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 주요 행정문제와 정책 또는 더 북(The book) 한권으로 끝내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 NEW도서

본문 바로가기

NEW도서

한국사회 주요 행정문제와 정책 또는 더 북(The book) 한권으로 끝내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최고관리자
2024-12-19 07:55 113 0

본문




한국사회 주요 행정문제와 정책
9788976448798.jpg


도서명 : 한국사회 주요 행정문제와 정책
저자/출판사 : 성균관행정연구회, 대영문화사
쪽수 : 332쪽
출판일 : 2023-02-01
ISBN : 9788976448798
정가 : 24000

머리말 /3

제1부 총론

제 1 절 왜 고민해야 하는가(Why) 17
1. 복잡한 환경과 행정문제 / 17
2. 행정시스템의 각 요소와 쟁점 / 19
제 2 절 무엇을 다룰 것인가(What) 21
1. 정부의 활동 영역 이슈 / 21
2. 정부의 구성 및 운영 이슈 / 25
3. 중앙-지방의 관계 이슈 / 26
4. 시민참여 및 정부사업의 감사 이슈 / 26
제 3 절 누가 주도할 것인가(Who) 27
1. 정부 중심적 이슈 주도 / 27
2. 시민사회 중심적 이슈 주도 / 28
3. 정부-시민사회의 통합적 이슈 주도 / 29
제 4 절 어떤 부분을 중심으로 살펴봐야 하는가(Focus) 30
1. 정책활동의 이론적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서 / 30
2. 정부운영의 실제(reality)를 이해하기 위해서 / 31
3. 정부(리바이어던)의 행태를 조율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위해서 / 31
제 5 절 장의 시작에서 32

제2부 정부의 활동 영역 이슈

제 1 절 기후변화 정책이란 무엇인가 39
1. 기후변화 정책의 개념 / 39
2. 기후변화 정책의 유형과 기후변화협약의 전개과정 / 41
제 2 절 한국의 기후변화 정책 현황 47
1. 제도 현황 / 47
2. 기후변화 정책 조직체계 / 50
제 3 절 기후변화 정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55
1. 주요 쟁점 및 과제 / 55
2. 기후변화 정책의 방향성 / 55
제 4 절 소결(맺음말) 56
제 1 절 재난관리란 무엇인가 58
1. 정부정책과 재난관리 / 58
2. 재난이란 / 59
3. 재난관리란 / 61
제 2 절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정책 65
1. 재난관리 법령체계 / 65
2. 재난관리 조직 및 기구 / 67
3. 재난관리 제도 / 70
제 3 절 재난관리 주요 쟁점: 리질리언스(Resilience) 74
1. 리질리언스(Resilience) 등장 배경 / 74
2. 리질리언스(Resilience) 의미와 속성 / 75
3. 재난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와 혁신 / 76
제 4 절 맺음말 78

제 1 절 이민행정이란 무엇인가 82
1. 이민행정의 개념과 특성 / 82
2. 관련 주요 이론 / 86
제 2 절 한국의 이민행정 현황 및 정책 89
1. 이민행정 추진체계 / 89
2. 이민정책 방향 / 97
제 3 절 이민행정을 둘러싼 주요 쟁점 및 과제 102
1. 이민자 유입규모 증가 및 다양화 / 102
2. 생산인구 감소와 인구정책으로서 이민정책 관점변화 / 103
3. 글로벌 인재 유치 경쟁 심화 / 104
4. 반이민정서 및 사회갈등비용의 증가 / 105
제4 절 소결 106
제 1 절 관광정책이란 무엇인가 109
1. 관광의 개념과 분류 / 109
2. 관광정책의 의의 및 특성 / 111
3. 관광정책의 전개 / 112
제 2 절 한국의 관광정책 제도 및 정책 방향 116
1. 관광정책 제도 현황 / 116
2. 관광정책 추진체계 / 121
제 3 절 관광정책 주요 쟁점 및 과제 125
1. 관광정책 환경변화 전망 / 125
2. 주요 쟁점 / 126
제4 절 소결 128

제 1 절 소비자정책이란 무엇인가? 130
1. 소비자와 소비자문제 / 131
2. 소비자정책 / 132
제 2 절 한국의 소비자정책 현황 136
1. 제도 현황 / 136
2. 소비자정책 추진체계 / 137
3. 소비자정책 기본계획 / 138
제 3 절 소비자정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141
1. 주요 쟁점 / 141
2. 주요 과제 / 143
제4 절 결론 147

제 1 절 청년정책의 의의 149
1. 청년의 의미 / 149
2. 청년 인구 동향 / 151
3. 청년정책의 의미와 변화 / 153
제 2 절 청년정책 현황 157
1. 청년기본법 / 157
2. 중앙정부 청년정책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 161
3. 청년정책 추진체계 / 164
제 3 절 청년정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167
1. 청년 범위의 명확화 / 167
2. 청년정책의 접근성 강화 / 170
3. 청년정책의 방향성 확립 / 171
제4 절 소결 171

제 1 절 반려동물정책이란 무엇인가 175
1. 반려동물정책의 개념과 의의 / 175
2. 반려동물 보호ㆍ복지 정책의 특성 및 유형 / 177
3. 동물권, 동물권 정치이론 / 180
제 2 절 반려동물 보호ㆍ복지 제도 현황 182
1. 반려동물 보호ㆍ복지 제도 현황 / 182
2. 반려동물 보호ㆍ복지 정책 / 187
제 3 절 반려동물정책 주요 쟁점 및 과제 191
1. 주요 쟁점 / 191
2. 주요 과제 / 192
제4 절 소결 194

제3부 정부의 구성 및 운영 이슈

제 1 절 입법과정이란 무엇인가? 199
1. 입법과정의 개념과 의의 / 199
2. 입법과정의 특성 및 기능 / 201
3. 입법과정의 기본원리 및 규범체계 / 202
제 2 절 한국의 입법과정 205
1. 입법과정 개요 / 205
2. 법률안의 입안 및 제안 / 208
3. 법률안의 심의 / 210
4. 법률안의 이송 및 공포 / 215
제 3 절 입법과정의 주요 쟁점 및 과제 216
1. 표본 민주주의의 대표성 / 216
2. 입법 절차의 정당성 / 217

제 4 절 맺음말 218
제 1 절 리더십이란 무엇인가 220
1. 리더십의 개념과 의의 / 220
2. 공직 리더십 이론 및 유형 / 221
제 2 절 한국의 공직 리더십 교육제도 현황 및 정책 방향 229
1. 공직 리더십 관련 법제도 및 연혁 / 229
2. 공직 리더십 관련 교육프로그램 / 230
제 3 절 공직 리더십 교육 제도 주요 쟁점 및 과제 236
1. 지방자치단체 공직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 및 역량평가제도 보완 / 236
2. 민간 교육기관 공직 리더십 위탁 프로그램 확대 / 237
3. 맞춤형 리더십 개발 프로그램 제공 / 237
4. 이러닝 공직 리더십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내실화 / 237
제4 절 소결 238

제4부 중앙-지방 관계 이슈

제 1 절 중앙-지방 간 기능 배분이란 무엇인가? 243
1. 기능 배분의 개념 및 원칙 / 243
2. 기능 배분의 목적 / 244
3. 기능 배분의 추진기구 / 244
제 2 절 중앙-지방 간 기능 배분 현황 246
1. 법령상 사무 현황 / 246
2. 지방이양 현황 / 246
제 3 절 중앙-지방 간 기능 배분 평가 249

1. 평가의 기준 / 249
2. 기준별 평가 / 250
제 4 절 소결: 중앙-지방 간 기능 배분의 성과 및 한계 254
1. 성과 / 254
2. 한계 / 255
제 1 절 재정분권이란 무엇인가 257
1. 재정분권의 개념과 의의 / 257
2. 재정분권의 유형 / 259
3. 재정분권의 이론적 배경 / 261
제 2 절 한국의 재정분권 현황 및 정책 방향 264
1. 재정분권의 현황 / 264
2. 재정분권의 정책 방향 / 267
제 3 절 재정분권의 주요 쟁점과 추진 방향 269
제4 절 소결 272

제5부 시민참여 및 정부사업의 감사 이슈

제 1 절 시민참여란 무엇인가 277
1. 시민참여의 개념과 의의 / 277
2. 시민참여의 유형 / 281
제 2 절 한국의 시민참여제도 현황 283
1. 참여제도의 의의 / 283
2. 참여제도 현황 / 283
3. 참여사업 운영 현황 / 290
제 3 절 시민참여정책의 주요 쟁점 및 과제 294

제4 절 소결 295
제 1 절 공공감사란 무엇인가? 298
1. 공공감사의 개념 / 298
2. 공공감사의 유형 / 300
3. 공공감사의 기능 / 302
제 2 절 공공감사 제도 현황 및 정책 방향 303
1. 국가감사체계 / 303
2. 행정환경 변화에 따른 공공감사 발전 방향 / 307
제 3 절 공공감사의 주요 쟁점 및 과제 308
1. 국민참여감사 / 308
2. 적극행정지원제도 / 312
3. 성과감사 / 315
제 4 절 맺음말 319

■ 찾아보기 / 323




더 북(The book) 한권으로 끝내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9791188426669.jpg


도서명 : 더 북(The book) 한권으로 끝내는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저자/출판사 : 이태랑,김내오, 오스틴북스
쪽수 : 244쪽
출판일 : 2023-03-10
ISBN : 9791188426669
정가 : 39000

10년도 p.08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0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0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0년 3회차

11년도 p.20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1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1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1년 3회차

12년도 p.32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2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2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2년 3회차

13년도 p.44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3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3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3년 3회차

14년도 p.59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4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4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4년 3회차

15년도 p.72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5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5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5년 3회차

16년도 p.84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6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6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6년 3회차

17년도 p.98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7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7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7년 3회차

18년도 p.110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8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8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8년 3회차

19년도 p.122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9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9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19년 3회차

20년도 p.134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0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0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0년 3회차
04.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0년 4회차

21년도 p.150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1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1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1년 3회차

22년도 p.162
01.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2년 1회차
02.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2년 2회차
03. 산업안전산업기사 실기 22년 3회차

2010년 ~ 2022년 작업형 기출문제(압축) p.174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