) 가트너, ‘2023년 9가지 사이버 보안 트렌드’ 발표 323
(2) KISTEP, ‘데이터 보안 시대의 10대 미래 유망기술’ 발표 325
(3) Acronis, ‘2023년 10대 사이버 보안 위협 요소’ 발표 327
4) 국내외 사이버 보안 위협 및 전망 329
(1) 2022년 사이버 보안 위협 분석 329
(2) 2023년 사이버 보안 위협 전망 332
(3) 2023년 사이버 보안 위협 대응전략 335
5) 사이버보안(정보보안)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37
(1) 세계시장 337
(2) 국내시장 340
6) 국내외 사이버보안(정보보안) 주요 기술개발 동향 342
(1) 생성 AI(Generative AI) 342
(2) 보안 게이트웨이(Security Gateway) 343
(3)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 Defined Networking) 344
(4) 스테가노그래피(Steganography) 345
(5) 가상사설망(VPN) 346
7) 국내외 사이버보안(정보보안) 관련 기업 동향 347
(1) 해외 기업 347
(2) 국내 기업 349

2. 스마트 재난안전 유망 기술, 서비스 분야별 시장 동향과 전망 351
2-1. 재해·재난·범죄 대응, 물리보안산업 동향과 전망 351
1) 물리보안산업 개요 351
(1) 정의 351
(2) 분류 352
2) 2023년 물리 보안 시장 트렌드 352
(1) 개방형 기술 기반의 에코 시스템 352
(2) AIoT를 통한 연결 확대 353
(3) 24시간 고화질 영상 처리 기술 제공 353
(4) 영상 보안 카메라의 인식 기능 확대 353
(5) 기기 및 시스템 가용성 중시 354
(6) 지속 가능성을 위한 친환경 저탄소 제품 도입 354
(7) ‘제로 트러스트’ 전략 주목 354
3) 국내 물리보안산업 현황 355
(1) 기업 현황 355
(2) 수출 현황 358
(3) 인력 및 채용 현황 359
(4) 기술개발 및 동향 360
4) 국내외 물리보안산업 시장 동향과 전망 362
(1) 세계시장 362
(2) 국내시장 362
2-2. 스마트 홈 보안 서비스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65
1) 스마트홈 개요 365
(1) 정의 365
(2) 필요성 366
(3) 분류 367
2) 국내외 스마트홈 시장 동향과 전망 368
(1) 세계시장 368
(2) 국내시장 368
3) 국내외 스마트홈 기술개발 동향 370
(1)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370
(2) 국내외 기업 동향 372
4) 스마트홈 보안 서비스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79
(1) 개요 379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382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384
(4) 국내외 기업 동향 386
2-3. 스마트시티 재난안전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93
1) 스마트시티 개요 393
(1) 정의 393
(2) 필요성 394
(3) 분류 395
2)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과 전망 397
(1) 세계시장 397
(2) 국내시장 399
3) 국내외 스마트시티 기술개발 동향 400
(1)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00
(2) 국내외 기업 동향 403
4)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기술 동향과 전망 409
(1) 개요 409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413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15
(4) 국내외 기업 동향 418
2-4. 재난안전관리 지능형 CCTV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423
1) 지능형 CCTV 개요 423
(1) 정의 423
(2) 필요성 424
(3) 분류 425
2) 국내외 지능형 CCTV 시장 동향과 전망 426
(1) 세계시장 426
(2) 국내시장 429
3) 국내외 지능형 CCTV 기술 동향 431
(1) 지능형 CCTV 주요 기술 431
(2) 지능형 CCTV 주요 트랜드 및 주요 기업 동향 435
4) 2023년 영상 보안 트렌드 437
(1) 대중화된 AI의 활용 437
(2) On-premise, Cloud가 결합된 통합 솔루션(Unified Solution) 438
(3) 더 많은 것을 할 수 있게 된 엣지(Edge) 438
(4) 기술 융합을 통한 보안의 확장 439
(5) 제로트러스트(Zero Trust) 보안 439
5) 지능형 CCTV, 국가안전 시스템 핵심 솔루션 부상 440
(1) 인파사고 재발방지 - 2027년까지 지능형 CCTV 전수 도입 441
(2) 지능형 CCTV 등 활용 - 재난 조기 관측·경보 체계 구축 443
(3) 요양시설 CCTV 설치 의무화 - 안전 취약계층의 안전 확보 강화 443
(4) 지능형 CCTV 인증 범위 지속 확대 444
2-5. 재해·재난 대응 지능형 로봇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445
1) 지능형 로봇 개요 445
(1) 정의 445
(2) 필요성 446
(3) 분류 447
2) 국내외 지능형 로봇 시장 동향과 전망 448
(1) 세계시장 448
(2) 국내시장 448
3) 2023년 글로벌 로봇 트렌드 450
(1) 에너지 효율성 450
(2) 리쇼어링(Reshoring) 451
(3) 점점 더 사용하기 쉬워지는 로봇 451
(4) 인공지능과 디지털 자동화 452
(5) 산업용 로봇의 ‘제2의 삶’ 452
4) 재난 대응 로봇 453
(1) 개요 453
(2) 국내외 시장 동향과 전망 455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58
(4) 재난 대응 로봇 활성화 방안 472
5) 살균·방역 로봇 473
(1) 개요 473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476
(3) 국내외 기술개발 동향 477
(4) 국내외 기업 동향 480
2-6. 재난 및 안전관리 드론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486
1) 드론의 개요 486
(1) 정의 486
(2) 필요성 487
(3) 분류 488
2) 국내외 드론 시장 동향과 전망 490
(1) 세계시장 490
(2) 국내시장 493
3) 드론 핵심 기술 496
(1) 비행제어시스템 496
(2) 추진동력 기술 496
(3) 탑재장비·센서 기술 496
(4) 자율비행 및 충돌회피 기술 497
(5) 데이터링크 기술 497
4) 국내외 드론 주요 기술개발 동향 498
(1) 레이더(Radar) 기술 498
(2) 적외선 카메라(Infrared Camera) 기술 499
(3) GPS 기술 500
(4) 수직이착륙기(VTOL) 501
(5) 사진측정(Photogrammetry) 502
5) 모니터링 드론 503
(1) 개요 503
(2) 국내외 시장 동향 및 전망 507
(3) 기술개발 동향 509
(4) 국내외 기업 동향 512

3. 2023년 재난안전기술 개발사업 연구과제 현황 518
3-1. ICT기반 재난안전(사회안전, 공통)기술 분야 518
1) 디지털성범죄 피해 예방을 위한 불법촬영물 이미지 유포 차단 및 추적 기술 개발 518
2) 아동학대 및 위험성 진단 기술 개발 521
3) 불법조작 콘텐츠 피해 최소화를 위한 딥페이크 탐지 고도화 및 생성억제 기술개발 523
4) 사이버폭력 해결을 위한 모바일 포렌식 기술 및 피해 감지·대응 기술 개발 526
5) 청소년 사이버 괴롭힘 위험 노출 평가 및 정신건강 위험성 대응 서비스 기술 개발 530
6) 광역 재난환경에서 인명탐지를 위한 분산 레이다 핵심기술 개발 533
7) 화재 현장에서 골든타임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초실감 XR 기술 개발 538
8) 제조 위험 환경에서의 복합센서 기반 제조안전지원 통합서비스 기술 개발 543
9) 화학물질 안전관리용 유해성 검증을 지원하기 위한 AI 기반 유해성 분석/평가 기술
개발 545
3-2. 재난안전(치안안전) 기술 분야 547
1) 소방관용 공기호흡기 고성능 및 경량화 기술개발 547
2) 소방대원 안전도 향상을 위한 소방차 탑승자 안전장치 및 모니터링 경보시스템 개발 552
3) 미래 과학치안 역할 정립 및 의제 발굴 등 신규 업무절차·체계 개발 558
4) 범부처 마약 청정사회 구현을 위한 과학치안 융합기술 적용연구 559
5) 화산섬 제주의 실시간 홍수 감지 및 안전지원 기술 개발 560
3-3. 재난대응(소방, 화재) 위한 센서 및 로봇 기술 분야(다부처) 562
1) (총괄) 소방 현장 인명탐색과 화재진압 활동 지원을 위한 센서 및 로봇 기술 개발 562
2) (1세부) 소방용 4족 보행 로봇 기반 인명탐지·화재진압 솔루션 개발 및 소방 로봇·
센서 실증 567
3) (2세부) 재난환경인식 및 인명탐지를 위한 멀티모달센서 개발 571
4) (3세부) 트랙기반 화재진압용 모바일 로봇 개발 및 소방환경 실증기술 개발 576
3-4. 재난안전((도시, 교통, 건축) 기술분야 581
1) 교통사고 유발 도로노면 위험요소 저감기술 개발 581
2) 대심도 철도시설 고위험 재난 인지·예측·대응 기술 개발 589
3) 대심도 철도시설 고위험 재난대응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검증 597
4) 건축물 안전해체 계획 및 시공 기술개발 603
5) 고위험 건설기계 안전성 평가 및 관리 기술개발 613
3-5. 재난안전(기후, 환경) 기술 분야 620
1) 기후변화 피해비용 산정 통합평가 모형 620
2) 복합악취 유발물질 측정 센서 및 시스템 국산화 기술개발 622
3) 유역 특성을 반영한 홍수 대응 최적화 기술 및 효과분석 기술 개발 624
4) Blue-Green-Grey 인프라의 도시홍수 방어능력/회복탄력성 평가기술 개발 627
5) 화학물질 누출사고 영향범위 예측 및 사고원인 분석을 위한 오픈소스 3차원 CFD
프로그램 개발 630
6) AI/머신러닝 기반 화학물질반응 예측기술 및 통합형 전산 플랫폼 구축 633




Ⅲ. 국가 감염병 대응,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639

1. 감염병 대응,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639
1-1. 감염병 개념 및 발생 현황 639
1) 감염병 개념 639
2) 감염병 종류 및 초기증상 640
(1) 감염병 종류 640
(2) 감염병 초기증상 641
3) 감염병 발생 현황 643
(1) 최근 10년간 감염병 발생 현황 643
(2) 2021년도 감염병 발생 현황 644
1-2. 체외진단(IVD)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645
1) 체외진단(IVD) 개요 및 시장분류 645
(1) 체외진단(IVD) 개요 645
(2) 체외진단(IVD) 시장의 분류 646
2) 글로벌 체외진단(IVD) 세부 시장 동향과 전망 646
(1) 면역화학적 진단(Immunochemistry) 647
(2) 분자 진단(Molecular Diagnostics, MDx) 647
(3) 현장 진단(Point-of-Care Testing, POCT) 648
3) 국내 체외진단 기업 및 동향 649
(1) 국내 기업 649
(2) 국내 동향 650
1-3. 백신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652
1) 백신 개요 및 종류 652
(1) 백신 개요 652
(2) 백신 종류 653
2) 국내외 백신 시장 동향과 전망 655
(1) 세계시장 655
(2) 국내시장 658
3) 국내외 주요 백신기업 동향 660
(1) 해외 기업 660
(2) 국내 기업 663
4) 백신 기술 동향 666
(1) mRNA 백신 666
(2) DNA 백신 667
(3) 바이러스벡터 백신 668
(4) 아단위(서브유닛) 백신 669
(5) 생백신(약독화 백신) 669
(6) 사백신(불활성화 백신) 670
(7) 기타 백신 670
5) 차세대 백신 기술 동향 672
(1) 자가복제 RNA 백신(Self-amplifying RNA vaccine) 672
(2) 백신 기능 증가 첨가물(Vaccine adjuvant) 673
(3) 나노 입자 백신(Designed protein nanoparticle vaccine) 673
(4) 디지털 백신 674

2. 동물감염병 대응, 방역대책 및 기술개발 동향 677
2-1. 가축전염병 발생 현황 및 방역대책 677
1) 가축전염병 개요 677
(1) 가축전염병 정의 677
(2) 가축전염병의 종류 677
(3) 전염병 발생 3대 요인 679
2) 국내 가축 사육 및 가축전염병 발생 현황 680
(1) 국내 가축 사육현황 680
(2) 국내 우제류 및 가금류 사육현황 680
(3) 가축전염병 발생 현황 681
3) 주요 가축전염병 감염 및 예방대책 684
(1) 구제역(FMD) 684
(2)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 687
(3) 아프리카돼지열병(ASF) 689
(4) 돼지열병(CSF) 692
2-2. 동물감염병 대응, 기술개발 동향 694
1) 국내외 동물감염병 기술개발 동향 694
(1) 동물감염병 R&D 범위 694
(2) 동물감염병 예찰·진단 기술 동향 695
(3) 동물감염병 예방·치료 기술 동향 697
(4) 동물감염병 확산방지 및 사후관리 기술 동향 700
2) 국내외 동물감염병 대응·관리 조직체제 701
(1) 한국 701
(2) 미국 702
(3) 일본 704
(4) 호주 706

3. 국가 감염병 관련 주요 정책 동향 707
3-1. 제3차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기술개발 추진전략(안)(2022∼2026)(요약) 707
1) 전략 수립 개요 707
2) 제2차 추진전략의 주요 성과 및 환경변화 707
(1) 주요 성과 707
(2) 국내외 환경변화 708
3) 제3차 추진전략 추진방향 및 주요내용 708
(1) 추진 방향 708
(2) 관리체계 709
(3) 추진체계 709
(4) 비전 및 목표 710
4) 제3차 추진 전략 711
(1) 전략1. 국가 감염병 R&D 책임기반 강화 711
(2) 전략2. 감염병 위기 극복 핵심기술 조기 확보 712
(3) 전략3. 감염병 연구 협력 생태계 확대 713
(4) 전략4. 전방위 미래 방역체계 구현 714
3-2. 제3차 감염병 예방관리 기본계획(2023∼2027)(요약) 718
1) 개요 718
2) 제2차 기본계획의 평가 719
(1) 성과 719
(2) 한계 및 시사점 720
3) 정책환경 721
4) 제3차 기본계획 추진방향 722
5) 추진 과제 723
(1) 감염병 위기 대비 및 대응 고도화 723
(2) 선제적·포괄적 감염병예방 및 관리 724
(3) 감염병 관리를 위한 연구 및 기술혁신 727
(4) 감염병 대응 인프라 견고화 729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