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인학교의 일본인 교사 1950-1955 또는 중화미학사상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조선인학교의 일본인 교사 1950-1955 또는 중화미학사상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35 0

본문




조선인학교의 일본인 교사 1950-1955
9791198116819.jpg


도서명 : 조선인학교의 일본인 교사 1950-1955
저자/출판사 : 카지이 노보루, 몽당연필
쪽수 : 336쪽
출판일 : 2023-11-11
ISBN : 9791198116819
정가 : 20000

들어가며 - 나와 조선을 잇는 아득한 작은 기억
1장 ‘도립都立’ 조선인학교
평범한 중학교 교사 / 일본인 교사 모집 / 면접시험 ‘합격’ /조선인학교에 부임 / 싸늘한 시선에 둘러싸여 /일본인 선배 교사들의 충고 / ‘달아매기’를 통한 자격 심사 『조선어 입문』을 만들다 / 도립조선인학교의 모순 /조선인학교 교직원조합 설립을 위한 호소 / 적개심과 증오의 한복판에서 /

2장 한국전쟁 당시 조선인학교
도쿄도립조선인학교 교직원조합 결성대회 / 감히 국가 권력에 불만을 품어? /조선인학교를 폐쇄하려는 권력 집단의 집념 / 교단을 내팽개친 일본인 교사 / 민족교육을 둘러싼 고난 / 제자의 강제송환 사건 /사립 이관을 반대하는 운동

3장 사립 이관이 의미하는 것
두터운 ‘민족’의 벽 / 빨갱이 조선인학교 /‘네가 조선으로 돌아가!’라는 말의 의미 / 고립 속의 환상 / 교육에 있어서 ‘조선인’이란 무엇인가 / 밤을 지새운 보고서 만들기 /긴박했던 도쿄 대표 선출 회의 /

4장 폐교로 가는 길
조선학교 사립화의 정치적 내막 / 보고서 발표에 대한 집념 / 단상에서의 감격 / 민족교육에 힘쓰는 교사들 /고립에서 작은 연대로 / 재일조선인 교육에 대한 구상 / 교육받을 권리를 부정하는 당국 / 혼란 속 교사와 학생 / 폐교로 향하는 초기의 미동 / 6개 항목 문제의 경과 / 눈물을 머금고 6개 항목 수락 / 도쿄도 교육위원회의 재공격 /권력이 그리는 조선인학교의 모습 / 폐교 결정 통고

5장 조선인학교의 자립에 대한 고뇌
자율신경 기능 이상 / 버팀목이 되어 준 동료들의 우정 / 조선인학교 교직원조합의 마지막 정기대회 / 새로이 깨달은 차별 / 조선인 교사의 고통 / 교육자로서의 원점 / 교육과 민족의 근원적 물음 / 단순명료한 저항의 근거 / 역경 속의 낙천성 / 난항을 겪는 교사 전원의 신분보장 / 조선인에 협력한 일본인 교사 추방 / 고뇌 끝에 나온 조선인 교사들의 진정서 /

마지막 장 조선어를 공부하다

나가며
[연표] 조선인학교를 둘러싼 내외 정세
[해설]-전후 일본의 조선인 교육정책과 도립조선학교
[한국어판 출간에 부쳐]
[한국어판 부록] 「민족의 아이(民族の子)-조선인학교 문제」 전문




중화미학사상
9788976464811.jpg


도서명 : 중화미학사상
저자/출판사 : 양춘시양홍정,이삭,정무,번역, 예문서원
쪽수 : 608쪽
출판일 : 2023-06-15
ISBN : 9788976464811
정가 : 38000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제1장 중화미학사상의 형성
-제1절 중화미학사상의 기원 / 제2절 중화미학의 논의방식과 이론적인 형태 / 제3절 중화미학의 시학적 특징
제2장 중화미학의 문화적 기반과 사상적 연원
-제1절 중화문화의 정신 / 제2절 중화예술의 정신 / 제3절 중화미학의 사상적 원류
제3장 중화미학사상의 변천
-제1절 중화미학사의 공간성 / 제2절 중화미학사상 변천의 기본적 단서 / 제3절 중화미학사상의 현대적 전환
제4장 중화미학사상의 철학적 기초
-제1절 중화철학의 방법론-고전 형상학 / 제2절 중화철학의 본체론-도론
제5장 중화심미현상학
-들어가는 말: 중화미학의 현상학적 특질 / 제1절 중화심미현상학의 구성 / 제2절 중화심미현상학의 공간성 / 제3절 중화심미현상학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
제6장 중화미학의 심미본질론
-제1절 중화미학의 기본 개념 / 제2절 심미 본질의 규정 / 제3절 심미 본질의 증명
제7장 중화미학의 심미주체론
-제1절 심미 주체의 풍격 / 제2절 심미의 내재적 동기 / 제3절 심미의 능력
제8장 중화미학의 심미대상론
-제1절 미의 형태 / 제2절 내용과 형식 / 제3절 풍격
제9장 중화미학의 심미의식론
-제1절 심미적 의식의 요소 / 제2절 심미적 의식의 존재형식-의상 / 제3절 심미적 의식의 특징 / 제4절 심미적 의식과 언어
제10장 중화미학의 세간성과 함축적 초월성
-제1절 중화미학의 세간성 / 제2절 중화미학의 함축적 초월성
제11장 중화미학의 간주관성
-제1절 중화미학의 간주관성 사상 / 제2절 심미적인 시공간 / 제3절 간주관성 미학사상에 따른 은정문화의 해체
제12장 중화미학의 심미 규범과 범주
-제1절 심미 규범 / 제2절 심미 범주
제13장 중화미학의 기능론
-제1절 윤리적 교화론 / 제2절 정치적 공리론 / 제3절 인성의 해방론 / 제4절 감성적 오락론
나오는 말: 중화미학의 현대적 의의와 재구축 가능성

후기 / 찾아보기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